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91Y1 -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91Y1
KR200409291Y1 KR2020050029423U KR20050029423U KR200409291Y1 KR 200409291 Y1 KR200409291 Y1 KR 200409291Y1 KR 2020050029423 U KR2020050029423 U KR 2020050029423U KR 20050029423 U KR20050029423 U KR 20050029423U KR 200409291 Y1 KR200409291 Y1 KR 200409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tank
ballast
ship
bulk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9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위치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선측 양쪽에 위치하는 선측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격벽 밸러스트 탱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의 트림 조정이 용이하고, 트림 조정의 폭도 확장되며, 선박의 종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부재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저장탱크, 코퍼댐, 밸러스트 탱크, 호깅, 새깅

Description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 선박{Vesswl that has ballast tank located at cargo tank wall}
도 1은 종래의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중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저장탱크 202 : 선측 밸러스트 탱크
204 : 코퍼댐 208 : 격벽 밸러스트 탱크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위치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박에는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유조선, 컨테이너선,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화 천연가스(LNG)란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 스를 영하 162℃로 냉각해 그 부피를 6백분의 1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를 말한다. 액화 천연가스는 주로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소량의 기타 액화가스도 함유하고 있으며, 비록 현재까지의 경제적 관심은 액화 천연가스 수송에 집중되어 있지만, 액화 천연가스의 다량 수송과 취급에 관한 문제들은 암모니아, 에틸렌, 프로판, 부탄 및 염소와 같은 액화 가스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액화 천연가스가 에너지 자원으로 등장함에 따라 이 가스를 에너지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산 기지로부터 수요지인 인수지까지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반 방안이 요구되었으며, 그 결과 액화 천연가스의 해상 수송을 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의 저장탱크에는 선박 기술상 완벽한 누설 방지, 완전한 단열 및 저온이자 수축하는 탱크의 안정성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모든 격납 시스템은 극도로 낮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야 하며, 주변 조건으로부터 현장 조건에 이르는 광범위한 온도 변화에도 순응해야 하므로, 열 유입은 방지하고, 선박의 기본적인 선체 구조물의 냉각 또한 막아주는 효과적인 온도 절연물로 설계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종래의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은 선수와 선미 사이에 액화 천연가스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탱크(100)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100)들의 양 측면에는 밸러스트 탱크(10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밸러스트 탱크(102)는 선박의 균형을 잡거나, 선박의 흘수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상기 저장탱크(100)들의 하부에도 밸러스트 탱크(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탱크(1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는 코퍼댐(104)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100) 내부에는 극저온의 액화 천연가스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격납 시스템은 극도로 낮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탱크(100)와 밸러스트 탱크(102)의 사이에는 초저온강이 사용되나, 상기 저장탱크(1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위치한 코퍼댐(104)에는 저온강이 사용된다. 이는 초저온강의 가격이 비싼 이유도 있고 상기 코퍼댐(104) 내부는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사람이 들어가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 내부에 온도 유지를 위한 히팅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트림(trim)이란 선박의 선수와 선미 간 흘수 차이를 말하는데,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의 경우 만재 항해시나 화물의 적하시 이븐(even) 트림이 필수적이다. 항해시 트림이 생길 경우 보일 오프 가스(boil off gas : BOG)가 많이 발생되어 화물의 손실이 발생하고, 화물의 적하시 트림이 생길 경우 선박의 저장탱크와 육상의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파손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쪽 선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만을 이용하여 트림을 조정하였다. 즉, 선수 흘수가 더 낮은 경우 선수 방향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우고, 선미 흘수가 더 낮은 경우 선미 방향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워 이븐 트림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양쪽 선측에 위치하는 밸러스트 탱크만으로 다양한 운항 조건에서 항상 이븐 트림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더러, 이를 위한 선수미 탱크의 주수는 큰 호깅을 유발해 종강도 측면에서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안정성이 보장되면서도 이븐 트림을 유지하기가 용이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선측 양쪽에 위치하는 선측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격벽 밸러스트 탱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는 더욱 용이하게 이븐 트림(even trim)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선박의 종강도에도 기여하여, 종강도 부재가 절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이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와 접하는 부분의 부재는 초저온강일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에서는 저장탱크와 선측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는 화물의 적재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코퍼댐이 사용되지 아니하고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초저온강이 사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와 접하는 부분에 코퍼댐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와 접 하는 부분에도 상기 초저온강을 사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의 폭은 상기 저장탱크 폭의 0.3배 내지 0.6배로 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의 폭이 상기 저장탱크 폭의 0.6배보다 클 경우 상기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대부분에 초저온강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비되고, 0.3배보다 작을 경우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의 용적이 작아 이븐 트림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하려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중 액화 천연가스 수송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선수와 선미 사이에 액화 천연가스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탱크(200)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200)들의 양 측면에는 선측 밸러스트 탱크(20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선저 밸러스트 탱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양 측면에는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측 밸러스트 탱크(202), 선저 밸러스트 탱크 및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는 선박의 균형을 잡거나, 선박의 흘수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중앙부에는 코퍼댐(204)이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를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양 측면에 위치시켰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탱크 (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는 선수 및 선미를 이은 중앙선에 대칭이 되게 위치하는데, 이는 선박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코퍼댐(204)은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저장탱크(200) 내부에는 극저온의 액화 천연가스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격납 시스템은 극도로 낮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탱크(200)와 선측 밸러스트 탱크(202), 상기 저장탱크(200)와 선저 밸러스트 탱크, 상기 저장탱크(200)와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의 사이에는 초저온강이 사용되나,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중앙부(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를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중앙부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저장탱크(1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양 측면)에는 코퍼댐(204)이 사용된다. 상기 코퍼댐(204)의 외막은 극저온에 견딜 수 없는 저온강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온도 유지를 위한 히팅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의 폭은 상기 저장탱크(200) 폭의 0.3배 내지 0.6배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의 폭이 상기 저장탱크(200) 폭의 0.6배보다 클 경우 상기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대부분에 가격이 높은 초저온강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비되고, 0.3배보다 작은 경우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의 용적이 작아 이븐 트림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하려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탱크(200)의 선수 및 선미 격벽의 양 측면에 격벽 밸러스트(208)를 형성하는 경우 이븐 트림을 유지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면 선수부의 흘수가 선미부의 흘수보다 더 낮을 경우 상기 선측 밸러스트 탱크(202) 뿐만 아니라 선수부에 위치하는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에도 물을 채울 수가 있어 트림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트림 조정의 폭도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208)는 선박의 종강도 부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강도 부재가 절약될 수 있다. 선박이 호깅(hogging)상태에 있을 경우 선체 중앙부에 위치하는 격벽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우고, 선박이 새깅(sagging)상태에 있을 경우 선수 및 선미부에 위치하는 격벽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우면 선체의 종방향 굽힘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선박이 파 중을 항해할 때 파정이 선박의 중앙부에 오고 파저가 선박의 선수 및 선미부에 오면 선수 및 선미부에서는 선박의 자중이 부력보다 커지고, 중앙부에서는 부력이 선박의 자중보다 커지게 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호깅(hogging)이라고 하며, 이와 반대되는 현상을 새깅(sagging)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에 격벽 밸러스트 탱크를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조선, 컨테이너선 등 다른 선박에 격벽 밸러스트 탱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의 트림 조정이 용이하고, 트림 조정의 폭도 확장되며, 선박의 종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부재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선측 양쪽에 위치하는 선측 밸러스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격벽 밸러스트 탱크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이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인 경우, 상기 저장탱크가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와 접하는 부분의 부재는 초저온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밸러스트 탱크의 폭은 상기 저장탱크 폭의 0.3배 내지 0.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2020050029423U 2005-10-17 2005-10-17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KR200409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23U KR200409291Y1 (ko) 2005-10-17 2005-10-17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423U KR200409291Y1 (ko) 2005-10-17 2005-10-17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91Y1 true KR200409291Y1 (ko) 2006-02-24

Family

ID=4175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423U KR200409291Y1 (ko) 2005-10-17 2005-10-17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398B1 (ko) * 2009-05-08 2012-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퍼댐 가열장치 및 상기 코퍼댐 가열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91239B1 (ko) * 2009-06-08 2012-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퍼댐을 갖춘 액화가스 저장 해상 부유 구조물
KR20120136353A (ko) * 2010-02-22 2012-12-18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KR101544930B1 (ko) 2008-12-15 2015-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용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갖춘 선박
WO2024013947A1 (ja) * 2022-07-14 2024-01-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の運用方法及び液化ガス運搬船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930B1 (ko) 2008-12-15 2015-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용 이산화탄소 저장탱크를 갖춘 선박
KR101137398B1 (ko) * 2009-05-08 2012-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퍼댐 가열장치 및 상기 코퍼댐 가열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91239B1 (ko) * 2009-06-08 2012-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코퍼댐을 갖춘 액화가스 저장 해상 부유 구조물
KR20120136353A (ko) * 2010-02-22 2012-12-18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KR20170122843A (ko) * 2010-02-22 2017-11-06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KR101986382B1 (ko) * 2010-02-22 2019-09-30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KR102055049B1 (ko) * 2010-02-22 2019-12-11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WO2024013947A1 (ja) * 2022-07-14 2024-01-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の運用方法及び液化ガス運搬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53565B2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KR20090130267A (ko)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및 액화 천연 가스의 해상 운송 방법
KR200477659Y1 (ko)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
AU2014251665B2 (en) LNG ship or LPG ship
KR200409291Y1 (ko) 저장탱크의 선수 및 선미 격벽에 밸러스트 탱크가 형성된선박
KR20130046642A (ko) Lng 화물창
KR20210116956A (ko) 선박용 액화 화물 저장탱크
US3326167A (en) Tanker
WO2005113328A1 (en) Single-compartment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KR20150139886A (ko) Lng 선
KR20210116957A (ko) 선박용 액화 화물 저장탱크
KR20200083426A (ko) 저속비대선형 fsru 전용선
KR20120126997A (ko) 저온액체화물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130044440A (ko)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KR20200093819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돔 방벽구조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20100003614U (ko) 슬로싱 억제수단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096186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가지는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KR101022408B1 (ko)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복수의 저장탱크를 구비한 해상 구조물 및 상기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
US3943872A (en) Ship for the transport of liquid or gaseous cargo in tanks
KR102291921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 작업용 개구 배치구조
KR2020004322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