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617Y1 -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 Google Patents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617Y1
KR200409617Y1 KR2020050032995U KR20050032995U KR200409617Y1 KR 200409617 Y1 KR200409617 Y1 KR 200409617Y1 KR 2020050032995 U KR2020050032995 U KR 2020050032995U KR 20050032995 U KR20050032995 U KR 20050032995U KR 200409617 Y1 KR200409617 Y1 KR 200409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ction port
wall
cover
suspens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2020050032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6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과 흡착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개재시켜 선반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흡착구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벽체를 거쳐 흡착구에 전달되게 하여 큰 하중을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반은 선반(2)에 얹혀지는 물건의 하중이 삽입부(12)가 형성된 커버(11)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 흡착구(1)가 벽면으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에 부착되는 흡착구의 커버에 벽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현수다리를 설치시키고, 상기 현수다리의 하부에 선반을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힘의 꼭지점이 흡착구(1)의 커버(11)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흡착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는 현수다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결과적으로는 흡착구(1)에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 흡착구(1)가 벽면으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흡착구, 선반

Description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Shelf utilization of Absorber}
도 1 은 종래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착구 2. 선반
3. 현수다리 4. 연결구
11. 커버 22. 돌출부
31. 힌지축 32. 통공
본 고안은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과 흡착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개재시켜 선반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흡착구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벽체를 거쳐 흡착구에 전달되게 하여 큰 하중을 견고하고 지속적으 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착구는 진공력을 이용하여 매끄러운 면을 갖는 벽이나 유리 또는 타일 등의 평탄면에 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각종 생활용품을 비롯하여 산업상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착구는 별도의 설치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과 탈착 후에도 벽체면이 손상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착구는 흡착구가 발휘할 수 있는 흡착력의 한계로 중량체의 물건인 경우 지속하여 부착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은 흡착구(1)의 커버(11) 일 측면에 선반(2) 또는 선반의 다리(21)가 삽입되는 삽입부(12)를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부(12)에 선반 또는 선반의 다리를 삽입시켜 선반(2)을 지지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선반은 선반(2)에 얹혀지는 물건의 하중이 삽입부(12)가 형성된 커버(11)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 흡착구(1)가 벽면으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하중에 의한 힘의 꼭지점이 흡착구(1)의 커버(11)에 형성됨에 적은 하중에도 흡착구(1)가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선반과 흡착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개재시켜 선반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흡착구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벽체를 거쳐 흡착구에 전달되게 하여 큰 하중을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에 부착되는 흡착구의 커버에 벽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현수다리를 설치시키고, 상기 현수다리의 하부에 선반을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선반(2)에 얹혀지는 물건의 하중에 의한 힘의 꼭지점이 가능하면 흡착구(1)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여 흡착구의 흡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에 부착되는 흡착구(1)의 커버(11)에 벽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현수다리(3)를 설치시키고, 상기 현수다리(3)의 하부에 선반(2)을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현수다리(3)의 하부에 선반(2)을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선반(2)의 일측에 돌출부(22)를 형성시키고, 현수다리(3)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22)가 삽입되는 통공(32)을 형성시켜 선반(2)과 현수다리(3)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통공(32)의 일측에 조임볼트(33)를 관통 설치시켜 통공(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2)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돌출부(22)는 선반의 일측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선반(2)의 하부에 수평다리(21)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평다리(21)의 단부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현수다리(3)를 흡착구(1)의 커버(11)에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커버(11)에 축수부(13)를 형성시키고, 상기 현수다리(3)의 상부를 힌지축(31)을 이용하여 축수부(13)에 연결시켜 현수다리(3)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시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2)의 단부에 간격 조절볼트(34)를 설치시켜 벽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현수다리(3)와 벽면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써, 흡착구(1)의 커버(11)에 연결구(4)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연결구(4)의 단부에 현수다리(3)를 힌지축(31)으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도 4 에서는 통공(32)의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선반(2)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다리(21)의 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선반(2)위에 올려지는 물건의 하중이 선반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2) 또는 선반(2)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다리(21)의 단부를 통하여 벽체에 먼저 전달된 후에 일부의 하중이 현수다리(3)를 거쳐 흡착구(1)의 커버(11)에 전달됨에 따라 극히 일부의 하중만이 흡착구(1)에 전달되는 것이다.
즉, 하중에 의한 힘의 꼭지점이 흡착구(1)의 커버(11)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흡착구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는 현수다리의 하부에 형성되어 결과적으로는 흡착구(1)에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 흡착구(1)가 벽면으로부터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반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흡착구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벽체를 거쳐 흡착구에 전달되게 하여 큰 하중을 견고하고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을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에 부착되는 흡착구의 커버에 벽면과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현수다리를 설치시키고, 상기 현수다리의 하부에 선반을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다리의 하부에 선반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통공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다리가 흡착구의 커버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현수다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간격조절볼트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연결구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연결구의 단부에 현수다리를 힌지축으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KR2020050032995U 2005-11-22 2005-11-22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KR200409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95U KR200409617Y1 (ko) 2005-11-22 2005-11-22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95U KR200409617Y1 (ko) 2005-11-22 2005-11-22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617Y1 true KR200409617Y1 (ko) 2006-02-24

Family

ID=4175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95U KR200409617Y1 (ko) 2005-11-22 2005-11-22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6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39A (ko) 2018-12-14 2020-06-24 강태경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39A (ko) 2018-12-14 2020-06-24 강태경 타일벽체 매립형 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3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WO2009072765A3 (en) Laundry machine
JP3153185U (ja) 配管吊下支持具
RU200911431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200409617Y1 (ko)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KR20090111758A (ko) 행거
JP6105216B2 (ja) レールエンドキャップ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327639B1 (ko) 후크걸림 방식을 이용한 분전반 브라켓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200312665Y1 (ko) 천정판용 걸침고리
KR200404801Y1 (ko) Pcb 간격 유지장치
JP2012232087A (ja) 家具類の転倒防止装置
KR19980081546A (ko) 파이프행거
KR200402515Y1 (ko)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다리연결구조
CN216361406U (zh) 一种油杯安装结构及吸油烟机
KR200150513Y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지지대
JP7457565B2 (ja) ハンガー金具
KR200367341Y1 (ko) 천정매입등용 프레임
KR200368873Y1 (ko) 책상 선반용 봉 결합구조
KR101061285B1 (ko) 벽걸이 조립 구조체
JP7146854B2 (ja) 簡単に取付け取外しの出来る屋内物干アーム
KR200374361Y1 (ko) 가습기의 트랜스 결합구조
CN212405554U (zh) 墙板连接组件及墙板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