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100Y1 -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 Google Patents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100Y1
KR200411100Y1 KR2020050029083U KR20050029083U KR200411100Y1 KR 200411100 Y1 KR200411100 Y1 KR 200411100Y1 KR 2020050029083 U KR2020050029083 U KR 2020050029083U KR 20050029083 U KR20050029083 U KR 20050029083U KR 200411100 Y1 KR200411100 Y1 KR 200411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ling
liquor
pack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천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기화 filed Critical 천기화
Priority to KR2020050029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 F25D3/14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1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external to the container for a beverage, e.g. a bottle, can, drinking glass or pitc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4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 F25D2303/0845Position of the cold storage material in relationship to a product to be cooled below the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파손 및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음료수 및 주류 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용 팩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인입이 가능한 안착부가 내부에 마련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및, 저온에서 고체로 응고되고 상온에서 융해되는 물질로서 상기 안착부 주변의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융해 시의 융해열을 통하여 안착부 내부에 안착된 음료수 및 주류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내부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음료수, 주류, 용기, 병, 냉각, 나사결합, 드라이아이스

Description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Cooling Pack for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도 1은 종래의 병류 냉온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 100 : 하우징
102 : 안착부 110 : 제1 하우징
112 : 관통구 114 : 제1 나사산
120 : 제2 하우징 122 : 안착홈
124 : 제2 나사산 126 : 제1 보조 나사산
130 : 보조 하우징 132 : 저장부
132 : 저장부 134 : 제2 보조 나사산
136 : 인출구 200 : 냉각물질
300 : 드라이아이스
본 고안은 음료수 및 주류 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냉각 물질이 마련되어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일정시간 이상 음료수 및 주류가 시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용 팩에 관한 것이다.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의 음료수와 맥주, 소주 등과 같은 주류를 마시는 경우에는 이들 내용물을 차게 해서 마셔야 음료수나 주류의 고유 맛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캔, 병, 팩 등에 포장된 음료수나 주류를 냉장고에 보관하여 냉각시킨 후 마시게 된다. 또한, 패스트푸드점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도 컵에 얼음을 넣고 얼음에 의하여 청량음료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청량음료, 과일쥬스, 맥주 등과 같은 주류 등을 컵, 캔, 병, 팩 등의 용기에 보관된 상태에서 냉장고 또는 얼음에 의하여 냉각시킨다고 하더라도 내용물을 마시는 동안 외부 온도에 의해 음료수나 주류가 미지근한 상태로 가열되므로 소비자의 만족감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청량음료를 얼음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얼음이 녹게 되고, 그 결과 내용물은 그 농도가 희석되고 그 내용물의 맛은 본래의 맛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료수나 주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병류 냉온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40196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병류 냉온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병류 냉온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병류 냉온 장(10)치는 병류를 수납시키는 수납통체(20)와, 수납통체(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병류를 냉각시키는 작동통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통체(20)는 2중 케이스로 구분되어 있는 바, 외부측 케이스(21)는 스테 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된 곡선형 케이스이고, 내부측 케이스(22)는 프라스틱 재질의 직선형 케이스로 형성된다.
수납통체(20)의 바닥판은 알루미늄 플레이트(23)로 형성하고, 내부측 케이스(22)의 안쪽에는 실리콘 젤 패드(40)가 안착된다. 실리콘 젤 패드(40)의 두께는 5mm, 높이는 7cm 가량으로 마련되며, 패드의 재질을 신축성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병이 패드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닥 중앙부는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하여 통상적으로 하면이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병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1)(22)의 상단부에는 고무링(24)이 압착되어 있는 바, 고무링의 안쪽은 병이 안착된 상태에서 병의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탄성걸림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통체(30)의 외부에는 기기의 작동상태를 조작하는 조작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통체의 내부에는 알루미늄 플레이트(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냉열 소자(31)를 설치하고, 냉열 소자(31)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팬(32)을 냉열 소자(31)의 하부에 설치하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냉열 소자(31) 및 냉각팬(32)을 구동시키는 피씨비(33)를 구비한다. 피씨비(33)의 일측에는 어댑터(34)가 연결되어 있고, 어댑터(34)는 DC플러그가 연결되어 있다.
수납통체(20)의 내주면 중간부에는 수납통체(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외부로 알리기 위한 온도센서(25)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료수 및 주류가 담겨진 병의 온도를 보면서 병류 냉온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온도로 장치를 세팅시키면, 냉열 소자(31)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냉열 소자(31)의 냉기가 알루미늄 플레이트(23)를 통해 실리콘 젤 패드(40)측으로 전달된다. 실리콘 젤 패드(40)로 전달된 냉기에 의하여 실리콘 젤 패드는 설정온도로 하강되며, 이에 따라 실리콘 젤 패드와 밀착된 병의 온도도 하강됨으로써 병 내부의 음료수 또는 주류가 냉각되는 것이다.
패드(4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젤 상태의 실리콘은 전달된 냉기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병측에 지속적으로 냉기를 공급하게 되며, 병과 접촉되어 있는 패드의 접촉면적이 넓음에 따라 병측으로 균일한 냉기가 공급된다.
수납통체(20)의 내부가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온도센서(25)에서 이를 감지하여 피씨비(33)측에 피드백시킴으로써 냉열 소자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이러한 연속적인 상호 작용에 의하여 수납통체(20)의 내부 온도는 설정온도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병류 냉온장치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여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술집이나 카페와 같이 음류수나 주류를 판매하는 영업소에서는 동시에 다량의 음료수나 주류가 판매되므로 병류 냉온장치를 다수 구비하여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병류 냉온장치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여 단가가 높아지므로 다량으로 구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손님의 부주의로 병류 냉온장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병류 냉온장치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제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병류 냉온장치는 장치의 구동을 위해 전원이 요구되므로, 야외와 같이 전원 공급이 불가한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부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인입이 가능한 안착부가 내부에 마련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및,
저온에서 고체로 응고되고 상온에서 융해되는 물질로서, 상기 안착부 주변의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어 융해 시의 융해열을 통하여 안착부 내부에 안착된 음료수 및 주류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물질;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외측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외측면 하단부 및 저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구는 병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하단보다 상단 지름이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은 제2 하우징과 결합되는 부위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저장부가 마련되고, 저장부 일측벽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가 형성되며,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저면을 감싸는 부위의 하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보조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은, 보조 하우징이 결합되는 부위에 제1 보조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하우징은 제1 보조 나사산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보조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나사산과 제2 보조 나사산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음료수 및 주류 병(10)의 인입이 가능한 안착부(102)가 내부에 마련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채워지는 냉각물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각물질(200)은 저온에서 고체로 응고되고 상온에서 융해되는 물질로서, 상기 안착부(102)의 내측면과 하우징(100)의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어 융해 시의 융해열을 통하여 안착부(102) 내부에 안착된 음료수 및 주류 병(1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사용자는 냉각용 팩을 냉동실에 넣어 냉각물질(200)을 얼린 후 병(10)을 안착부(102)에 인입시킴으로써 병(10) 내부에 담겨진 음료수나 주류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각용 팩 내부에 채워진 냉각물질(200)이 모두 녹아서 병(10)과 동일한 온도가 될 때 까지 오랜 시간동안 차갑게 냉각된 음료수나 주류를 마실 수 있으며, 냉각물질(200)이 모두 녹아서 액화된 이후에는 냉각용 팩을 냉장고에 넣어 냉각물질(200)을 얼림으로써 간편하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각물질(200)은 병(10)의 각 부위에 냉기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안착부(102) 주변의 하우징(100) 내부에 고르게 분포된다. 또한 냉각물질(200)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Water)로 적용될 수 있고,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의 시간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금물과 같이 어는점이 낮은 액체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냉각물질(200)이 얼어 부피가 증가되더라도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이 질기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효과적인 냉기 전달을 위해 병(1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료수 및 주류를 담는 병(10)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병(10)뿐만 아니라 캔, 비닐팩, 종이팩 등 다양한 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각 부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사각 기둥 형상의 종이팩에 담겨진 음료수 또는 주류를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 안착부(102) 역시 수평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종래의 병류 냉온 장치와 같이 음료수 및 주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전원 없이도 음료수 및 주류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사용을 통해, 야외등과 같이 전원 인가가 어려운 장소에서도 시원하게 냉각된 음료수 및 주류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전기부품 등과 같은 구성요소 없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고장 날 우려가 없고, 하우징(100)이 질기고 신축성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손상 및 파손 우려가 없으며, 액화된 냉각물질(200)을 다시 얼려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0)이 단일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우징(100)의 구성이 단순화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통상적으로 음료수 및 주류 병(10)은 목부분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0)은 병(10)의 목 부위에는 접촉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냉기 전달 효율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하우징(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0)의 외측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관통구(112)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10)과, 병(10)의 외측면 하단부 및 저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안착홈(122)이 형성되며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물질(200)은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되지 아니하도록 제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00) 내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제 1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관통구(112)는 병(10)의 목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하단보다 상단 지름이 좁게 형성된다. 관통구(112)의 형상은 병(10)의 목 부분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면, 병(10)의 목 부위에도 냉기를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병(10)에 담겨진 음료수나 주류로의 냉기 전달 효율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부위에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제1 나사산(114)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 나사산(114)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124)이 하우징(100)과 같이 신축성이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어 결합이 불가하게 되므로, 상기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124)은 강화플라스틱이나 세라믹과 같이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물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결합구조는 본 실시예에 언급된 나사결합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구조 또는 후크를 이용한 결합구조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구조나 후크를 이용한 결합구조는 여러 분야에 걸쳐 널리 상용화된 결합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의 하우징(100)은, 음료수 및 주류 병(10)의 저면을 감싸는 부위의 하측 즉, 제2 하우징(12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보조 하우징(1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130)은 내부에 저장부(132)가 마련되고, 상기 저장부(132) 일측벽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136)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보조 하우징(130)의 저장부(132)에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300) 등과 같은 냉각물질(200)을 담은 후 제2 하우징(120)의 저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하우징(130)의 저장부(132)에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300)를 넣으면 인출구(136)를 통해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보는 이에게 시원한 느낌을 주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때 보조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부위의 하우징(100) 하측 즉, 제2 하우징(120)의 저면에 외주면을 따라 제1 보조 나사산(12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하우징(130)은 제1 보조 나사산(126)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보조 나사산(13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나사산(126)과 제2 보조 나사산(134)은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124)과 마찬가지로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이 작은 세라믹이나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보조 하우징(130)의 결합구조 역시 끼워맞춤 결합구조나 후크를 이용한 결합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1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될 때 제2 하우징(12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의 저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내부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며, 별도의 전원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은, 한번 사용된 이후 냉각물질의 고화를 통해 간편하게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의 증기를 이용해 시각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인입이 가능한 안착부(102)가 내부에 마련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 및,
    저온에서 고체로 응고되고 상온에서 융해되는 물질로서, 상기 안착부(102) 주변의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되어 융해 시의 융해열을 통하여 안착부(102) 내부에 안착된 음료수 및 주류 용기를 냉각시키는 냉각물질(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외측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관통구(112)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외측면 하단부 및 저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안착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112)는 병(10)의 목 부분을 감싸도록 하단보다 상단 지름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부위에 제1 나사산(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제1 나사산(114)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제1 나사산(114)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나사산(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114)과 제2 나사산(124)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저장부(132)가 마련되고, 상기 저장부(132) 일측벽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구(136)가 형성되며, 음료수 및 주류 용기의 저면을 감싸는 부위의 하우징(100) 하측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보조 하우징(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보조 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제1 보 조 나사산(126)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하우징(130)은 상기 제1 보조 나사산(126)과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제2 보조 나사산(1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나사산(126)과 제2 보조 나사산(134)은 강화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KR2020050029083U 2005-10-12 2005-10-12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KR200411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3U KR200411100Y1 (ko) 2005-10-12 2005-10-12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3U KR200411100Y1 (ko) 2005-10-12 2005-10-12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100Y1 true KR200411100Y1 (ko) 2006-03-10

Family

ID=4176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83U KR200411100Y1 (ko) 2005-10-12 2005-10-12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4921135A (en)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system
US9670050B1 (en) Thermoelectric wine bag cooler/dispenser
US5329787A (en) Combination food and beverage cooler
US5044173A (en) Cold-preserving cup
EP2063203A2 (en) Portable cooler
JP2005536705A (ja) 飲料冷却ホルダー
US6101838A (en) Beverage chiller and holder
KR200426553Y1 (ko) 음료용 냉각컵
US7055706B2 (en) Drink bottle
KR200411100Y1 (ko)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US20040065109A1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US20020134091A1 (en) Portable liquid cooler
JP2008239246A (ja) 飲料容器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US9823007B2 (en) Beverage container ch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23516A (ko)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용 팩
KR100975043B1 (ko)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WO2008026063A2 (en) Thermally regulated container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200183463Y1 (ko) 병류 냉온 장치
KR200408820Y1 (ko)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수단
CN217893850U (zh) 一种用于饮料瓶的保温筒
CN212591486U (zh) 便携冷饮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