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17Y1 -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17Y1
KR200411517Y1 KR2020050036894U KR20050036894U KR200411517Y1 KR 200411517 Y1 KR200411517 Y1 KR 200411517Y1 KR 2020050036894 U KR2020050036894 U KR 2020050036894U KR 20050036894 U KR20050036894 U KR 20050036894U KR 200411517 Y1 KR200411517 Y1 KR 200411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circuit breaker
vacuum circuit
lever
interloc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6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7Details concerning lever type driving ro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로징 레버 및 오프닝 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클로징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로징 레버와 상기 오프닝 레버가 반대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는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의하면, 인터록 링크를 설치하여 투입과 트립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투입조작시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트립되지 않고, 반대로 트립조작시에는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투입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조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적시에 트립/투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하기기 및 선로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진공차단기, 클로징 레버, 클로징 래치, 오프닝 레버, 오프닝 래치, 인터록 링크

Description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LINK}
도 1a는 진공차단기가 배전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입체외형도.
도 1b는 진공차단기의 부분 정면도.
도 1c는 진공차단기의 부분 우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의 부분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의 부분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로징 레버 3; 클로징 래치
5; 오프닝 레버 7; 오프닝 래치
20; 인터록 링크
본 고안은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 는 진공차단기의 수동 투입과 수동 트립이 동시에 수행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기계적 동작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기기로서, 상시의 차단 전류 및 고장 전류를 순간적으로 차단, 투입하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즉, 진공차단기는 전기회로에서 발생 가능한 단락, 지락 사고 등에 의한 대전류로부터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종래의 진공차단기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진공차단기가 배전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입체외형도이고, 도 1b는 진공차단기의 부분 정면도, 도 1c는 진공차단기의 부분 우측면도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차단기는 클로징 레버, 클로징 래치(3), 오프닝 레버(5), 제 1 오프닝 래치(7), 크랭크 쉐프트(9), 제 2 오프닝 래치(11), 제 1쉐프트(13), 오프닝 쉐프트(15) 및 로드 어셈블리(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진공차단기의 동작을 수동 투입 조작 시와 수동 트립 조작 시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수동 투입 조작을 할 때 클로징 레버(1)를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클로징 레버(1)는 A방향(도 1b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클로징 래치(3)를 a방향(도 1c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클로징 래치(3)에 구속되어 있던 크랭크 쉐프트(9)가 도 1a의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제)하고 이에 연결되어 있던 링크들에 의해서 오프닝 쉐프트(1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로드 어셈블리(17)가 하강하게 되고, 로드 어셈블리(17)에 연결된 차단기의 접점이 연결되어 차단기는 투입상태가 된다.
반면, 수동 트립 조작을 할 때는 오프닝 레버(5)를 도 1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오프닝 레버(5)는 B방향(도 1b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오프닝 래치(7)를 b방향(도 1c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 2 오프닝 래치(11)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쉐프트(13)가 해제되면서 오프닝 쉐프트(1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 어셈블리(17)가 상승하게 되고, 로드 어셈블리(17)에 연결된 차단기의 접점이 끊기게 되어 차단기는 트립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오프닝 레버(5)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차단기를 수동 투입하면 클로징 레버(1)가 A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동작이 수행되지만 투입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곧바로 트립되는 트립프리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클로징 레버(1)에 외력이 가해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징 레버(1)가 화살표 방향으로 밀린 상태에서 차단기를 수동 트립하면, 오프닝 레버(5)는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립동작이 수행되다가 곧바로 트립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재투입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원하는 트립/투입조작을 계속 유지할 수 없으므로 사고가 발생하여 트립을 유지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투입이 되어 사고전류 등을 차단하지 못해 부하기기 및 선로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적시에 투입하여 선로를 연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트립이 발생하여 부하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단기의 수동 투입/트립 동작을 상호 인터록시켜 투입상태에서는 트립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트립상태에서는 투입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로징 레버 및 오프닝 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클로징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로징 레버와 상기 오프닝 레버가 반대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는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록 링크는,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록 장치는 와이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의하면, 진공기 투입상태에서 트립프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공기 트립상태에서는 진 공기 재투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시에 투입 및 트립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부하기기 및 선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의 부분 우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a 내지 도 1c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인터록 링크(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인터록 링크(20)의 일단은 클로징 레버(1)에 타단은 오프닝 레버(5)에 위치한다.
상기 인터록 링크(2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클로징 레버(1)의 회전축 좌측에, 타단은 오프닝 레버(5)의 회전축 우측에 위치함으로써 클로징 레버(1)와 오프닝 레버(5)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조절한다.
즉, 진공차단기의 수동 투입 조작을 할 때, 클로징 레버(1)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클로징 레버(1)는 A방향(도 2a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클로징 래치(3)는 a방향(도 2b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단기가 투입상태가 된다.
이때, 클로징 레버(1)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로징 레버(1)에 부착된 인터록 링크(20)의 일단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대각선으로 설치된 인터록 링크(20)의 타단은 시계방향(B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프닝 레버(5)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오프닝 래치(7)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진공차단기의 수동 트립 조작을 할 때는, 오프닝 레버(5)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오프닝 레버(5)가 B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오프닝 래치(7)는 b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단기가 트립상태가 된다.
이때, 오프닝 레버(5)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 오프닝 레버(5)에 부착된 인터록 링크(20)의 타단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대각선으로 위치한 인터록 링크(20)의 일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클로징 래치(3)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인터록 링크(20)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인터록 링크(20)는 트립/투입조작시 인터록 링크(20)에 의해 반대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인터록 링크(20)의 양단이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위치하는 한 갯수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인터록 링크(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에 의하면, 투입조작시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트립되지 않으며, 반대로 트립조작시에는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투입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조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적시에 트립/투입 상태가 되므로 부하기기 및 선로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터록 링크를 설치하여 투입과 트립이 동시에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투입조작시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트립되지 않고, 반대로 트립조작시에는 외력이 가해져도 차단기가 곧바로 투입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조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적시에 트립/투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하기기 및 선로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로징 레버 및 오프닝 레버를 포함하는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클로징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축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클로징 레버와 상기 오프닝 레버가 반대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는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링크는,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는 와이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록 장치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KR2020050036894U 2005-12-29 2005-12-29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KR200411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94U KR200411517Y1 (ko) 2005-12-29 2005-12-29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94U KR200411517Y1 (ko) 2005-12-29 2005-12-29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17Y1 true KR200411517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894U KR200411517Y1 (ko) 2005-12-29 2005-12-29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811B1 (ko) 2008-07-29 2012-03-1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차단기 장착식 스프링 해제 인터로크 레버의 이동 및 이동 변경 방법과, 차단기 스프링 해제 작동 시스템과, 차단기 장착식 스프링 해제 인터로크 레버의 이동 변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811B1 (ko) 2008-07-29 2012-03-1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차단기 장착식 스프링 해제 인터로크 레버의 이동 및 이동 변경 방법과, 차단기 스프링 해제 작동 시스템과, 차단기 장착식 스프링 해제 인터로크 레버의 이동 변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7337B (zh) 电气开关装置及其跳闸指示器
US10991521B2 (en)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operation device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20000019909A (ko) 배전반용 진공차단기의 접지스위치 연동장치
KR200411517Y1 (ko) 인터록 링크가 구비된 진공차단기
KR101752722B1 (ko) 링 메인 유닛의 인터락 장치
KR200183457Y1 (ko) 기중차단기의 기계적 인터록 장치
EP2736064B1 (en)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CN107578937A (zh) 一种高压组合电器隔离开关与断路器联锁机构
KR20044157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장치
KR100574895B1 (ko) 배선용 차단기
US8076600B2 (en) Contact actuat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KR20039292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형 인터록 장치
KR20020821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장치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102352558B1 (ko) 전동스프링 조작기
KR10119897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KR200181711Y1 (ko) 회로 차단기의 부하별 트립 표시장치
JP3059879U (ja) 配線用遮断器のメインシャフト揺動範囲の制限装置
TWM475014U (zh) 無熔線斷路器電路維修旋轉式斷電安全鎖。
KR19990039209A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JP3059023U (ja) 配線用遮断器の限流装置
KR20034569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회동 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