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87Y1 -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87Y1
KR200408187Y1 KR2020050033155U KR20050033155U KR200408187Y1 KR 200408187 Y1 KR200408187 Y1 KR 200408187Y1 KR 2020050033155 U KR2020050033155 U KR 2020050033155U KR 20050033155 U KR20050033155 U KR 20050033155U KR 200408187 Y1 KR200408187 Y1 KR 200408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levator
hoistway
wire rop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용
Original Assignee
한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한진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202005003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카의 상부에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장착시켜 승강로의 상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기계실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승강카와 동시에 승/하강되는 구동장치의 관리 및 정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구동부, 구동모터, 구동풀리, 가이드시브, 균형추풀리, 와이어로프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Driving system of elevator}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로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로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카 12 : 형틀 30 : 균형추
100 : 고정프레임 110, 120 : 지지대 112 : 제 1고정부재
114 : 가이드시브 122 :제 2고정부재 200 : 구동부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풀리 230 : 고정플레이트
240 : 방진판 250 : 격판 300 : 균형추풀리
400 : 와이어로프 B, N : 볼트, 너트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카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카의 상부에 구동장치를 일체로 조립.설치하여 승강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함은 물론 승강로의 상측에 별도의 기계실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상기 구동장치의 수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인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하며 승객 또는 화물 등을 안전하게 층간 이동시키는 운반수단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양측 벽면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와 와이어로프로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의 후방 벽면에 수직으로 설치.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승강카와 상반되게 승/하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와 마찰접촉하여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카 및 균형추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인 권상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와 제어반 등을 설치하여 관리 및 정비를 하기 위해서는 소정 공간인 기계실을 반드시 마련해야 하므로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의 저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및 제 2풀리(20)(22)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균형추(30)의 상부에는 균형추풀리(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승강로(1)의 상부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로프(40)의 타단은 하향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풀리(20)(22)를 경유하여 다시 상향연장되어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50)와 마찰접촉된 후 하향연장되어 균형추풀리(32)를 경유하여 상향되게 연장된 후 승강로(1)의 상부 타측에 고정된 것으로, 기계실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는 있었으나, 상기 권상기(50)가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 및 정비를 위한 작업자의 접근이 곤란하였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으며, 정비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10)의 저면에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및 제 2풀리(20)(22)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1)의 내부 일측과 후방 상부에 각각 제 3 및 제 4풀리(24)(26)가 각각 장착되며, 균형추(30)의 상부에는 균형추풀리(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의 후방 하부에는 권상기기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승강로 내부의 타측 상부에 고정된 와이어로프(40)의 타단은 하향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풀리(20)(22)를 경유하여 다시 상향연장되어 승강로(1) 내부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제 3풀리(24)를 마찰접촉되게 경유하여 하향연장되어 상기 승강로(1) 하부에 설치된 권상기(50)를 마찰접촉되게 경유하여 다시 상향연장되어 승강로(1)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제 4풀리(26)를 마찰접촉되게 경유하여 하향연장되어 상기 균형추(30)에 설치된 균형추풀리(32)를 마찰접촉되게 경유한 후 다시 상향연장되어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권상기(50)를 승강로(1)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관리 및 정비시 안전성은 확보할 수 있었으나, 그 구조 및 설치가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워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무엇보다도 다수의 풀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승강로(1)의 폭을 넓게 형성해야 하므로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승강카의 상부에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장착시켜 승강로의 상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기계실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여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승강카와 동시에 승/하강되는 구동부의 관리 및 정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 작동과 상반되게 작동하는 균형추와, 상기 승강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마찰접촉되는 다수의 풀리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소정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전/후 및 좌/우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지지대가 설치되며, 전/후 지지대 상에는 제 1고정부재와 한쌍의 가이드시브가 설치되며, 좌/우 지지대 상에는 제 2고정부재가 일체로 장착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승강카의 외부에 다수의 앵글을 사각형태로 상향 연장되게 설치한 형틀의 상부 하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연동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풀리가 일체로 된 구동부와; 상기 승강로의 후방에 설치된 균형추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균형추풀리와; 상기 제 1고정부재에 그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향연장되어 상기 구동풀리에 권취되며 마찰접촉하여 경유하고, 상기 구동풀리를 경유한 타측이 상향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시브와 마찰접촉하여 경유하고, 상기 가이드시브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되어 상기 균형추풀리와 마찰접촉하며 경유하고, 상기 균형추풀리를 경유한 소정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상기 제 2고정부재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로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로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카의 상부를 확대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및 도 9는 도 7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는 승강카(10)를 승강로(1)의 상/하부로 승/하강되게 하여 탑승자의 층간 이동이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과, 구동부(200)와, 균형추풀리(300) 및 와이어로프(4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승강로(1)의 최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사각형태의 틀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 고정프레임(100)의 중앙부 전/후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지지대(110)와, 좌/우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지지대(120)가 고정프레임(10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전/후를 연결하는 지지대(110) 상에는 제 1고정부재(112)와 한쌍의 가이드시브(114)를 각각 장착시키고, 좌/우를 연결하는 지지대(120) 상에는 제 2고정부재(122)를 일체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고정부재(112)(122)는 소정 두께의 금속판을 구비하여 상기 전/후 및 좌/우를 연결하는 지지대(110)(120) 상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시키면 되는 것으로 그 저면으로 상기 와이어로프(400)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한쌍의 가이드시브(114)는 상기 전/후를 연결하는 지지대(11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400)의 연장되는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기능 즉, 상향연장된 와이어로프(400)가 상기 가이드시브(114)에 감겨진 후 이를 경유하며 하향연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200)는 소정의 동력으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210)를 장착시키되, 상기 구동모터(2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와어어로프(400)가 권취되어 마찰접촉하며 경유될 수 있도록 구동풀리(220)가 일체로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구동부(200)는 승강카(10)의 외부에 다수의 앵글을 사각형태가 되도록 형성시킨 형틀(12)의 상부 하측 중앙에 견고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부(200)의 설치는 먼저, 상기 형틀(12)의 적정한 위치에 다수의 체결공(h)을 통공시킨 다음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금속판의 상면 중앙부와 모리서부에 다수의 체결공(h)이 통공된 고정플레이트(230)를 구비하여 상기 형틀의 체결공과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켜 볼트(B)와 너트(N)로 견고하게 체결시키고, 저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30)와 동일한 형상과 소정의 두께로 성형되며, 모서리부에 각각 체결공(h)이 통공된 방진판(24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방진판(240)의 저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30)와 동일한 형상과 보다 얇은 두께의 금속판 모서리부에 각각 체결공(h)이 통공된 격판(250)을 위치시킨 후 상기 격판(250)의 저면에 상기 구동부(200)에 형성된 체결공(h)을 위치시켜 복수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일체로 체결시키면 되는 것으로 상기 방진판(240)은 상기 구동모터(210)의 진동을 저감시켜 구동부(200)와 형틀(12)과의 결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형추풀리(300)는 승강로(1)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카(10)의 승/하강 작동과 상반되게 작동되는 균형추(30)의 상부 중앙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하향연장된 와이어로프(400)가 마찰접촉하며 경유하여 상향연장되도록 방향을 전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로프(400)는 다수의 강선을 꼬아서 소정의 길이가 되도록 형성시킨 통상적인 것으로서, 먼저 그 일단을 상기 제 1고정부재(1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타측을 하향연장되게 한 다음 상기 구동부(200)에 장착된 구동모터(21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220)에 1회 이상 권취되게 하여 마찰접촉되게 하며 경유시켜 상향연장되게 한 후 상기 한쌍의 가이드시브(114)와 마찰접촉되게 하여 경유시켜 다시 하향연장되게 한 다음 하향연장된 와이어로프(400)를 상기 균형추(30)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균형추풀리(300)에 마찰접촉되게 경유시킴과 동시에 그 상향연장되는 방향을 90°로 전환시키고, 상향연장된 와이어로프(400)의 타단을 상기 제 2고정부재(1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와이어로프(400)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작용은 먼저, 건물의 내부 특정한 위치에서 플로어에 설치된 지시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거나 정지된 상태의 승강카(100)에 탑승하여 목적한 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그 내부에 설치된 지시버튼(14)을 누르면 상기 승강카(100)의 형틀(12)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부(200)에 장착된 구동모터(2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와 연동된 구동풀리(2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풀리(220)에 권취되어 마찰접촉된 와이어로프(400)에 대해 상기 가이드시브(114)와 균 형추풀리(300)가 각각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카(10)와 균형추(30)의 승/하강 작동이 각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관리 및 정비하기 위해 마련되는 공간 예컨데 건물의 옥탑 등을 마련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건축비를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와 정비가 필요한 구동부인 구동모터와 구동풀리가 상기 승강카의 형틀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층에서의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 작동과 상반되게 작동하는 균형추와, 상기 승강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가 마찰접촉되는 다수의 풀리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소정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일체로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1)의 상부에는 전/후 및 좌/우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지지대(110)(120)가 설치되며, 전/후 지지대(110) 상에는 제 1고정부재(112)와 한쌍의 가이드시브(114)가 설치되며, 좌/우 지지대(120) 상에는 제 2고정부재(122)가 일체로 장착된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승강카(200)의 외부에 다수의 앵글을 사각형태로 상향 연장되게 설치한 형틀(12)의 상부 하측에 견고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10)와 연동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풀리(220)가 일체로 된 구동부(200)와;
    상기 승강로(1)의 후방에 설치된 균형추(30)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균형추풀리(300)와;
    상기 제 1고정부재(112)에 그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하향연장되어 상기 구동풀리(220)에 권취되며 마찰접촉하여 경유하고, 상기 구동풀리(220)를 경유한 타측이 상향연장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시브(114)와 마찰접촉하여 경유하고, 상기 가이드시브(114)를 경유한 후 하향연장되어 상기 균형추풀리(300)와 마찰접촉하며 경유하고, 상기 균형추풀리(300)를 경유한 소정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프(400)의 타단을 상기 제 2고정부재(122)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의 설치는 상기 형틀(12)의 적정한 위치에 소정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30)를 체결수단인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시키고, 그 저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30)와 동일한 형상과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방진판(24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방진판(240)의 저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30)와 동일한 형상과 보다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는 격판(250)을 위치시킨 후 상기 격판(250)의 저면에 상기 구동부(200)를 위치시켜 복수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일체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2020050033155U 2005-11-23 2005-11-23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200408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55U KR200408187Y1 (ko) 2005-11-23 2005-11-23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55U KR200408187Y1 (ko) 2005-11-23 2005-11-23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552A Division KR100688362B1 (ko) 2005-11-23 2005-11-23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87Y1 true KR200408187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155U KR200408187Y1 (ko) 2005-11-23 2005-11-23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20000022580A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US7025177B1 (en) 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WO2014136171A1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582718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40499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5525B2 (ja) エレベーター
WO20060062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40007428A1 (en) Elevator apparatus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EP1431231B1 (en) Elevator without machineroom
KR100688362B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KR200408187Y1 (ko)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JP200331296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KR100888667B1 (ko)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KR100895121B1 (ko) 엘리베이터용 구동장치의 설치구조
JP669246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62177A (ja) エレベータ
EP1544150A1 (en) Elevator equipment
JP499494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昇降装置
JP2006341980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5817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