KR101830681B1 - 조립식 온수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온수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681B1
KR101830681B1 KR1020160108179A KR20160108179A KR101830681B1 KR 101830681 B1 KR101830681 B1 KR 101830681B1 KR 1020160108179 A KR1020160108179 A KR 1020160108179A KR 20160108179 A KR20160108179 A KR 20160108179A KR 101830681 B1 KR101830681 B1 KR 10183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ating
heating panel
hot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근
임윤혁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102016010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온수판넬에 관한 것으로, 난방을 위해 열원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난방파이프(100)와;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난방파이프(100)가 삽입결합되도록 상부면에 결합요홈(210)이 요구되는 상기 난방파이프(100)의 설치패턴으로 형성되며, 사각의 판넬이 다수로 연결되기 위해 사각의 판넬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이음부(220)가 형성되며, 방음 및 완충, 단열 및 보온을 위한 소프트 솔리드 재질의 하부난방판넬(200)과;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결합요홈(210)에 결합된 상기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흡수방열하여 실내난방을 하도록 형성된 상부난방판넬(300)과;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난방판넬(300)의 편평도유지와 상부난방판넬(300) 상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다수가 관통결합되어 상부난방판넬(300) 하부면을 대응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변형방지지지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수판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온수판넬{Hot prefabricated panels}
본 발명은 조립식 온수판넬에 관한 것으로, 난방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된 판넬로 형성되어 건물의 난방시공시, 간편하게 조립을 통해 난방시공이 가능하고, 온수판넬 시공으로 실내로 노출되는 상부난방판넬을 받침 지지하여 상부난방판넬로 가해지는 하중을 받침지지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상부난방판넬의 변형방지와 상부난방판넬의 평탄성의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함에 따라 시공품질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립식 온수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난로 등에 의해 공기를 데워주는 간접난방과 온돌 등과 같이 바닥을 직접 데워주는 직접난방 방식이 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온돌 등과 같이 바닥을 직접 데워주는 직접난방 방식이 주를 이루었고, 이러한 직접 난방 방식의 일종으로 현재에는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수 순환방식은 바닥에 온수순환 배관(온수파이프)을 설치한 후, 시멘트 등으로 미장처리하는 습식방법과 온수순환배관을 구비하는 난방패널을 조립하는 건식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습식방법은 시멘트가 양생 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설치장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온수배관 등의 시설이 파손되면 보수작업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습식방법의 대표적인 것으로 최근에 대부분의 주택에 시공되고 있는 시공방법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방법은 엑셀파이프(XL-pipe)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엑셀파이프를 난방 바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의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여 온수방열관으로 형성하고, 배관된 엑셀파이프 방열관들 간의 사이와 상면에는 시멘트 몰탈을 채워 온돌 바닥을 마감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습식방법의 설비에 있어서, 난방 바닥에 엑셀파이프를 일정 간격의 지그재그형으로 배관하고 고정하는 방열관 설치구조와, 시멘트 몰탈의 타설에 의한 온돌바닥의 형성 구조는 온수 온돌의 설비비용과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 엑셀파이프(XL-pipe)를 방열관으로 배관하는 시공방법에서는, 엑셀파이프의 고정작업이 어렵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온돌 바닥의 내구성이 낮고 발열 효과도 낮으며, 온돌 전체 시공비가 높으면서도 온수 온돌 품질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엑셀파이프 온수 방열관을 난방바닥에 고정하는 배관시공방법들에 있어서의 시공시간과 시공비의 문제점들 외에도, 현재까지 제공된 온수온돌 배관자재나 시공구조들은 온수 온돌 바닥의 품질이나 난방효율 등에서도 문제점들이 있다.
온돌바닥을 형성하는 시멘트 몰탈의 타설 시공에 있어서, 엑셀파이프 온수 방열관 하단부는 시멘트 몰탈이 얇은 층으로 채워져서, 사용중에 방열관 밑의 시멘트 몰탈 층이 쉽게 부서지고, 단열 스치로폼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들뜨고 울렁거리는 온돌바닥 품질 저하 현상이 발생하며, 시멘트 몰탈 온돌바닥이 온수 방열관 전열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어지므로, 난방열의 열전달율이 낮아져서 난방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 방열관을 고정하는 시공구조에서는, 얇은 두께의 단열 스치로폼을 사용할 경우에 자재비가 절감되고 어느 정도의 단열효과는 있지만, 온돌바닥과 난방바닥 간의 완충작용과 차음성이 미흡하여, 2층 이상의 복층형 난방바닥 간에 층간 소음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시되고 있는 온수판넬이 있다. 상기 온수판넬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가 내부에 완제품으로 시공되어 있고, 이를 서로 이음하여 실내 난방을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온수판넬의 개시되고 있는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54791호(온돌 패널, 2007년 08월 28일 등록)에서는 단열 판재(1)와, 단열 판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열교환관 설치홈과, 열교환관 설치홈에 설치되는 열교환관, 열교환관의 상면을 눌러 열교환관의 상단을 평탄화시켜 그 상향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며 열교환관 설치홈의 여유 공간을 감소시키는 상면판과, 단열판재의 저면을 보강하는 저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골이 진 금속의 골판재이고, 상기 골은 충전재로 메워져 패널 상면이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온돌 패널(온수판넬)은, 열교환관이 길게 배치되어 막힘이나 유동 불량시 열교환관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고, 또한 단열 판재에 홈을 형성한 뒤 열교환관을 설치하고 상면판을 덮은 후 상면판과 단열 판재의 접착력을 위하여 상기 상면판에 오목하게 형성된 골에 충진재를 주입하는 제조 공정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개시되는 온수판넬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65681호(난방용 온수판넬, 2014년 11월 20일 등록)가 있다. 상기 종래 난반용 온수판넬은 온수순환호스를 결속해주는 고정클립이 구비된 프레임, 프레임 내측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제, 프레임과 충진제 일측면에 결합되는 은박처리된 마감부재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종래 난방용 온수판넬은 난방순환호스를 판넬형태의 프레임에 고정클립에 의해 순환배관패턴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프레임 내부에 충진제를 충진시켜 마감처리된 형태로 사실상 프레임을 제외한다면 클립으로 난방순환호스를 클립에 고정하는 종래의 습식방법중의 하나와 유사한 형태로 층간소음부분과 설치시공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난방용 온수판넬은 시공성과 층간소음부분에서는 앞서 상술한 종래기술보다는 앞선 기술로 현재 다수가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난방용 온수판넬은 판넬형태를 취하고 있어 상부면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상당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통상 실내에 난방을 하고자 온수판넬을 설치할 때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만을 시공하지는 않는다. 즉, 실내공간 전체의 바닥을 난방시공하기 때문에 판넬이 실내 바닥 전체에 짜맞춤되어 시공되는 데 실내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 첫째로 가구 등의 생활에 필요한 물품들이 배치되고, 사용자는 실내 바닥을 계속해서 밟아 이동하거나 다양한 생활활동을 하게 되어 있다.
이때, 종래 난방용 온수판넬은 사실상 프레임의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고려되지 않아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온수판넬의 찌그러짐 등의 변형으로 인해 온수판넬 내부의 난방순환호스의 눌림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온수의 순환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찌그러짐 등의 변형은 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와 이로 인한 완충 및 층간 소음의 방지역할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며, 실내 바닥면의 고르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여 물품의 배치시 안전성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높은 하중의 물건을 배치할 경우 가령 예를 들면 큰 장롱과 같은 부분이 배치될 경우 하중에 의해 온수판넬의 일부가 내려앉는 문제와 이로 인한 온수판넬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 온수판넬은 이미 프레임의 평탄성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실내 바닥의 평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온수판넬의 평탄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54791호, 2007년 08월 28일 등록.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65681호, 2014년 11월 20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난방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된 판넬로 형성되어 건물의 난방시공시, 간편하게 조립을 통해 난방시공이 가능하고, 온수판넬 시공으로 실내로 노출되는 상부난방판넬을 변형방지지지수단을 통해 받침 지지하여 상부난방판넬로 가해지는 하중을 받침지지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상부난방판넬의 변형방지와 상부난방판넬의 평탄성의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함에 따라 시공품질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조립식 온수판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은 난방을 위해 열원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난방파이프(100)와;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난방파이프(100)가 삽입결합되도록 상부면에 결합요홈(210)이 요구되는 상기 난방파이프(100)의 설치패턴으로 형성되며, 사각의 판넬이 다수로 연결되기 위해 사각의 판넬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이음부(220)가 형성되며, 방음 및 완충, 단열 및 보온을 위한 소프트 솔리드 재질의 하부난방판넬(200)과;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결합요홈(210)에 결합된 상기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흡수방열하여 실내난방을 하도록 형성된 상부난방판넬(300)과;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난방판넬(300)의 편평도유지와 상부난방판넬(300) 상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다수가 관통결합되어 상부난방판넬(300) 하부면을 대응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변형방지지지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은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에 결합시 하부난방판넬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하부지지판(412)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판(412) 상측으로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하부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부면으로 결합되도록 지지샤프트(41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샤프트 상단 외연을 따라 레벨조정나사부(416)가 형성된 지지부재(410)와; 상기 지지샤프트(414) 상단에 형성된 레벨조정나사부(416)에 나사결합되는 레벨조정 결합구(422)가 형성되고, 상기 레벨조정 결합구(422) 상측으로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을 받침하는 받침판(424)이 형성된 받침부재(4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420)의 받침판(424)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24)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구(42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다수의 받침부재(420)가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T홈(510) 형성된 받침레일바(500)가 더 형성되어 상부난방판넬(300)로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분산하여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받침지지력 상승과 이를 통한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방지력이 상승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된 판넬로 형성되어 건물의 난방시공시, 간편하게 조립을 통해 난방시공이 가능하고, 온수판넬 시공으로 실내로 노출되는 상부난방판넬을 변형방지지지수단을 통해 받침 지지하여 상부난방판넬로 가해지는 하중을 받침지지하며, 외부하중에 의한 상부난방판넬의 변형방지와 상부난방판넬의 평탄성의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함에 따라 시공품질과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요부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에 의한 수평조정을 도시한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요부 측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에 의한 수평조정을 도시한 요부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의 변형방지 지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수판넬은 종래 온수판넬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온수판넬 상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방지 및 지지력 강화와 실내 바닥면 설치에 대한 레벨조정이 가능하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파이프(100), 하부난방판넬(200), 상부난방판넬(300), 변형방지 지지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난방파이프(100)는 난방을 위해 열원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한 설치패턴을 가진다. 통상 지그재그 형태의 패턴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설치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방파이프(100)는 일반적인 엑셀파이프를 이용하여도 바람직하지만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후성이 우수하며, 절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모노머(EPDM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으로 형성하여 후술되는 상부난방판넬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내충격성 및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은 후술되는 상부난방판넬을 통해 인가되는 하중을 받침함과 함께 충격을 완충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난방파이프(100)가 삽입결합되도록 상부면에 결합요홈(210)이 요구되는 상기 난방파이프(100)의 설치패턴으로 형성되며, 사각의 판넬이 다수로 연결되기 위해 사각의 판넬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이음부(220)가 형성되며, 방음 및 완충, 단열 및 보온을 위한 소프트 솔리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난방판넬(200)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하부난방판넬의 결합요홈(210)에 결합되는 난방파이프(100)와 접촉되어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전달받아 방열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결합요홈(210)에 결합된 상기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흡수방열하여 실내난방을 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은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빠르게 흡수하여 방열하도록 구리 또는 알루미늄 소재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방지 지지수단(400)은 전술한 하부난방판넬(100)과 상부난방판넬(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에 노출되는 상부난방판넬(200)에 인가되는 하중 즉, 사용자 체중이나 실내에 배치할 물건의 하중이 가해질 때의 상부난방판넬(20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실내 바닥의 편평도에 따른 온수판넬의 레벨을 조정하여 온수판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난방판넬(300)의 편평도유지와 상부난방판넬(300) 상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다수가 관통결합되어 상부난방판넬(300) 하부면을 대응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변형방지 지지수단(4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 받침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10)는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에 결합시 하부난방판넬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하부지지판(412)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판(412) 상측으로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하부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부면으로 결합되도록 지지샤프트(4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10)는 후술되는 받침부재(420)와 결합하여 상부난방판넬(300)을 지지하도록 함과 함께 상부난방판넬(300)로 인가되는 무게 하중을 받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샤프트 상단 외연을 따라 레벨조정나사부(416)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받침부재(420)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재(420)가 상기 레벨조정나사부(416)에 나사결합되는 피치 간격수에 따라 상부난방판넬이 실내 바닥의 수평면에 대하여 레벨링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420)는 전술한 상기 지지부재(410)의 지지샤프트(414)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레벨조정 결합구(4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422) 상측으로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을 받침하는 받침판(4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420)의 받침판(424)은 상기 레벨조정 결하구(422) 상단에 형성되되, 상부난방판넬(300)의 하부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거나 상부난방판넬(300)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하부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부(420)는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을 받침함에 따라 다수의 상기 받침부(420)를 통해 상부난방판넬(300)의 수평상의 전체면적을 고르게 받침하여 상부난방판넬(300)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응되고, 이에 따라 상부난방판넬(300)의 하중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420)의 받침판(424)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24)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구(42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424)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상기와 같은 받침판(424)은 상부난방판넬(300)을 지지하는 받침판(424)의 부분에 국소적으로 인가되는 부분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하중이 분산되어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률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다수의 받침부재(420)가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T홈(510) 형성된 받침레일바(500)가 더 형성되어 상부난방판넬(300)로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분산하여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받침지지력 상승과 이를 통한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방지력이 상승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레일바(500)를 상부난방판넬(300)의 하부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받침부재(420)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에 따라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으로 인한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온수판넬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난방판넬(200)에 난방파이프(100)를 결합요홈(210)에 끼움결합하고, 결합요홈(210) 상측으로 노출된 난방파이프(100) 상부면에 상부난방판넬(300)이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난방파이프(100)를 통해 발산되는 열원이 상부난방판넬(300)로 전도되어 열원의 전도에 의한 실내 난방이 보다 효율적이고 넓은 면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조립식 온수판넬의 하부난방판넬(200)에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 지지부재(400)의 지지부재(410)를 하부난방판넬(200) 하부면으로부터 결합하여 하부지지판(412)이 하부난방판넬(200)의 하부면에 걸림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410)의 하부지지판(412) 상측으로 지지샤프트(414)가 하부난방판넬(200) 상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지지샤프트(414) 상단 외주연에 형성된 레벨조정나사부에 받침부재(420)의 레벨조정결합구(422)를 나사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재(420)가 상기 지지부재(410)에 나사결합되면 받침판(424)이 상부난방판넬(200) 하부면에 대응되거나 받침판(424)의 외주연 홈으로 상부난방판넬(200)이 위치되는 즉 "I"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부난방판넬(200)을 받침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난방판넬(300)로 가해지는 물건의 하중이나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무게를 분산하여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 지지부재(400)의 레벨조정나사부(416)에 나사결합된 받침부재(420)의 레벨조정결합구(422)의 나사결합에 의한 상하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실내 바닥의 편평하지 못한 부분을 편평하게 조정하여 조립식 온수판넬의 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즉, 실내의 바닥부분의 편평도를 측정하고, 조립식 온수판넬이 설치되는 바닥면의 편평도가 인접하여 설치된 온수판넬보다 하향시에는 상기 레벨조정결합구(422)의 나사결합부분의 조정을 통해 상기 받침부재(420)의 받침판(424)이 상향되게 조정하여 편평도를 조정하고, 인접하여 설치된 온수판넬보다 실내 바닥의 높이 보다 상향시에는 레벨조정결합구(422)가 레벨조정나사부(416)상에서 하향이동시켜 설치되는 온수판넬의 전체 편평도를 조정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난방파이프 200 : 하부난방판넬
210 : 결합요홈 220 : 이음부
300 : 상부난방판넬 400 : 변형방지 지지부재
410 : 지지부재 412 : 하부지지판
414 : 지지샤프트 416 : 레벨조정나사부
420 : 받침부재 422 : 레벨조정 결합구
424 : 받침판 500 : 받침레일바
510 : T홈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난방을 위해 열원을 발산하도록 형성된 난방파이프(100)와;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고, 상기 난방파이프(100)가 삽입결합되도록 상부면에 결합요홈(210)이 요구되는 상기 난방파이프(100)의 설치패턴으로 형성되며, 사각의 판넬이 다수로 연결되기 위해 사각의 판넬의 4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이음부(220)가 형성되며, 방음 및 완충, 단열 및 보온을 위한 소프트 솔리드 재질의 하부난방판넬(200)과; 사각의 판넬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결합요홈(210)에 결합된 상기 난방파이프(100)로부터 발산되는 열원을 흡수방열하여 실내난방을 하도록 형성된 상부난방판넬(300)과;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난방판넬(300)의 편평도유지와 상부난방판넬(300) 상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다수가 관통결합되어 상부난방판넬(300) 하부면을 대응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변형방지지지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은 상기 하부난방판넬(200)에 결합시 하부난방판넬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하부지지판(412)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판(412) 상측으로 상기 하부난방판넬(200) 하부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상부면으로 결합되도록 지지샤프트(41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샤프트 상단 외연을 따라 레벨조정나사부(416)가 형성된 지지부재(410)와; 상기 지지샤프트(414) 상단에 형성된 레벨조정나사부(416)에 나사결합되는 레벨조정 결합구(422)가 형성되고, 상기 레벨조정 결합구(422) 상측으로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을 받침하는 받침판(424)이 형성된 받침부재(420);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420)의 받침판(424)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424)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구(422)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난방판넬(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다수의 받침부재(420)가 슬라이딩 끼움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의 T홈(510) 형성된 받침레일바(500)가 더 형성되어 상부난방판넬(300)로 가해지는 무게하중을 분산하여 변형방지지지수단(400)의 받침지지력 상승과 이를 통한 상부난방판넬(300)의 변형방지력이 상승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수판넬.
KR1020160108179A 2016-08-25 2016-08-25 조립식 온수판넬 KR10183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79A KR101830681B1 (ko) 2016-08-25 2016-08-25 조립식 온수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79A KR101830681B1 (ko) 2016-08-25 2016-08-25 조립식 온수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681B1 true KR101830681B1 (ko) 2018-02-21

Family

ID=615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79A KR101830681B1 (ko) 2016-08-25 2016-08-25 조립식 온수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206A (zh) * 2018-05-15 2018-09-14 湖北沁科住宅科技有限公司 便于施工的地暖
CN108775130A (zh) * 2018-08-24 2018-11-09 山西建投装饰产业有限公司 装配式地面系统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KR2023000057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티알에이디 온돌 파이프용 가이드 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4206A (zh) * 2018-05-15 2018-09-14 湖北沁科住宅科技有限公司 便于施工的地暖
CN108775130A (zh) * 2018-08-24 2018-11-09 山西建投装饰产业有限公司 装配式地面系统
KR20210082022A (ko) 2019-12-24 2021-07-02 심영옥 난방용 온수패널
KR2023000057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티알에이디 온돌 파이프용 가이드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681B1 (ko) 조립식 온수판넬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50116099A (ko) 온돌패널 난방 시스템 및 온돌패널
KR20200033633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공법
JP4743908B2 (ja) 木造建物の通気性外断熱の外壁構造
KR101431989B1 (ko) 가변높이조절기에 의해 시공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주택의 바닥구조
KR100237497B1 (ko)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200411735Y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KR101703306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7652B1 (ko) 조립식 온돌시스템
KR200382122Y1 (ko) 레벨조절가동부재가 구비된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130021011A (ko) 조립식 온돌배관
KR20170108355A (ko) 난방효율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JP3150621U (ja) 木造建物の通気性外壁用の通気性外壁複合パネル
KR200471424Y1 (ko) 층간 바닥 차음 방열판
KR100663693B1 (ko) 건식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KR200325968Y1 (ko) 바닥마감재용 시트 판넬
JP4886003B2 (ja) 建物内室の乾式温水暖房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607553B1 (ko) 철재 칸막이
KR100905805B1 (ko) 온돌마루시스템
CN213449329U (zh) 一种新型地暖保温板
KR20190054358A (ko) 소형 간이 주택
KR20230000574A (ko) 온돌 파이프용 가이드 프레임
KR20190090105A (ko)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