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059Y1 -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 Google Patents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059Y1
KR200410059Y1 KR2020050034118U KR20050034118U KR200410059Y1 KR 200410059 Y1 KR200410059 Y1 KR 200410059Y1 KR 2020050034118 U KR2020050034118 U KR 2020050034118U KR 20050034118 U KR20050034118 U KR 20050034118U KR 200410059 Y1 KR200410059 Y1 KR 200410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lustrade
railing
horizontal support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to KR2020050034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0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간살의 흔들림이 없는 발코니용 난간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로로 다수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상단부까 끼워져 조립되는 상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난간의 하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하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대 및 하측 수평지지대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대로 구성된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는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에 맞는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하나 이상 수평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난간의 길이가 길어짐에 의해 난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난간, 조립, 지지대

Description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A STRUCTURE OF BALCONY RAILING}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도 3은 도 2의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의 지지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대의 결합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 부분 확대도
도 7은 브라켓의 상세도
본 고안은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간살의 흔들림이 없는 발코니용 난간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난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 수평지지대와 하측수평 지지대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고 홈에 난간을 세로로 억지끼움방식으로 조립하고 있으며, 상기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사용되는 난간은 사각 또는 원형의 내부가 빈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안전에 대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점차 난간의 길이가 길어져 전체적으로 난간 구조물의 높이가 높아져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난간 구조물은 난간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지지력이 떨어져 난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난간을 강한 재질로 하고 난간 자체의 굵기를 굵게 하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비용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난간 구조물의 경우 상측 수평지지대와 하측 수평지지대가 지나치게 길어질 경우 횡으로 힘을 받을 경우 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아파트의 시공현장마다 발코니의 크기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 현장에서 길이를 재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어 일정 간격으로 재단하고 수직지지대를 세워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 사이에 상측 수평지지대와 하측수평지지대를 결합하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종래는 이러한 수직지지대와 상, 하측 수평지지대를 결합함에 있어 돌출브라켓을 수직지지대에 용접하고 돌출브라켓의 돌출부위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수평지지대를 끼워 조립하거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용접하여 조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립방법은 용접부분의 도장이 훼손되어 미관이 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공시간이 오래걸리고, 용접부분의 코팅 등이 벗겨져 녹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간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횡으로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한 보강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두번째 목적은 난간의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구조의 난간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로로 다수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상단부까 끼워져 조립되는 상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난간의 하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하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대 및 하측 수평지지대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대로 구성된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는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에 맞는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하나 이상 수평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난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홈이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과 일치하게 형성되며, 난간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이렇게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설치될 경우 상기 홈이 엇갈리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지지대와 고정된다.
상기 상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하측 수평지지대는 일면에 상기 난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난간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지지대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14)는 얇은 철판 등의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난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홈(16)이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4)는 상기 수직지지대(20)에 지지대 고정 브라켓(17)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바, 상기 지지대 고정 브라켓은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ㄱ자 일면에는 타원형의 볼트체결공(1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한면에는 원형의 볼트체결공(1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 원형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수직지지대와 볼트/너트로 체결, 고정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스팟(SPOT) 용접되며, 타원형의 볼트체결공은 볼트/너트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된다. 지지대와 연결되는 브라켓 부위의 볼트 체결공을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은 난간과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아파트의 발코니의 경우 건축과정에서 집집마다 미세한 차이를 갖고 있어 완성품의 난간을 설치할 경우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타원형의 볼트 체결공을 갖는 브라켓에 의해 이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중 다수의 난간 중간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는 중앙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바, 중앙고정브라켓(21)과 수평대는 전기 스팟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고정브라켓과 중앙중앙 수직지지대와는 볼트(22)를 통해 고정된다.
도 6은 상측수평지지대(11) 또는 하측수평지지대와 중앙수직지지대가 결합되 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중앙수직지지대에 돌출브라켓(23)이 볼트 또는 전기 스팟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돌출브라켓에 상측수평지지대(11)가 억지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를 경우 발코니 난간의 조립시 조립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난간의 길이가 길어진다고 하더라도 흔들림과 벌어짐을 방지하여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세로로 다수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상단부까 끼워져 조립되는 상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난간의 하단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하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상측 수평지지대 및 하측 수평지지대가 결합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대로 구성된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는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에 맞는 홈이 형성된 지지대가 하나 이상 수평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난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홈이 상기 난간이 설치되는 간격과 일치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는 상기 수직지지대는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ㄱ자 일면에는 타원형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볼트고정되는 지지대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중 다수의 난간 중간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와 볼트로 고정될 수 있는 볼트체결공과 상기 수평대와 스팟 용접으로 고정되는 ㄱ자 형상의 중앙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구조물
KR2020050034118U 2005-12-02 2005-12-02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KR200410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18U KR200410059Y1 (ko) 2005-12-02 2005-12-02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118U KR200410059Y1 (ko) 2005-12-02 2005-12-02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059Y1 true KR200410059Y1 (ko) 2006-03-03

Family

ID=4176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118U KR200410059Y1 (ko) 2005-12-02 2005-12-02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2068A (zh) * 2012-08-22 2012-11-14 安吉晟皓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婴儿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2068A (zh) * 2012-08-22 2012-11-14 安吉晟皓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婴儿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330Y1 (ko) 조립식 철골계단
KR200410059Y1 (ko) 발코니용 난간 구조물
KR20100086726A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10163B1 (ko)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KR20030095606A (ko) 조립식계단
JP3181195U (ja) 斜面配置用ステップおよび斜面配置用階段
KR101422687B1 (ko) 인도교
JP3759500B2 (ja) 建物の壁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CN212001801U (zh) 一种限位组件及预制外墙板的连接结构
KR100909607B1 (ko) 시스템화된 일체형 목재구조물
KR20070009521A (ko) 베란다 난간 설치용 파이프 연결구
JP3652344B2 (ja) 建物の立上り壁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CN216475779U (zh) 单元幕墙螺杆与锚筋组合预埋件系统
CN219823352U (zh) 一种用于自动扶梯的安全护栏组件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CN219411347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隔震楼梯
JP2003321949A (ja) 鋼管柱の柱脚金物
JP4086628B2 (ja) 縦桟柵
JP3748722B2 (ja) デッキ材の根太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