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05Y1 -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 Google Patents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05Y1
KR200411505Y1 KR2020050036766U KR20050036766U KR200411505Y1 KR 200411505 Y1 KR200411505 Y1 KR 200411505Y1 KR 2020050036766 U KR2020050036766 U KR 2020050036766U KR 20050036766 U KR20050036766 U KR 20050036766U KR 200411505 Y1 KR200411505 Y1 KR 200411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ircuit breaker
cradle
screw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6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26Movable parts and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스크류관을 구비한 크레들과; 일측에 상기 스크류관에 인입 및 인출되는 스크류축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들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상기 결합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인입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출형 기중차단기가 구비되는 크레들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동작시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고 작은 힘으로도 기중차단기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CIRCUIT BREAKERS HAVING EXTENSIBLE DRAW-IN-OUT HANDLE}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내지 도 4는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위치변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2는 인입 위치의 측면도,
도 3은 시험 위치의 측면도,
도 4는 운전 위치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인입출 핸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가변인입출 핸들의 구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단기 본체 11 : 스크류축
20 : 크레들 21 : 레일
23 : 스크류관 30 : 인입출 핸들
31 : 결합축 31a : 삽입공
32 : 연동축 32a : 오링
본 고안은,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출형 기중차단기가 구비되는 크레들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동작시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고 작은 힘으로도 기중차단기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는 빌딩, 공장, 선박 등의 산업 플랜트용과 발전기의 보호를 위한 발전기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배선설비에서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의 보호를 저압용 차단기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위치변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이며, 도 2는 인입 위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시험 위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운전 위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인입출 핸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출형 기중차단기는, 차단기 본체(10)와, 차단기 본체(10)가 접속되는 크레들(20)로 구성되어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에 인입시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 측으로 전, 후진시키기 위하여 크레들(20) 에는 차단기 본체(1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과, 가이드레일(21)의 등간격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 일측에는 스크류관(23)이 구비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하단부 일측에는 크레들(20)의 스크류관(23)에 삽입식으로 인입되는 스크류축(11)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류축(11)의 단부에는 스크류축(11)을 회전시켜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 측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인입출 핸들(12)이 구비되어 있다.
인입출 핸들(12)은 차단기 본체(10)를 인입 및 인출시킬 경우에 스크류축(11)과 접촉되는 결합축(12a)과, 소정의 길이를 갖고 결합축(12a)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결합축(12a)에 회전력을 가하는 연동축(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에 인입시키는 동작은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의 레일(2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인입출 핸들(12)의 결합축(12a)을 스크류축(11)과 결합시키고 연동축(12b)을 이용하여 인입출 핸들(1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축(11)이 크레들(20)의 스크류관(2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차단기 본체(10)가 레일(21)을 타고 이동된다. 즉, 차단기 본체(10)는 인출위치 → 시험위치 → 운전위치로 이동된다.
반대로, 인입출 핸들(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축(11)이 스크류관(23)에서 인출되면서 차단기 본체(10)는 레일(21)에 안내되어 운전위치 → 시험위치 → 인출위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출형 기중차단기에 있어서는, 크레들(20)이 지면에서부터 연동축(12b) 길이의 1/2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크레들(20)에서 차단기 본체(10)를 인입출시에 연동축(11b)의 단부가 지면과 닿게 되어 연동축(12b)을 360°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인입출 핸들(12)을 스크류축(11)과 분리한 후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다시 스크류축(11)과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정 길이를 갖는 연동축(12b)이 결합축(12a)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대용량 기종의 차단기를 인입출시킬 경우에는 한정된 연동축(12b)의 길이에 의하여 회전반경이 제한되므로 큰 회전력을 결합축(12a)으로 전달할 수 없게되어 연동축(12b)을 회전시키는데 과도한 힘이 요구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출형 기중차단기가 구비되는 크레들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동작시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고 작은 힘으로도 기중차단기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에 스크류관을 구비한 크레들과; 일측에 상기 스크류관에 인입 및 인출되는 스크류축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들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상기 결합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인입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가변인입출 핸들의 구조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는, 일측에 스크류관(23)을 구비한 크레들(20)과, 일측에 스크류관(23)에 인입 및 인출되는 스크류축(11)을 구비하고 크레들(2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기 본체(10)와, 스크류축(11)의 단부와 접촉되어 스크류축(11)을 회전시키는 결합축(31)과, 결합축(31)의 단부에 결합축(3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축(32)으로 구성되는 인입출 핸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 측으로 전, 후진시키기 위하여 크레들(20) 에는 차단기 본체(1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과, 가이드레일(21)의 등간격으로 가이드홈(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 일측에는 스크류관(23)이 구비되어 있다.
차단기 본체(10)의 하단부 일측에는 크레들(20)의 스크류관(23)에 삽입식으로 인입되는 스크류축(11)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류축(11)의 단부에는 스크류축(11)을 회전시켜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 측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인입출 핸들(30)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인입출 핸들(30)은 차단기 본체(10)를 인입 및 인출시킬 경우에 스크류축 (11)과 접촉되는 결합축(31)과, 소정의 길이를 갖고 결합축(31)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결합축(31)에 회전력을 가하는 연동축(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축(31)의 일측면에는 결합축(31)의 직경방향을 따라 삽입공(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연동축(32)은 삽입공(31a)에 연동축(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동축(32)이 슬라이드될 경우에 삽입공(31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동축(32)의 양단부에는 삽입공(3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링(Oring, 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단기 본체(10)를 크레들(20)에 인입 및 인출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크레들(20)의 설치 높이가 낮아 인입출 핸들(30)의 연동축(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일단부가 지면과 닿게 되는 경우에는 삽입공(31a)에 삽입 결합되어 있는 연동축(3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일단부를 지면에서 이탈시키고 다시 연동축(32)의 타단부가 지면과 닿을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스크류축(11)이 크레들(20)의 스크류관(2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차단기 본체(10)가 레일(21)을 타고 이동된다. 즉, 차단기 본체(10)는 인출위치 → 시험위치 → 운전위치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입출 핸들(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축(11)이 스크류관(23)에서 인출되면서 차단기 본체(10)는 레일(21)에 안내되어 운전위치 → 시험위치 → 인출위치로 이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에 스크류관을 구비한 크레들과; 일측에 상기 스크류관에 인입 및 인출되는 스크류축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들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상기 결합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인입출 핸들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인출형 기중차단기가 구비되는 크레들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기중차단기의 인입출 동작시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고, 스크류축의 회전동작에 있어서 스크류축의 회전 중심에서부터 힘이 작용하는 작용점의 역할을 하는 연동축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작은 힘으로도 기중차단기를 인입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에 스크류관을 구비한 크레들과;
    일측에 상기 스크류관에 인입 및 인출되는 스크류축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들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상기 결합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축으로 구성되는 인입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축의 직경방향을 따라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동축은 상기 삽입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축이 상기 삽입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동축의 양단부에는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오링(Orin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20050036766U 2005-12-28 2005-12-28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KR200411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766U KR200411505Y1 (ko) 2005-12-28 2005-12-28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766U KR200411505Y1 (ko) 2005-12-28 2005-12-28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05Y1 true KR200411505Y1 (ko) 2006-03-15

Family

ID=4176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766U KR200411505Y1 (ko) 2005-12-28 2005-12-28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6331A1 (en) Racking device and power module therefor
KR930006777A (ko) 인출형 차단기
EP1227557B1 (en) A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US6225581B1 (en) Installation comprising an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and a cable interlock
KR200411505Y1 (ko) 가변인입출 핸들을 구비한 기중차단기
US7278873B2 (en) Plug system for electrical plug connectors with latching device
CN111525483B (zh) 一种快速提升电力线路间距的工具
EP2392831B1 (en) Engagement member with fastening pin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two components
CN111525484B (zh) 一种可调电力线路间距杆
KR200228467Y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출 안전장치
KR200480162Y1 (ko) 차단기의 인출 장치
KR100954559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동작표시형 배전반
KR100621115B1 (ko) 기중차단기 인입출장치의 위치별 자동잠금장치
KR20090019541A (ko) 기중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CN210806410U (zh) 一种低压成套开关柜
KR200314093Y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출입 장치
JP3425723B2 (ja) 変速機のシフトレールインタロック機構
CN111971862B (zh) 移动设备拔出插入装置及电气设备
KR100327447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102116784A (zh) 一种机械式测试装置
CN211126768U (zh) 一种低压开关柜的抽屉的推进锁定机构及低压开关柜
JP4449667B2 (ja) 引出形開閉機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0420624B1 (ko) 서랍형 전기기기의 인출장치
KR102603227B1 (ko) 수배전반에 장착된 차단기를 인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이동시키는 장치
JP2000041309A (ja) 配電盤のユニット引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