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85Y1 - 직선왕복운동 엔진 - Google Patents

직선왕복운동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85Y1
KR200411285Y1 KR2020050029319U KR20050029319U KR200411285Y1 KR 200411285 Y1 KR200411285 Y1 KR 200411285Y1 KR 2020050029319 U KR2020050029319 U KR 2020050029319U KR 20050029319 U KR20050029319 U KR 20050029319U KR 200411285 Y1 KR200411285 Y1 KR 200411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slider
engine
linear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김주회
Original Assignee
김영환
김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김주회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50029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4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rranged oppositely relative to main shaft and of "fla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Abstract

본 고안은 직선왕복운동 엔진에 관한 것으로 4기통 실린더를 좌,우 2열로 대향되게 배치하고 피스톤 로드는 좌,우 실린더의 중간부에 설치된 슬라이더에 공통 연결하고 중간부의 슬라이더에 플라이휠의 크랭크 편심축을 연결하여, 각 실린더의 피스톤이 순차적으로 연료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하여 원운동의 변환기구 없이 슬라이더가 직선왕복운동으로 출력되는 엔진을 구성하고 직선왕복운동 작업기계에 직결하여서, 원운동변환에 의한 동력 손실을 절감하고 기계의 구조를 보다 소형화, 간소화하여 운반 취급및 관리가 용이하고 직선왕복운동 엔진의 동력 이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직선왕복운동 엔진, 실린더, 피스톤, 슬라이더, 가이드 레일, 플라이휠, 크랭크

Description

직선왕복운동 엔진{LINEAR MOTION ENGINE}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의 평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엔진에 콤프레서를 직결한 단면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엔진행정의 동작예시도로서
A는 제1실린더의 폭발행정의 예시도
B는 제2실린더의 폭발행정의 예시도
C는 제3실린더의 폭발행정의 예시도
D는 제4실린더의 폭발행정의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2: 실린더 2p : 피스톤 2c : 피스톤 로드 3 : 슬라이더
3h : 가로 슬라이딩구멍 4 : 가이드레일 5 : 플라이휠 5c : 크랭크
5s : 편심축
본 고안은 직선왕복운동 엔진에 관한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운동변환기구가 없이 직선왕복운동만 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왕복동 작업기계, 예컨대, 피스톤형 콤프레서(compresser), 프레스기, 바이브레이터 등은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하게 되어 있고 다만 엔진의 회전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직선왕복운동 작업기계에도 크랭크와 같은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하는 작업기계와, 엔진의 동력의 이용관계를 살펴보면, 엔진측에서는 실린더에서의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이 크랭크기구에 의하여 원운동으로 변환하여 출력되고 출력된 원운동으로 작업기계의 구동휠(크랭크기구)을 회동하면 이 회동운동이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압축 피스톤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동작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메카니즘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에서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작업기계에 이르는 동작 메카니즘은 직선운동-원운동(엔진)→원운동-직선운동(작업기계)으로 되어 있어, 이러한 직선운동을 원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동력손실이 크기 때문에 콤프레서와 같은 작업기계에서 엔진의 동력 이용율이 그만큼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지금까지의 모든 엔진은 원운동으로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직선왕복운동작업기계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했다.
따라서 왕복운동 작업기계에는 크랭크기구가 부가되기 때문에 그만큼 기계구조가 복잡하고 용적이 크게 되며, 운반취급이 불편하고 생산코스트가 그만큼 높으며 관리 유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왕복운동으로만 출력되는 엔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크랭크에 의한 원운동변환기구가 없고 직선왕복운동으로 출력되는 엔진에 의하여, 직접 직선왕복운동 작업기계, 예컨대 피스톤형 콤프레서와 같은 작업기계에 직결하여 가동함으로서 엔진의 동력 이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원운동-직선운동변환기구가 생략되어 그만큼 기계구조가 보다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성능이 보다 양호하면서 생산 코스트가 보다 저렴한 직선왕복운동 엔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직선왕복운동 프레스기, 직선왕복운동 펌프, 직선왕복운동 햄머, 바이브레이터, 기타 각종 직선왕복운동 기계장치의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엔진의 피스톤의 4행정에 있어서 연료의 폭발행정과 배기행정시의 피스톤 운동방향이 동일하고 연료의 흡입행정과 압축행정의 피스톤 운동방향이 이 동일한인 점에 착안하여, 새로운 직선왕복운동 엔진을 개발하였다.
즉, 적어도 4행정을 순차적으로 이루기에 적합한 4개의 실린더(4개의 실린더에 한정하는 것음 아님)를 본체에 좌,우 2열로 나누어 대향되게 배치하였다. 상기 대향된 좌,우 양측 실린더열의 중간부에는 슬라이더를 가이드레일에서 좌,우로 슬 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또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플라이휠의 크랭크의 편심축을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세로 슬라이더구멍(Slider hole)에 연결하여, 크랭크의 회전궤도에 의하여 피스톤의 상사점(上死點)과 하사점(下死點)의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동시 플라이휠을 사용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하여 본 고안의 직선왕복운동 엔진을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엔진은 실린더의 독특한 배치와, 양측 피스톤 로드가 공통으로 연결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크랭크에 의하여, 각 실린더의 피스톤이 순차적으로 연료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에 따라 직선왕복운동되고 피스톤이 연결된 슬라이더가 좌,우,직선왕복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직선왕복운동 엔진의 동력추출은 바로 슬라이더의 직선왕복운동 그 자체이다. 플라이휠은 엔진의 시동(starting)시에 사용되나 엔진의 동력 메니커즘은 아니다.
그리고 엔진의 각 실린더 헤드에는 점화플러그, 연료흡기관, 연료배출관, 밸브등이 구비되어 엔진의 행정별로 동기(同期)하여 연료밸브와 배기밸브가 개폐되고 점화플러그의 점화, 연료의 흡입, 압축, 폭발, 배출의 4행정은 일반 엔진의 경우와 작동이 동일하다.
즉, 제1실린더에서 점화플러그의 점화에 의하여 연료가 폭발하면, 그 폭발압력으로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하여 직선운동되는 동시 제1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다른 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동작에 의하 여 제2실린더의 피스톤은 연료의 압축행정을 이루며 제3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하여 하사점으로 끌리면서 연료의 흡입행정을 이루고 제4 실린더의 피스톤은 앞의 행정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행정을 이룬다.
제2실린더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점화플러그의 점화에 의하여 연료가 폭발하며, 그 폭발력으로 제2 실린더의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의 한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동작에 의하여 제1실린더의 피스톤은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행정을 하며 제3실린더의 피스톤은 흡입된 연료의 압축행정을 하고 제4실린더의 피스톤은 연료의 흡입행정을 이룬다.
제3실린더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점화플러그의 점화에 의하여 연료가 폭발하며, 그 폭발력으로 제3실린더의 피스톤이 하사점을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며 따라서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다른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의 동작에 의하여 제1실린더의 피스톤은 연료의 흡인행정을 이루고 제2실린더의 피스톤은 연소가스를 배기하는 배기행정을 이루며, 제4실린더의 피스톤은 흡입된 연료의 압축행정을이룬다.
제4실린더의 피스톤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점화플러그의 점화에 의하여 연료가 폭발하며, 그 폭발력으로 제4실린더의 피스톤은 하사점을 향하여 직선운동을 하며 따라서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한쪽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더의 동작에 의하여 제1실린더의 피스톤은 흡입된 연료의 압축행정이 이루어지고 제2실린더의 피스통은 연료의 흡입행정을 이루며 제3실린더의 피스톤은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행정을 이룬다.
이러한 행정시에 점화플러그는 점화시기에 점화되고 연료밸브와 배기밸브가 행정별로 적절하게 개폐되는 것은 일반 엔진과 같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실린더, 제2실린더, 제3실린더 및 제4실린더에서 순차적으로 압축, 폭발, 배출, 흡입의 4행정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며 그 때마다 슬라이더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의 좌,우 왕복운동이 곧 출력이다.
슬라이더의 왕복운동시, 슬라이더의 가로의 슬라이딩작용과, 슬라이더의 세로 슬라이딩 구멍에서의 크랭크 편심축의 세로 슬라이딩작용의 결합인 크로스 슬라이딩 작용에 의하여 플라이휠이 회전된다. 플라이휠의 회전관성에 의하여 슬라이더는 직선운동의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피스톤이 각 실린더의 상사점을 지나는 순간에 점화플러그가 점화되므로서 엔진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엔진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크랭크의 편심축에 의해서 슬라이더의 좌,우 행정거리가 제한되므로 피스톤이 실린더의 하사점과 상사점 이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고안의 엔진은 슬라이더의 왕복운동이 출력이므로 원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 등의 원운동 변환수단이 생략된다.
따라서 본 고안 엔진의 슬라이더에 왕복동하는 작업기계, 예컨대 콤프레서의 피스톤의 로드를 직결하면 슬라이더의 왕복운동 출력에 의하여 직접 콤프서의 피스톤을 왕복운동시키어 콤프레서를 가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왕복운동 엔진은 크랭크기구와 같은 원운동의 변환수단이 생 략되므로 그만큼 엔진의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생산 코스트가 보다 저렴하게 된다. 또한 운반 취급이 용이하고 관리가 편리하다.
또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각종 작업기계에는 본 고안의 직선왕복운동 엔진을 사용할 경우 각종 작업기계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이들 작업기계에 본 고안의 직선왕복운동 엔진을 직결하면 기계뭉치가 소형화로 되는 동시 동일조건에서의 엔진의 출력이 보다 강력하여 작업기계의 성능을 그만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랭크기구에 의한 직선운동을 원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므로 직성왕복운동 기계에서의 엔진의 동력 이용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직선왕복운동 엔진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콤프레서뿐 아니라 각종 산업기계 분야에서 직선왕복운동 작업기계등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엔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동 평단면도이며 도3은 평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엔진괴 피스톤형 콤프레서를 직결한 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본체(1)의 복수개의 실린더(2)(도면에는 4개의 실린더)가 짝을 지어 좌,우 양측 2열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실린더(S1)와 제2실린더(S2)가 마주 보고 제3실린더(S3)와 제4실린더(S4)가 마주 보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들 좌,우 실린더(2) 열의 중간부에는 슬라이더(3)가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실린더(S1)의 피스톤(P1)과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에 연결된 각 로드(2c)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3)의 일측면(도면의 좌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2)과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에 연결된 각 로드(2c)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3)의 타측면(도면에 우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면의 좌측열의 실린더에서 피스톤이 우측의 하사점(d)으로 슬라이딩되면 슬라이더에 연결된 도면의 우측열의 실린더의 각 피스톤은 상사점(u)으로 슬라이딩되고 반대로 우측열의 실린더의 각 피스톤이 좌측의 하사점(d)으로 슬라이딩하면 좌축열의 각 피스톤은 좌측 실린더의 상사점(u)으로 슬라이딩되는 상반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한쪽열의 실린더에서 압축과 배출행정을 동시에 이루어지면 다른 쪽열의 실린더에서는 흡입과 팽창행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본체(1)의 일측에 베어링(5b)에 의하여 설치된 플라이휠(5)의 회전축(5x)에 상기 슬라이더(3)의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크랭크(5c)가 설치되고 크랭크(5c)의 편심축(5s)이 상기 슬라이더(3)의 세로 슬라이딩구멍(3h)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5c)의 편심축(5s)의 회전궤도(c)의 원주지름(2r)은 상기 피스톤(2p)및 슬라이더(3)의 행정거리(L)와 일치하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5c)에 의하여 각 피스톤(2p)이 실린더(2)의 상사점(u)과 하사점(d) 이상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의 각 실린더 헤드(2h)에 형성된 연료흡입구(2i)와 배출구(2u)에는 연료 밸브(V1)와 배기밸브(V2)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밸브는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기구에 의하여 피스톤의 행정과 동기하여 작동하게 되어 있다.
도2, 도3에는 상기 플라이휠(5)의 회전축(5x)에 표시된 타이밍기어(5g)(5g')를 이용하여 연료밸브(V1)와 배기밸브(V2)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일반 엔진의 경우와 같이 작동되는 것으로 전제하고 설명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제1실린더의 폭발행정)
도5A에 표시된 비와 같이, 제1실린더(S1)의 연료밸브(V1)와 배기밸브(V2)가 닫힌 상태에서 점화플러그(P)에 의하여 점화되어 앞의 행정에서 압축된 연료가 폭발하면, 이 폭발작용에 의하여 피스톤(P1)은 하사점(d)을 향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작동되며 따라서 슬라이더(3)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슬라이더(3)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2)은 압축동작으로 제2실린더(S2)에 흡입된 연료의 팽창행정이 이루어진다.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은 흡인동작으로 연료밸브(V1)가 개방된 연료흡입구(2i)를 통하여 연료를 흡입하는 연료의 흡입행정이 이루어진다.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은 압축동작으로 배기밸브(V2)가 개방된 배출구(2u)를 통하여 앞의 행정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의 배기행정이 이루어진다.
(제2실린더의 폭발행정)
도5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S2)의 점화플러그(P)의 점화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가 폭발하면,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2)이 하사점(d)을 향하여 도면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하며, 따라서 슬라이더(3)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도면의 좌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러한 슬라이더(3)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실린더(S1)의 피스톤(P1)은 압축동작으로 앞의 행정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를 배기밸브(V2)가 열린 배출구(2u)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행정이 이루어진다.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은 압축동작으로 연료밸브(V1)와 배기밸브(V2)가 닫힌 상태에서 앞의 행정에서 흡입된 연료가 압축되는 압축행정이 이루어진다.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은 흡입작동으로 연료밸브(V1)가 개방된 연료흡입구(2i)로 연료가 흡입되는 흡입행정이 이루어진다.
(제3실린더의 폭발행정)
도5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이 상사점(u)에 도달하면 점화플러그(P)의 점화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가 폭발하고 폭발압력에 의하여 피스톤(P3)은 하사점을 향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작동되고 이에 슬라이더(3)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슬라이딩은 제1실린더의 폭발행정시의 슬라이딩과 동일하다.
이러한 슬라이더(3)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실린더(S1)의 피스톤(P1)은 흡인동작으로 연료밸브(V1)가 개방된 연료흡입구(2i)를 통하여 연료가 흡입되는 흡입 행정이 이루어진다.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3)은 압축동작으로 앞의 행정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배기밸브(V2)가 개방된 배출구(2u)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행정이 이루어진다.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은 압축동작으로 연료밸브(V1)와 배기밸브(V2)가 닫힌 상태에서 연료의 압축행정이 이루어진다.
(제4실린더의 폭발행정)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이 상사점(u)에 도달하면 점화플러그(P)의 점화에 의하여 압축된 연료가 폭발하고 폭발압력으로 피스톤(P4)은 하사점(d)을 향하여 작동되면서 슬라이더(3)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3)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실린더(S1)의 피스톤(P1)은 압축동작으로 앞의 행정에서 흡입한 연료를 압축하는 압축행정이 이루어진다.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2)은 흡인동작으로 연료밸브(V1)가 개방된 연료흡입구(2i)를 통하여 연료가 흡입되는 흡입행정이 이루어진다.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은 압축동작으로 앞의 행정에서 폭발연소된 연소가스가 배기밸브(V2)가 개방된 배출공(2u)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행정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플러그의 점화시기, 연료밸브와 배기밸브의 개폐시기와 작동에 대하여는 공지된 일반 엔진에 준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의 좌,우 슬라이딩에 의하여 좌측열의 피스톤(P1)(P3)과 우측열의 피스톤(P2)(P4)은 항상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되 좌,우열의 피스톤이 상사점(u)과 하사점(d)에 이르는 방향은 정반대이다.
또 슬라이더(3)의 좌,우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더(3)의 세로 슬라이딩구멍(3h)에 연결된크랭크(5c)의 팬심축(5s)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이 교차되는 크로싱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되고 크랭크(5c)는 원운동으로 변환되어 플라이휠(5)이 회전된다. 이 플라이휠(5)의 회전관성에 의하여 크랭크(5c)가 슬라이더(3)을 각 피스톤의 상사점(u)과 하사점(d)에서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여 운동방향이 전환된 시점에서 폭발행정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엔진이 진동 없이 엔진의 출력이 강력하고 슬라이더의 직선왕복운동을 원활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각 실린더(2)의 피스톤(2p)의 왕복행정거리(L)가 크랭크(5c)의 편심축(5s)에 일정하게 제한되므로 엔진의 안정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엔진의 각 실린더에서 4행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가이드레일에서 좌,우 직선왕복운동으로 출력됨으로 원운동이 없는 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각종 작업기계에 독특한 왕복운동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도4는 본 고안의 엔진(E)과 피스톤형 콤프레서(CP)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한 실시 예시도이다.
콤프레서(CP)는 본체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실린더(11)가 배치되고 좌,우 실린더의 중간부에 슬라이더(14)가 설치되고 좌,우 실린더(11)의 피스톤(12)의 로드(13)는 슬라이더(14)의 양측에 공통으로 연결접속되어 슬라이더(14)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면 피스톤이 실린더에서 유체를 압축하게 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콤프레서(CP)의 슬라이더(14)을 본 고안의 엔진(E)의 출력부인 슬라이더(3)에 적절한 접합수단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본 고안의 엔진(E)을 가동하면 각 실린더(2)의 피스톤(2p)이 연료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의 동작이 반복으로 슬라이더(3)이 좌,우 직선왕복운동으로 출력되고 이 출력에 의하여 콤프레서(CP)의 슬라이더(14)이 좌,우로 왕복운동된다. 이 동작으로 좌,우 양측의 피스톤(12)이 교대로 실린더(11)에서 유체를 압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콤프레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레스기, 햄머, 바이브레이터, 기타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각종 작업기계에 본 고안의 엔진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실린더를 짝을 지어 좌,우 2열로 대향되게 배치하여 각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중앙부의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슬라이더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엔진의 4행정의 작동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좌,우로 직선왕복운동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회전엔진과는 달리 직선왕복운동으로 출력되는 새로운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엔진은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원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가 없이 피 스톤의 직선운동을 출력으로 하였기 때문에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각종 작업기계에도 엔진의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기 위한 수단이 생략되고 이들 작업기계와 본 고안의 엔진을 직결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엔진의 직선운동을 원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구가 생략됨으로 그만큼 엔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출력이 보다 강력하다.
또 작업기계에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는 기구가 생략될 수 있어 기계뭉치를 작게 할 수 있고 구조가 보다 간단하여 생산 코스트가 보다 저렴할 뿐 아니라 운반 취급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 각종 산업분야의 직선왕복운동으로 가동되는 각종 작업기계에 보다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의 좌우 2열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실린더(S1)의 피스톤(P1)과 제3실린더(S3)의 피스톤(P3)에 연결된 각 로드(2c)의 단부는 가이드레일(4)에 설치된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실린더(S2)의 피스톤(P2)과 제4실린더(S4)의 피스톤(P4)에 연결된 각 로드(2c)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3)의 타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직선왕복운동 엔진(E)에 있어서, 콤프레서(CP)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대향하여 배치된 각 실린더(1)의 피스톤(12)에 연결된 로드(13)의 단부를 중앙부측 슬라이더(14)의 좌,우 양측에 각각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더(14)를 상기 엔진(E)의 슬라이더(3)와 일체로 결합시켜서 상기 엔진의 직선왕복운동 출력에 의하여 상기 콤프레서(CP)가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왕복운동 엔진
KR2020050029319U 2005-10-14 2005-10-14 직선왕복운동 엔진 KR200411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19U KR200411285Y1 (ko) 2005-10-14 2005-10-14 직선왕복운동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19U KR200411285Y1 (ko) 2005-10-14 2005-10-14 직선왕복운동 엔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62A Division KR20040075246A (ko) 2003-02-20 2003-02-20 직선왕복운동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85Y1 true KR200411285Y1 (ko) 2006-03-13

Family

ID=4176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19U KR200411285Y1 (ko) 2005-10-14 2005-10-14 직선왕복운동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6082A (zh) * 2019-09-10 2020-05-15 熵零技术逻辑工程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6082A (zh) * 2019-09-10 2020-05-15 熵零技术逻辑工程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901B2 (en) Free swinging piston heat machine
KR20040075246A (ko) 직선왕복운동 엔진
WO2016177017A1 (zh) 气缸型内燃发动机可伸缩连杆
KR102584315B1 (ko) 컨넥팅 로드없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왕복운동장치
KR200411285Y1 (ko) 직선왕복운동 엔진
JPH0674721B2 (ja) 一体構造のピストンとシリンダ−壁部分を有する機械
CN202031713U (zh) 气缸口封闭式发动机
CN101270688B (zh) 活塞转子内燃机
JP4655286B2 (ja) 対峙対向するリニアモーションプランジャーポンプが、回転するカムをカムフォロアーで、リニアモーションに変換し、シリンダーヘッドとシリンダー内の空間にコンプレッションスプリングとピストンを組入れ、このスプリングの圧縮反発で、回転するカムに追従する確動カムを形成し、クランクレスのピストン往復運動で、ポンプの吸気・圧縮・排気を実施する構造。
CN102287293A (zh) 气缸口封闭式发动机
CN1546853A (zh) 多元旋转无曲轴概念内燃机
JP4327019B2 (ja) 往復圧縮機
JP2005524023A5 (ko)
CN201330690Y (zh) 多缸平移压缩装置
CN101476552B (zh) 多缸平移压缩装置
US792119A (en) Internal-combustion engine.
EP3247891B1 (en) Linear piston engine for operating external linear load
US11053931B2 (en) Dual engine-compressor system
KR20110114322A (ko) 응폭 펌프
CN108979852A (zh) 一种新型内燃机结构
KR20080040320A (ko) 피스톤의 측압이 발생하지 않는 내연기관
KR100336159B1 (ko) 연소 가스 모터
JP2002039073A (ja) 往復動圧縮機
CN105240118A (zh) 一冲程内燃机
RU63457U1 (ru) Модульный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