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69Y1 - 횡단보도 안전등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69Y1
KR200411569Y1 KR2020060000386U KR20060000386U KR200411569Y1 KR 200411569 Y1 KR200411569 Y1 KR 200411569Y1 KR 2020060000386 U KR2020060000386 U KR 2020060000386U KR 20060000386 U KR20060000386 U KR 20060000386U KR 200411569 Y1 KR200411569 Y1 KR 200411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housing
light
openin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술
Original Assignee
유인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술 filed Critical 유인술
Priority to KR2020060000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08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 F21V11/12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diaphragms containing one or more apertures of slo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단보도 안전등에 관한 것으로, 횡단보도의 선단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복수개의 조명유닛이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조명유닛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는 반사차단막;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서 도로의 중앙까지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만을 조사하여 차량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횡단보도, 조명, 도로, 차단막, 반사판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등{ A lighting apparatus for a crosswalk }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등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횡단보도 안전등을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횡단보도 안전등의 조명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횡단보도 안전등의 조명유닛을 나타낸 부분 조립사시도,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유닛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 : 조명유닛 C : 외측케이스
10 : 하우징 11 : 측면부
12 : 빗변부 13 : 밑변부
14 : 천정부 15 : 개방부
20 : 조명기구 30 : 반사판
31 : 정면반사판 32 : 측면반사판
40,41 : 반사차단막 40a : 전면
40b : 배면
본 고안은 횡단보도 안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양단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조명하는 횡단보도 안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는 도로의 노면위에 도로를 가로질러 형성됨으로써 보행자가 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하는 도로시설물로, 신호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에 정지신호를 보낸 후 통행을 지시하게 된다.
횡단보도는 신호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보행자의 주의력만으로 도로를 건너야 하므로 사고의 위험이 높고 신호등이 설치된 경우라 하더라도 신호를 무시하고 질주하는 차량에 의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야간에는 가로등에 의해 횡단보도를 식별할 수 밖에 없는데, 가로등이 보도측과 도로의 가장자리만을 밝혀 주고 도로중앙까지 밝혀 주지 못하므로 운전자가 정지하지 못하고 통과하게 되어 교통사고를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횡단보도의 상부에 다수개의 전등을 도로를 가로질러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횡단보도 전체를 밝힐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도로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교통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태풍과 같은 자연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행자의 연직상부에서 빛을 조사하게 되면 오히려 보행자가 빛을 반사시키는 물체의 역할을 하여 원거리의 차량에서 보행자를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흰색의 횡단보도를 연직상부에서 수직하게 조사하게 되면 횡단보도가 너무 밝게 되어 상대적으로 보행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위험이 있었다.
즉, 시각대상물을 배경과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해서는 대상물과 배경의 휘도 차이가 있어야 하나, 종래의 횡단보도 안전등은 노면과 보행자의 휘도를 비슷하게 하여 노면과 보행자를 구분하기 어렵게 하고, 특히 낮은 휘도의 노면을 응시하면서 운전해 온 운전자는 갑자기 높아진 횡단보도의 노면에 적응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횡단보도 위의 보행자를 발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종래의 횡단보도 안전등은 반사판이나 전등갓을 통해 빛을 일측방향으로 조사하게 되는데, 빛이 횡단보도의 외측으로 퍼져 나가 횡단보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도로로부터 횡단보도만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횡단보도 이외의 부분을 조사하게 되면 차량운전자의 눈을 부시게 하여 오히려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 제0466272호에 횡단보도 안전등을 개시한 바 있다. 개시한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빛이 분산되지 않고 횡단보도만을 조사하여 차량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개시한 발명은 설치된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므로 횡단보도 의 양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경우 횡단보도 전체를 중복하여 조사하게 되어 있으므로 가장자리에 가까운 쪽은 밝기가 높으나 중앙으로 갈수록 밝기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의 폭이 넓을 경우, 즉 다수개의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는 가장자리에서 먼 차선은 거의 조명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하나의 조명기구로 넓은 범위의 지역을 조사해야 하므로 좁은 범위의 지역에 밝기가 집중되도록 설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서 도로의 중앙까지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만을 조사하여 차량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 안전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횡단보도의 선단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복수개의 조명유닛이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조명유닛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는 반 사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유닛의 수는 차선의 수에 비례하여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차단막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 선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다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다수개의 벽면 중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반사차단막은 그 선단이 소정각(β)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조명기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조명기구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마주보는 측벽에 구비되는 정면반사판과; 상기 개방부와 연결된 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측면반사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조명유닛 중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서 먼 조명유닛일수록 그 조명유닛의 조명기구는 개방부쪽으로 더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은 다각틀 형상이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사각형으로 된 횡단보도의 형상에 맞는 빛의 조사범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틀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은 사다리꼴 형상이나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명기구는 하우징의 개방부에서 마주보는 측벽에 설치하되, 개방부와 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개방부의 외부로 직진하는 빛의 조사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사판은 조명기구와 하우징의 내측벽에 구비되어 조명기구에서 개방부의 반대쪽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차단막은 조명기구로부터 하우징의 내측벽으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개방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조명기구에서 개방부로 직접 방사하는 빛만을 외부로 방사시켜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등은, 횡단보도의 선단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2개의 조명유닛(L)이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어 있다.
즉, 2개의 조명유닛(L)은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서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외측 조명유닛(L)과 그 외측 조명유닛(L)에 연속하여 도로 중앙쪽으로 구비되는 내측 조명유닛(L)으로 구분되고, 외측케이스(C)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2개의 조명유닛(L)은 편도 2차선 도로의 경우에 각 차선에 해당하는 횡단보도를 각각 조명하게 된다.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외측 조명유닛(L)은 외측 2차선에 해당하는 횡단보도를 조명하게 되고, 도로 중앙쪽에 가까운 내측 조 명유닛(L)은 중앙측의 1차선에 해당하는 횡단보도를 조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조명유닛(L)이 차선별로 횡단보도를 구분하여 조명함으로써 각 조명유닛(L)의 밝기를 조명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집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조명유닛(L)은, 일측에 개방부(15)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기구(20),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조명기구(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반사차단막(40,4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1쌍의 측면부(11)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측면부(11)의 밑변에 밑변부(12)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1쌍의 측면부(11)의 빗변에 빗변부(13)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밑변부(12)와 빗변부(13)의 일단에 천정부(14)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천정부(14)의 반대편에 개방부(15)가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천정부(14)와 빗변부(13) 내측벽에 반사판(30)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그 반사판(30)에 인접하여 조명기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수개의 반사차단막(40,41)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빗변부(13)는 도면에 도시된 평면 형상 이외에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명기구(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막대형 이외에도 구형의 전구형태도 가능하고, 막대형의 경우 설치되는 방향은 본 발명의 효과를 다르게 하지 않으므로 임의로 설치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은 흑색으로 도포되어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시키게 된다.
상기 반사판(30)은 상기 하우징(10)의 빗변부(13)에 구비되는 정면반사판(31)과, 상기 정면반사판(31)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부(11) 일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측면반사판(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정면반사판(31)은 조명기구(20)에서 하우징(10)의 빗변부(13) 쪽으로 조사되는 빛과 상기 측면반사판(32)에서 반사되어 전달되는 빛을 개방부(15)와 측면부(11) 및 밑변부(12)로 반사시키게 되고, 상기 측면반사판(32)은 조명기구(20)에서 측면부(11) 쪽으로 조사되는 빛과 상기 정면반사판(31)에서 반사되어 전달되는 빛을 개방부(15)와 반대쪽 측면부(11) 및 밑변부(12)로 반사시키게 된다.
상기 정면반사판(31)은 조명기구(20)의 빛을 반사하여 개방부(15)에 대하여 수직하게 통과시키고, 상기 측면반사판(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20)의 빛을 개방부(15)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α)으로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측면부(11)와 밑변부(12) 및, 빗변부(13)의 일부 내측벽에는 다수개의 반사차단막(40,41)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차단막(40,41)은 하우징(10)의 내측벽에 대략 수직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조명기구(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명기구(20)로부터 하우징(10)의 내측벽으로 입사되는 빛을 가로막아 차단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차단막(40)에 의해 가로막힌 빛은 그 반사차단막(40)에서 일부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된다.
또한, 상기 반사차단막(40)이 상기 개방부(15)에서 천정부(14) 쪽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써 내측벽 전체에서 조명기구(20)의 빛을 일부는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반사차단막(40)의 배면(40b)에서 반사된 빛은 하우징(10)의 내측벽이나 인접하는 다른 반사차단막(40)의 전면(40a)으로 다시 입사된 후 개방부(15) 쪽으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차단막(40)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부(15)에서 천정부(14) 쪽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연장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됨으로써 낮은 쪽 반사차단막(40)에서 반사된 빛이 높은 쪽 반사차단막(40)에 의해 차단된다.
즉, 하나의 반사차단막(40)의 배면(40b)에서 반사된 빛은 뒤쪽의 인접하는 반사차단막(40)의 전면(40a)으로 입사되고, 이때 뒤쪽의 낮은 반사차단막(40)에서 반사된 빛은 앞쪽의 높은 반사차단막(40)으로 입사되어 다시 반사됨으로써 개방부(15) 쪽으로 직진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조명기구(20)로부터 반사차단막(40)으로 입사된 빛은 일부가 반사차단막(40)에 흡수되고 일부를 반사하게 되므로 1쌍의 반사차단막(40)의 사이에서 이러한 흡수와 반사가 반복됨으로써 개방부(1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빛은 그 휘도가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조명기구(20)에서 두개의 반사차단막(40)의 사이로 입사한 빛은 그 반사차단막(40)들 사이에서 갇히거나 휘도가 현저하게 감소된 상태로 개방부(15)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빛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하나의 측면부(11)에 구비되는 반사차단막(41)의 선단을 소정각(β)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개방부(15)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노면에 도달하는 빛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차단막(41)을 삼각형이나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대신, 상기 하우징(10)을 사다리꼴 통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반사차단막(4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등에 의하면,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도 횡단보도의 가장자리에서 도로의 중앙까지 균일한 밝기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만을 조사하여 차량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다수개의 차선으로 된 도로의 경우 차선마다 독립적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각 차선에 해당하는 횡단보도의 밝기를 최대화할 수 있고 각 차선별로 밝기를 각각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횡단보도의 선단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복수개의 조명유닛이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조명유닛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되는 반사차단막;을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차단막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 선단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다각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다수개의 벽면 중 하나의 측벽에 형성되는 반사차단막은 그 선단이 소정각(β)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과 상기 조명기구의 사이 에 구비되어 조명기구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마주보는 측벽에 구비되는 정면반사판과; 상기 개방부와 연결된 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측면반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등.
KR2020060000386U 2006-01-06 2006-01-06 횡단보도 안전등 KR200411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86U KR200411569Y1 (ko) 2006-01-06 2006-01-06 횡단보도 안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86U KR200411569Y1 (ko) 2006-01-06 2006-01-06 횡단보도 안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69Y1 true KR200411569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86U KR200411569Y1 (ko) 2006-01-06 2006-01-06 횡단보도 안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235433T3 (en) Illumination device that use a lysediode
WO2018012058A1 (ja) 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PT2148129E (pt) Sistema para a iluminação de um túnel ou de uma passagem subterrânea
KR100798143B1 (ko)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KR100986736B1 (ko) 배광분포 가변형가로등기구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2050534B1 (ko) 낮은 도로 조명 장치
KR100621839B1 (ko) 도로의 볼라드 구조
KR200411569Y1 (ko) 횡단보도 안전등
KR200435120Y1 (ko)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볼라드
JP4127459B2 (ja) トンネル照明装置、道路照明装置
JP4089175B2 (ja) 照明装置
KR101760116B1 (ko) 등기구용 빛가림 장치
JP4461477B2 (ja) 交差点照明装置
KR102229099B1 (ko) 조명기기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0466272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285057Y1 (ko) 가로등
KR100962041B1 (ko) 양방향 도로조명장치
KR102147306B1 (ko) 빛 공해 차단 led 조명등
KR100717621B1 (ko) 가로등 헤드의 반사판 구조
KR200218748Y1 (ko) 가로등 반사판
EP2230445B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lighting pedestrian crossings
KR101629323B1 (ko) 엘이디 조명용 렌즈
KR102668856B1 (ko) 엘이디 가로등용 광확산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