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375Y1 -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 Google Patents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375Y1
KR200411375Y1 KR2020050036890U KR20050036890U KR200411375Y1 KR 200411375 Y1 KR200411375 Y1 KR 200411375Y1 KR 2020050036890 U KR2020050036890 U KR 2020050036890U KR 20050036890 U KR20050036890 U KR 20050036890U KR 200411375 Y1 KR200411375 Y1 KR 20041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interface
memory stick
memor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앤 유안 챈
Original Assignee
파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즈 캄퍼니 리미티드
치앤 유안 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즈 캄퍼니 리미티드, 치앤 유안 챈 filed Critical 파워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즈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50036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3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USB 메모리스틱 본체에 하나의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및 USB 인터페이스를 갖춘 범용버스를 설치하는 것이 주된 요지이며, 상기 범용버스는 USB 잭에 부합하는 형식으로서, 복수 종류의 메모리 전송 기능을 갖추고, 단일한 범용버스를 통하여 대응되는 연결포트와 접속되며, 전기장치와 대응되는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SD 전송인터페이스, MMC 전송인터페이스, MSpro 전송인터페이스, XD 전송인터페이스, SM 전송인터페이스, CF 전송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인터페이스와 신호의 액세스를 진행하는 USB 메모리스틱이다.
기판, 메모리모듈, 범용버스, 하우징, 제 1 접촉블록

Description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VARIABLE TYPE USB MEMORY STICK}
도 1은 본 고안의 메모리스틱의 기본 구성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접촉블록의 배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중 제 1 및 제 2 접촉블록의 배치 상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메모리스틱 외관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범용버스
3: 메모리모듈 4: 하우징
5: 스위치회로 21: 제 1 접촉블록
22: 제 2 접촉블록 51: 변환스위치
본 고안은 일종의 휴대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종의 단일한 범용버스를 통하여 대응되는 연결포트와 접속되도록 하며, 전기장치와 대응되는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대응되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와 데이터의 액세스를 진행하도록 하는 USB 메모리스틱에 관한 것이다.
소형 디지털 기종의 시장 규모가 나날이 성장함에 따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이동전화등...),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내부의 핵심 부품으로서, 이러한 제품의 소형화, 정교화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부품 기술은 상대적으로 소형화, 칩화를 주요 발전 방향으로 삼고 있으며, 소형화를 추구하는 이러한 IC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회로기판의 부피 또한 더욱 더 작아지고 밀도 도 역시 더욱 높아지고 있다.
상기 소형 디지털 기종으로 비디오 단편, 디지털 사진, MP3 음악과 게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mart Media Card, Secure Digital Card, Multi Media Card, Memory Stick Card, CF Card, XD Card...)와 휴대용 디스크 등 디지털 저장장치는 이미 수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이 휴대하는 물품이 되었으며, 디스켓과 비교해 보면 메모리카드와 휴대용디스크는 부피가 작은데 반해 용량은 디스켓보다 훨씬 크고 액세스 속도도 빠르며, 게다가 이 두 종류의 저장장치는 디스켓처럼 쉽게 습기가 차거나 훼손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이 두 저장장치로 디스켓을 대체하여 휴대하고 있다.
일반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전기 장치는 메모리스틱 및 메모리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전송인터페이스가 결코 동일하지 않아, 메모리스틱을 예로 들면 그 전송인터페이스는 USB 잭이고, 메모리카드의 전송인터페이스는 속칭 골드핑거라고 부르는 전도성 단자이기 때문에 회로기판 상측에 각각 USB 연결포트 및 메모리카드 커넥터와 대응되는 두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해야만 하므로 응용에 있어서 대단히 불편하다.
또한 회로기판상의 회로 배치는 단지 원리도의 연결관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회로공정의 몇몇 요구들(예를 들어: 고주파특성, 부품의 저항, 항간섭 등...)을 고려해야 하며, 회로기판 상의 설치구멍, 플러그, 정위구멍 및 각종 부품의 장착 위치는 규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야만 주변기기의 연결에 유리하고 양호한 통풍 방열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 상의 랜드(land), 통공, 배선.. 등의 배치는 모두 안전성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부품간의 충돌이 없음을 보장해야 하고 또한 설치, 디버그, 리콜 등이 편리해야 한다.
바꿔 말하면, 디지털 기종 제품의 소형화는 주로 내부 부품 및 회로기판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며 기능이 많을수록 그 회로 배치 및 IC 부품의 설치 역시 복잡해지게 되는데, 협소한 회로 배치의 제한을 받는 가운데 IC 부품과 배선을 증설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되어, 만약 부품을 더 많이 장착하고자 할 경우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만약 휴대용 저장장치에 여러 종류의 메모리 전송 기능이 갖추어 지도록 설계하고, 단일한 범용버스를 통하여 대응되는 연결포트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장치와 대응되는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와 신호의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면, 함께 사용하는 전기장치의 회로 기판 상의 전송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연결포트, 메모리카드 커넥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 점용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장치를 소형화의 방향으로 설계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내용에 착안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USB 메모리스틱 본체에 하나의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및 USB 인터페이스를 갖춘 범용 버스를 설치하되, 상기 범용 버스는 USB 잭에 부합하는 형식으로서,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 기능을 갖추고, 아울러 단일한 범용버스를 통하여 대응되는 연결포트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장치와 대응되는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SD 전송인터페이스, MMC 전송인터페이스, MSpro 전송인터페이스, XD 전송인터페이스, SM 전송인터페이스, CF 전송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와 신호의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는 USB 메모리스틱이다.
따라서, 메모리스틱 본체는 단일한 범용 버스만 설치하면 되고, 또한 상기 범용 버스 중 부분적인 회로접점의 기능이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와 USB 인터페이스를 중첩한 것이므로 메모리스틱의 부피 및 사용상의 불편을 증대시키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메모리스틱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전기장치는 범용버스와 대응되는 하나의 연결포트만 필요하기 때문에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리스틱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나아가 회로기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회로배치 및 장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더욱이 전체적인 안전성을 높이고 보관 및 물류 원가를 절감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 사용 효과, 응용 원리에 관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설명을 통하여 완전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메모리스틱의 기본 구성도로서, 메모리스틱은 하나의 기판(1)을 본체로 하며, 상기 기판(1)에 하나의 범용버스(2), 연결배선, 및 컨트롤칩, 스위치회로, 메모리모듈(3) 등 IC 부품을 설치하며, 기판(1) 외측에 한 겹의 하우징(4)을 감싸주고, 기판(1) 단부의 범용버스(2)만 노출되도록 하여 기판(1)의 IC부품을 차폐시킨다.
그 중, 범용버스(2)는 하나의 제 1 회로 접촉블록(2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블록(22)을 설치하며, 그 중 제 1 접촉블록(21)의 회로 접점의 배치는 USB 연결포트와 부합되는 대응 모드로서, 주로 디지털 저장장치 및 이와 접속되는 전기 장치가 USB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 2 접촉블록(22) 중의 일부의 회로접점은 미리 설정된 배치 모드로서, 제 1 접촉블록(21) 중의 회로접점과 결합되어 디지털 저장장치와 접촉되는 전기장치가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실시 시, 제 1 접촉블록(21)과 제 2 접촉블록(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기판(1)의 상, 하 양 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기판(1)의 동일한 면의 전, 후 구간 위치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범용 버스(2)에 통합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디지털 메모리스틱은 단일한 범용 버스(2)만 설치하면 되며, 또한 상기 범용 버스(2) 중 부분적인 회로 접점(도면 중 제 1 접촉블록(21)에 속한 회로접점)의 기능은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와 USB 인터페이스가 서로 중첩된 것으로서 디지털 저장장치의 부피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증대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디지털 메모리스틱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전기 장치는 범용 버스와 대응되는 연결포트를 하나만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본 디지털 메모리스틱과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나아가 회로기판의 공간을 절약하고, 회로 배치 및 장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전체적인 안전성을 높이고 보관 및 물류 원가를 저감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나의 스위치회로(5)를 이용하여 디지털 저장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은 범용 버스(2) 중의 USB 인터페이스 또는 멀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리 모듈 중의 플래시메모리와 데이터의 액세스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상기 스위치회로(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변환스위치(51)를 이용한 수동 모드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와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사이를 변환시키거나, 또는 컨트롤칩의 설치를 통하여 USB 인터페이스와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 사이의 각기 다른 전송모드에 대응하도록 하는 이러한 변환 방식은 종래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로 언급할 점은 메모리스틱 내부에 SD 전송인터페이스, MMC 전송인터페이스, MSpro 전송인터페이스, XD 전송인터페이스, SM 전송인터페이스, CF 전송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아울러 더 나아가 메모리스틱의 기판에 하나의 파일관리 컨버터를 설치하여 스위치회로와 메모리모듈 사이의 회로 연결을 구성하며, 파일관리 컨버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메모리모듈의 미리 설정된 플래시 메모리로 전환하거나 또는 플래시메모리 중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 점이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메모리스틱 본체는 단일한 범용 버스만 설치하면 되고, 또한 상기 범용 버스 중 부분적인 회로접점의 기능이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와 USB 인터페이스를 중첩한 것이므로 메모리스틱의 부피 및 사용상의 불편을 증대시키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메모리스틱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전기장치는 범용버스와 대응되는 하나의 연결포트만 필요하기 때문에 USB 전송인터페이스 또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리스틱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나아가 회로기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회로배치 및 장비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더욱이 전체적인 안전성을 높이고 보관 및 물류 원가를 절감하는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본 고안은 메모리스틱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구조를 제공하며, 이에 법에 의거하여 실용신안을 출원한다. 다만 이상에 기술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한정짓는 것은 아니며, 무릇 본 고안의 실용신안 출원범위에 따라 균등한 변화와 수식을 가한 경우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9)

  1. 본체에 하나의 USB 잭과 부합되는 형식의 범용버스가 설치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에 있어서,
    상기 범용버스에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및 USB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복수 종류의 메모리 전송기능을 구성하고 단일한 범용버스를 통하여 대응되는 연결포트와 접속되도록 하며, 전기장치와 대응되는 USB 전송인터페이스, SD 전송인터페이스, MMC 전송인터페이스, MSpro 전송인터페이스, XD 전송인터페이스, SM 전송인터페이스, CF 전송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와 신호의 액세스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버스는 하나의 제 1 접촉블록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접촉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접촉블록 중 회로접점의 배치는 USB 연결포트에 부합되는 대응 모드이고, 상기 제 2 접촉블록 중의 일부의 회로접점은 미리 설정된 배치 모드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블록 중의 일부의 회로접점은 제 1 접촉블록 중의 회로접점과 결합되어 메모리스틱 및 이와 접속되는 전기장치가 여러 종류의 메모리카드 전송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블록은 각각 기판의 상, 하 양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블록은 각각 기판의 동일한 면의 전, 후 구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6.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위치회로가 설치되어 범용버스와 메모리모듈 사이의 회로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회로는 하나의 변환스위치를 통한 수동 모드를 이용하여 USB 인터페이스 및 멀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사이를 변환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회로는 컨트롤칩의 설치를 통하여 USB 인터페이스 및 멀티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사이를 자동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위치 회로 및 하나의 파일관리 컨버터가 설치되어 범용버스와 메모리모듈 사이의 회로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KR2020050036890U 2005-12-29 2005-12-29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KR200411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90U KR200411375Y1 (ko) 2005-12-29 2005-12-29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90U KR200411375Y1 (ko) 2005-12-29 2005-12-29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375Y1 true KR200411375Y1 (ko) 2006-03-14

Family

ID=4176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890U KR200411375Y1 (ko) 2005-12-29 2005-12-29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3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512B1 (ko) * 2008-12-15 2010-12-31 하나 마이크론(주) Usb 메모리 패키지
KR101552197B1 (ko) 2014-01-29 2015-09-10 김민석 회전식 유에스비 메모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512B1 (ko) * 2008-12-15 2010-12-31 하나 마이크론(주) Usb 메모리 패키지
KR101552197B1 (ko) 2014-01-29 2015-09-10 김민석 회전식 유에스비 메모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6575B1 (en) Vehicle computing module
US6736678B2 (en) Memory card interface adapter
US20040087213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70239935A1 (en) Digital storage device
US20100068937A1 (en) Adaptor device for connecting and accessing data card and computer device incorporating the adaptor device
US20070032100A1 (en) Replaceable input/output interface for circuit board
US20070130404A1 (en) Portable notebook computer motherboard
CN210630173U (zh) 一种模块通用化的车载娱乐系统主机
US7357643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use with different wireless module cards
KR200411375Y1 (ko) 가변식 usb 메모리스틱
CN201017311Y (zh) 一种可热插拔的硬盘
US20070150638A1 (en) Changeable USB memory stick
KR20070070716A (ko) 디지털 저장장치
US20070293267A1 (en) Multi-functio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JP3121187U (ja) マルチ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ポート
JP2007109050A (ja) ディジタル保存装置
JP3118657U (ja) 可変式usbメモリステッキ
TWI409997B (zh) 電腦系統中主機板上的信號切換連接器組件
KR100713510B1 (ko) 범용 직렬 버스 포트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411207Y1 (ko) 멀티 인터페이스 포트
US10579302B2 (en) Semiconductor device
CN220795834U (zh) 一种兼容不同连接器的主板及终端设备
JP2004139953A (ja) プリント回路基板及びプリント回路基板のカードスロット
US20120182685A1 (en) Data Storage Device
CN216387985U (zh) 一种计算机主板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