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185Y1 -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185Y1
KR200411185Y1 KR2020050035630U KR20050035630U KR200411185Y1 KR 200411185 Y1 KR200411185 Y1 KR 200411185Y1 KR 2020050035630 U KR2020050035630 U KR 2020050035630U KR 20050035630 U KR20050035630 U KR 20050035630U KR 200411185 Y1 KR200411185 Y1 KR 200411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in body
ultrasonic generator
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2020050035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66Pulsated flow
    • B01D2321/2075Ultrason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과,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과,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격막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스크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에 초음파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제거장치가 닿지 않는 여과스크린의 안쪽 또는 바깥쪽까지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용수여과기, 용수여과장치

Description

용수여과장치{A PROCESS WATER FILTER}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VI-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용수여과장치 115a, 215a; 관통홀
110, 210, 210'; 본체 111, 211; 유입관
111a, 211a; 유입실 112a, 212a; 배출실
112, 212; 배출관 113; 출입부
114; 덮개 115, 215; 격막
116; 제 1 축 117; 제 2 축
118; 제 3 축 119; 제 4 축
120, 220; 커버 130, 230; 모터
131; 모터축 140, 240; 제어기
150, 250; 토출부 151, 251; 토출관
152; 밸브 160, 260; 초음파발생기
161, 261; 초음파발생부 162, 262, 262'; 전선
170, 270, 270'; 여과스크린 181; 스크레이퍼
182, 284; 브러시 183; 인장스프링
180; 이물질제거기 190,290; 압력계
280, 280'; 역세관 252; 제 2 밸브
281; 장공 282; 흡입가이드
283; 제 1 밸브 310; 회전커넥터
본 고안은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수를 여과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수여과장치는 내부에 설치된 여과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해, 용수여과장치의 본체에 결합된 커버를 분리하고 여과스크린을 분리시켜 세척하거나, 별도의 브러시 또는 스크레이퍼를 여과스크린과 밀착시켜 본체내부에 설치하여 여과스크린을 세척하였다.
여과스크린은 용수가 통과될 때 여과스크린에 형성된 틈새보다 큰 이물질만을 걸러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스크린의 틈새에 걸려 통과되지 못한 이물질은 이물질제거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하지만, 계속해서 용수여과장치를 사용하면, 오래된 수도관에서 볼 수 있는 관석과 비슷한 스케일이 용수여과장치에 설치된 여과스크린의 표면에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물질제거기가 닿는 부위는 청소가 가능하지만, 여과스크린을 통과한 이물질 및 스케일이 브러시 또는 스크레이퍼가 닿지 않는 여과스크린의 반대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여과스크린의 틈새가 점점 작아져 용수여과장치의 용수 배출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스크린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브러시 또는 스크레이퍼가 닿지 않는 부분까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과,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과,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격막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스크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에 초음파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외면에 초음파를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초음파발생기가 상기 본체에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출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의 초음파가 상기 여과스크린의 외면을 따라 발산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스크린은 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의 초음파가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발산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과 상기 초음파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여과스크린(170), 커버(120), 초음파발생기(160)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관통홀(115a)이 형성된 격막(115)이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110)에는 격막(115)을 중심으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실(111a)과, 여과스크린(170)을 통해 여과된 용수가 수용되는 배출실(112a)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에는 유입실(111a)과 연결되어 유입실(111a)에 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관(111)과, 배출실(112a)과 연결되어 배출실(112a)로부터 공급받은 용수를 배출하는 배출관(112)이 형성된다.
한편, 여과스크린(170)은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본체(110)의 격막(115)에 설치된다.
여기서, 여과스크린(170)은 와이어가 나선으로 적층된 통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는 단면이 삼각 형상을 가지고, 삼각 형상의 밑변이 외측을 향하도록 향하도록 여과스크린(170)을 형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유입관(111)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는 유입실(111a)을 통해 여과스크린(170)의 외부에서부터 나선 틈으로 통과함으로써, 용수에 섞인 이물질이 여과스크린(170)에 의해 걸러진다.
커버(120)는 본체(110)의 상부를 개폐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여과스크린(170)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침전되어 본체(110) 바닥에 소정 정도 쌓이게 되면, 커버(12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본체(110)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을 흡입호스 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본체(110)의 하부에는, 본체(110)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토출관(150) 및 밸브(152)를 갖는 토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여과스크린(170)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본체(110) 바닥에 침전되고, 침전된 이물질을 토출부(150)의 밸브(152)를 열어 토출관(151)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12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본체(110)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토출관(151)은 용수여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정 크기의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 배출시에도 용수여과를 수행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160)는 본체(110) 내부에 여과스크린(17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된다. 여기서, 각 초음파발생기(160)에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161)가 마련된다. 초음파발생부(161)는 여과스크린(17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여과스크린(170)의 측벽과 본체(110)의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기(16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가 여과스크린(170)의 외면에 발산되어, 여과스크린(170)의 틈새에, 용수가 통과하여 쌓인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여과스크린(170)을 세척한다.
또한, 초음파발생기(160)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여과스크린(170)에 발생할 수 있는 관석 등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석 등의 스케일에 의해 여과스크린(170)의 틈새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과스크린(170)의 여과 기능의 저하 및 용수의 배출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여과스크린(17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30)는 커버(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120)를 통과한 모터축(131)을 통해 여과스크린(170)과 연결되어 여과스크린(1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0)의 작동을 통해 여과스크린(170)을 회전시켜 초음파발생기(160)로부터의 초음파가 여과스크린의 외면을 따라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스크린(170) 전체를 고루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초음파발생기(160)가 본체(110)로부터 출입 가능하도록 본체(110)의 측벽을 개폐하는 덮개(114)가 구비된 출입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160)는 출입부(113)의 덮개(1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초음파발생기(1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62)이 덮개(114)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기(160)는 본체(110)에 탈착 가능해지고, 커버(120)를 본체(110)에서 분리하지않고 출입부(113)의 덮개(114)만을 열어 점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기(160) 점검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설치 또한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무거운 커버(120)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기중기 없이 인력만으로도 초음파발생기(160)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다.
여기서, 여과스크린(170)을 신속하게 청소하기 위해, 여과스크린(17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의 이물질제거기(180)를 더 포함한다.
이물질제거기(180)는 여과스크린(170)의 외측에 밀착시켜 본체(110)에 설치 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181)와 브러시(1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레이퍼(181)와 브러시(182)를 설치하기 위해 격막(115) 주변에 다수의 축(제 1 축 내지 제 2 축)이 설치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스크레이퍼(181)는 여과스크린(170)과 밀착되도록, 격막(115)에 설치된 제 1 축(11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크레이퍼(181)와 격막(115)에 설치된 제 2 축(117) 사이에 인장스프링(183)을 설치한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스크레이퍼(181)는 인장스프링(183)에 의해 제 1 축(116)을 중심으로 여과스크린(170)과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여과스크린(170)에 달라붙은 점성이 강한 이물질을 긁어낸다.
브러시(182)는 여과스크린(170)과 밀착되도록, 격막(115)에 설치된 제 3 축(11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브러시(182)와 격막(115)에 설치된 제 4 축(119) 사이에 인장스프링(183)을 설치한다.(도 2 참조) 이에 따라, 브러시(182)는 인장스프링(183)에 의해 제 3 축(118)을 중심으로 여과스크린(170)과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여과스크린(170)에 끼어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쓸어낸다.
여기서, 본체(11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압력과 배출관(112)으로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미도시)와, 이를 나타내는 압력계(190)가 유입관(111)과 배출관(112)에 각각 한 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외벽에, 압력센서와 모터(130) 및 초음파발생기(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된 제어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용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스크린(170)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어 유입관(111) 내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배출관(112)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140)는 유입관(111) 내의 압력 또는 배출관(112) 내의 압력을 압력센서로부터 읽어들여 제어기(140)에 미리 입력된 압력수치를 비교하고, 제어기(140)에 입력된 압력수치를 벗어나게 되면, 제어기(140)에 연결된 모터(130)를 작동시켜 여과스크린(17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물질이 쌓인 여과스크린(170)의 외측 둘레는 이물질제거기(180)에 의해 청소되고, 초음파발생기(16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해 여과스크린(170) 내측에 쌓인 이물질 및 스케일을 제거함으로써, 유입관(111)과 배출관(112)의 압력이 복구되어 정상적인 용수여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관(111)과 배출관(112)의 압력이 복구되면, 제어부는 모터(130)의 회전을 정지시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본 고안의 용수여과장치(100)에, 초음파발생기(160)의 탈착을 위해 형성된 출입부(113)와 같은 또 하나의 출입부(미도시)가 본체(11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182)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감겨있을시, 브러시(182)를 본체(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용수여과장치(200)는 본체(210), 여과스크린(270), 커버(220), 초음파발생기(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 사용된 동일번호는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200)의 본체(210)는 본체(210) 내부에 관통홀(215a)이 형성된 격막(215)이 설치된다. 그리고, 격막(215)을 중심으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실(211a)과 여과스크린(270)을 통해 여과된 용수가 수용되는 배출실(212a)이 형성된다. 여기에, 유입실(211a)과 연결되어 유입실(211a)에 용수를 공급하는 유입관(211)과, 배출실(212a)과 연결되어 배출실(212a)로부터 공급받은 용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200)는 역세관(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역세관(280)은 본체(21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본체(210)의 중앙 축선상에 설치되고, 여과스크린(270) 표면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공(281)이 역세관(280)의 측벽에 형성된다. 그리고, 역세관(280)의 하부에는 역세관(280)을 개폐하는 제 1 밸브(28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역세관(280)의 장공(281)을 중심으로 여과스크린(270)을 향해 흡입가이드(28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과스크린(170)은 일측이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본체(110)의 격막(115)에 설치된다.
여기서, 여과스크린(270)은 와이어가 나선으로 적층된 통 형상일 수 있다.
여과스크린(270)에 적층된 와이어는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이고, 이등변 삼각형의 밑변이 내측으로 향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유입관(211)으로부터 유입된 용수를 유입실(211a)을 통해 여과스크린(270)의 내부에서부터 나선 틈으로 통과시켜 용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낸다.
커버(220) 및 토출부(250)는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된 커버(120) 및 토출부(150)에 대응하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초음파발생기(260)는 본체 내부에 여과스크린(270)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된다. 여기서, 각 초음파발생기(260)에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261)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발생기(260)는 여과스크린(27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초음파발생부(261)는 여과스크린(27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역세관(280)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여과스크린(27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30)가 커버(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230)의 축이 여과스크린(270)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30)가 작동되면 여과스크린(270)이 회전하게 되고, 초음파발생기(260)으로부터의 초음파가 여과스크린(270)의 내면을 따라 고루 발산됨으로써, 여과스크린(270)을 고루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스크린(270)을 신속하게 세척하기 위해 흡입가이드(282) 전방에 위치하여, 여과스크린(270)의 높이에 대응하는 브러시(284)가 역세관(28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스크린(270)의 틈새에 끼어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쓸어낼 수 있다.
여기서, 본체(210)의 유입관(211)으로 유입되는 용수와 배출관(212)으로 배출되는 용수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계(290)가 각각 한 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압력계(290)와 모터(230) 및 초음파발생기(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된 제어기(240)가 본체(210)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용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스크린(270)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어 유입관(211) 내의 압력이 높아지거나 배출관(212) 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240)는 유입관(211) 내의 압력 또는 배출관(212) 내의 압력을 압력센서로부터 읽어들여 제어기(240)에 미리 입력된 압력수치를 비교하고, 제어기(240)에 미리 입력된 압력수치를 벗어나게 되면, 제어기(240)에 연결된 모터(230)를 작동시켜 여과스크린(27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역세관(280)에 구비된 제 1 밸브(283)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역세관(280) 내부에 대기압이 작용하게 되어 내부의 압력은 순간 강하되어 역세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러시(284)에 의해 여과스크린(270)의 내측이 세척되고, 세척되어 떨어져 나온 이물질은 용수와 함께 흡입가이드(282)로 흡입되어 역세관(280)의 장공(281)으로 들어가며, 장공(281)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역세관(280)의 하단부를 통해 본체(210) 밖으로 배출된다.
일정시간이 흐르면, 제어기(240)는 유입관(211)과 배출관(212)의 압력을 측정한다. 측정된 압력수치가 제어기(240)에 미리 입력된 압력수치와 일치하면, 제어 부는 모터(230)를 정지시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역세관(280)에 구비된 제 1 밸브(283)를 닫아 정상적인 용수여과를 시작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용수여과장치(300)는 본체(210), 여과스크린(270'), 커버(220), 초음파발생기(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 사용된 동일번호는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210) 및 커버(2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300)의 여과스크린(270') 및 초음파발생기(260')에 대한 기능도 생략하기로 한다.
여과스크린(270')은 격막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300)는 커버(220)에 설치되는 모터(230)를 더 포함한다.
모터(230)는 모터(230)의 축과 역세관(280')이 연결되어 역세관(280')과, 역세관(280')에 설치된 초음파발생기(260')와 흡입가이드(282) 및 브러시(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230)의 축에 회전커넥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커넥터(310)는 초음파발생기(2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62')과 연결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한편, 초음파발생기(260')의 전선(262')은 역세관(280') 내부를 통해 회전커넥터(3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모터(230)에 의해 초음파발생기(260')가 회전할 때 전선(262')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전선(262')이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실시 예에서는 여과스크린(270)이 회전하여 초음파발생기(260)의 전선(262)이 꼬이지 않지만, 제 3 실시 예에서는 초음파발생기(260')가 회전하므로 전선(262')이 꼬이지않게 회전커넥터(310)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200)의 여과스크린(270)은 여과스크린(270)을 회전시켜 브러시(284)와 초음파발생기(260)에 의해 세척되었지만,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300)는 역세관(280')과, 역세관(280')에 설치된 초음파발생기(260')와 흡입가이드(282) 및 브러시(미도시)가 회전하여 여과스크린(270')을 세척한다.
따라서, 세척하는 방식만 서로 바뀌었을 뿐 용수를 여과하는 효과는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초음파발생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제거기가 닿지 않는 여과스크린의 안쪽 또는 바깥쪽까지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오래된 수도관에 쌓이는 관석과 같은 스케일까지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용수여과장치의 용수 배출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용수가 여과스크린의 틈새를 통과할 때 쌓인 이물질 즉, 여과스크린의 틈새보다 큰 이물질은 브러시 또는 스크레이퍼 등과 같은 이물질제거기를 더 추가 설치함으로써, 여과스크린을 더욱 빠르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수여과장치에 초음파발생기 또는 브러시를 탈착할 수 있는 출입부를 형성하여 초음파발생기 또는 브러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설치 또는 분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인력만으로도 초음파발생기 또는 브러시를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무거운 커버를 들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고, 그에 따른 제반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유지비가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유입관이 형성된 유입실과, 배출관이 형성된 배출실과,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구획하며 상기 유입실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격막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격막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스크린;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에 초음파를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갖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외면에 초음파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초음파발생기가 상기 본체에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의 초음파가 상기 여과스크린의 외면을 따라 발산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스크린은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초음파발생기는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의 초음파가 상기 여과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발산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과 상기 초음파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KR2020050035630U 2005-12-19 2005-12-19 용수여과장치 KR200411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30U KR200411185Y1 (ko) 2005-12-19 2005-12-19 용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630U KR200411185Y1 (ko) 2005-12-19 2005-12-19 용수여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40 Division 2005-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185Y1 true KR200411185Y1 (ko) 2006-03-10

Family

ID=4176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30U KR200411185Y1 (ko) 2005-12-19 2005-12-19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1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01B1 (ko) * 2006-05-22 2007-12-2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US20190388808A1 (en) * 2017-05-23 2019-12-26 Fuji Filte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operating filtr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01B1 (ko) * 2006-05-22 2007-12-26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
US20190388808A1 (en) * 2017-05-23 2019-12-26 Fuji Filte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operating filt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363B2 (en) Filtration assembly for gradually screening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a single operational unit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US20030155313A1 (en) Self-cleaning fluid filter system
US9422738B2 (en) Filter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arrangement
KR20190020943A (ko)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KR101616242B1 (ko) 필터 장치
WO2013062610A1 (en) Water filter
KR200411185Y1 (ko) 용수여과장치
KR20080099113A (ko) 배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531599B1 (ko) 역세척 타입 여과 필터
KR20120114791A (ko)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KR101898072B1 (ko) 대용량 역세척 필터 장치
US5909847A (en) Flushing cleaner for multiple shower wand assemblies
KR20160049266A (ko) 무동력 역세필터 장치
JP3551258B2 (ja) 超音波洗浄装置を備えたこし器とその洗浄方法
CN214634624U (zh) 一种全自动清洗排污的过滤器
KR20130084450A (ko) 회전여과체를 갖는 오일 스트레이너
CN109224581A (zh) 刮刀式过滤器
US3469705A (en) Means for cleaning screens in place in a pipeline
KR20070101070A (ko) 풀 청소장치
KR20110091095A (ko)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용 여과장치
US20200324239A1 (en) Air cleaner
CN216149179U (zh) 一种养殖污水过滤设备
CN217247324U (zh) 一种污水排放结构及洗扫车
KR101169954B1 (ko) 자동 전처리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