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97Y1 - 양돈장 울타리 - Google Patents

양돈장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97Y1
KR200408097Y1 KR2020050032529U KR20050032529U KR200408097Y1 KR 200408097 Y1 KR200408097 Y1 KR 200408097Y1 KR 2020050032529 U KR2020050032529 U KR 2020050032529U KR 20050032529 U KR20050032529 U KR 20050032529U KR 200408097 Y1 KR200408097 Y1 KR 200408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inforcement
fence
holes
pig farm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2020050032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1Cubic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돈장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칸막이 휀스의 몸체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게 만들며 양측 선단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 관통공을 만들어 ㄷ자형 결합 부속 부재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연장하거나 칸을 나눌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종 관통공(2)이 형성되도록 세로 지지보강살(3)을 만들고 상단과 하단은 두께가 두꺼운 난간편(4)(5)을 형성하고, 난간편(4)(5)의 양측 상,하 끝단부에는 결합턱(6)(7)(8)(9)을 만들고 삽입공(10)(11)(12)(13)을 뚫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재로 만든 몸체 부재(1)와, ㄷ형 부재(23)로 조립하여 좌,우로 연속적으로 결합 됨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 부재 관통공 지지보강살 난간편 결합턱 삽입공 ㄷ형 부재

Description

양돈장 울타리{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울타리 몸체 부재와 ㄷ형 부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울타리 몸체 부재와 ㄷ형 부재로 결합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울타리를 평판 부재로 좌,우로 결합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울타리를 “ㅠ”형 부재로 결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H형 울타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십자형 울타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몸체 부재 2: 관통공
3: 지지보강살 4, 5: 난간편
6, 7, 8, 9: 결합턱 10, 11, 12, 13: 삽입공
23: ㄷ형 부재
본 고안은 양돈장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칸막이 휀스의 몸체에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게 만들며 양측 선단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 관통공을 만들어 ㄷ자형 결속 부속 부재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연장하거나 칸을 나눌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양돈장의 칸막이는 철근이나 파이프를 이용하여 사다리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므로 통풍은 잘되나 돼지끼리 사다리형 칸막이 사이로 서로 얼굴과 발과 같은 몸체가 접촉되어 병균이 쉽게 옮기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이 돼지끼리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PP나 PVC등으로 판넬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상호 간에 접촉을 막을 수는 있으나 통풍이 되지 않아 양돈장에 공기순환이 되지 않아 냄새가 배출되지 않는 환기에 문제가 많이 있었다.
또한, 철근이나 파이프로 제작시 일일이 절단하여 틀에 넣어 용접을 하여야하므로 대량 생산에 어려운 점과 이로 인해 작업자의 인건비가 많이 들어 생산 단가가 높아지며 용접부위가 빨리 부식되어 칸막이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였다.
그리고, PP또는 PVC등으로 만들어진 판넬은 제품이 휘어지는 경우가 많아 앵글이나 파이프 등으로 테두리 등을 용접하여 만들어 부착하므로 이 또한 용접부분이 빨리 부식될 뿐만 아니라 양돈장에 온방과 냉방 등을 하느라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전기의 누전으로 인한 조그마한 불씨에도 불이 날 염려가 많고, 만약 불이 날 경우 조그마한 화재에도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될 확률이 많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알루미늄을 주원료로 하여 다이케스팅 사출하여 제작한 울타리로 용접을 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만으로 조립할 수 있어 칸막이 시공시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울타리 부재 몸체에 좁은 바 람 관통공을 만들어 바람은 쉽게 통과할 수 있으나 돼지의 머리나 발, 혀등이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 돼지들의 상호 접촉됨을 방지하고 공기의 순환이 잘된다.
또한 전기의 누전이나 합선 등으로 불씨가 발생하더라도 불이 붙지 않으며 사용중에도 녹이 설지 않아 위생적이며 수명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보수작업의 필요성이 적으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조립식이라 결합과 해체 작업이 용이하며 적은 인원으로 간편하게 양돈장의 칸을 나눌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만든 것으로, 기둥부분을 좀더 튼튼하게 보강하여 줌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됨이 없도록 강도를 높여준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종 관통공(2)이 형성되도록 세로 지지보강살(3)을 만들고 상단과 하단은 두께가 두꺼운 난간편(4)(5)을 형성하고, 난간편(4)(5)의 양측 상,하 끝단부에는 결합턱(6)(7)(8)(9)을 만들고 삽입공(10)(11)(12)(13)을 뚫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재로 만든 몸체 부재(1)와, ㄷ형 부재(23)로 조립하여 좌,우로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한 것이다.
상기의 몸체 부재(1)를 좌,우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다 중간 중간에 울타리를 세워 칸을 나누고자할 때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된 고안의 부재인 “ㅠ”형의 연결 부재(20)와, , 판형 부재(22)와 “L”형 부재를 이용하여 칸막이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의 난간편(4)(5)의 양측 상,하 끝단부에 결합턱(6)(7)(8)(9)을 만든 것은 결합용 부재를 사용할 경우 결합용 부재가 매입되어 돌출되지 않아 돼지가 다치 지 않게 안전을 위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 부재(1)에 있어 세로 지지보강살(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함으로 종 방향으로 다수개의 종 관통공(2)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세로 지지보강살(3)은 그 형상을 정면에서 볼 경우 하모니카 형상으로 된 지지보강살(15)로 만들어진다.
또, 횡 단면도 상으로 보면 H형상의 지지보강살(16)로 만들어 것과 십자형의 지지보강살(17)로도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지지 보강살(3)을 하모니카 형상으로 된 지지보강살(15)로 만들거나 H형상의 지지보강살(16) 또는 십자형의 지지보강살(17)로 만든 것은 다 같이 몸체 부재(1)를 튼튼하게 함과 동시에 지지보강살(3)의 간격을 다소 넓게 하여 바람의 순환이 잘되게 하도록 만든 것이다.
상기의 ㄷ형 부재(23)는 “ㅠ”형의 연결 부재(20)와, 판형 부재(22)와, “L”형 부재(도시하지 않음) 각각의 몸체에 볼트공을 만들며 이들의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에는 뒷부분에 보강판 부재(25)를 밀착시켜 사용된다.
“ㅠ”형의 연결 부재(20)는 좌,우로 결합하는 몸체 부재(1)의 사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 4처럼 T 형성의 칸막이 결합시 사용하며 “ㅠ”형상의 중간 공간부(26)에 몸체 부재(1)의 상단과 하단 끝단부의 결합턱(6)(8)을 끼워 삽입공(10)(12)에 삽입하여 볼트로 체결한다.
“L”형 부재는 몸체 부재(1)를 모서리 부분에 L자 형상으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부재로서 돈사장의 측면에 마무리 공사를 위해 울타리를 결합할 때 사용하는 부재이다.
판형 부재(22)는 좌,우로 몸체 부재(1)를 연속 반복적으로 결합 고정할 때 사용하는 부재로서 울타리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 고저의 차이가 다소 날 경우 울타리의 결합시 상하 유격이 발생하여도 결합작업이 쉽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양돈장에서 칸막이를 만들고자하면 먼저 몸체 부재(1)의 결합턱부분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좌,우로 대향되게 한조를 맞추어 세운 후 ㄷ형 부재(23)를 몸체 부재(1)의 양끝 선단 상,하단의 결합턱(6)(7),(8)(9)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공(11)(10)(12)(13)부분에 볼트(30)를 끼운 후 너트(31)로 조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몸체 부재(1)가 결합 되어져 여러 칸으로 나누고자 할 경우 도 4처럼 “ㅠ”형의 연결 부재(20)를 사용하여 먼저 좌,우로 결합하는 울타리 몸체 부재(1)와 몸체 부재 사이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한 다음 “ㅠ”형의 연결 부재(20)의 중간의 공간부(26)에 칸막이용으로 사용하는 몸체 부재(1)의 상단 결합턱(6)(8)부분을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30)와 너트(31)를 체결하면 칸막이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ㅠ”형의 연결 부재(20)의 중간의 공간부(26)에 칸막이용으로 사용하는 몸체 부재(1)의 상단 결합턱(6)(8)부분은 타측의 결합턱(7)(9) 중 어느곳을 먼저 결합하여도 그 구성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 있어 울타리와 칸막이가 만들어진 단계에서 마지막으로 사용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L”형 부재(21)를 마지막 칸막용 울타리가 되는 몸체 부재의 상단 과 하단의 걸림턱(6)(7)(8)(9)중 선택되어 진 걸림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배면에 보강판 부재(25)를 밀착시켜 볼트와 너트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울타리에 있어 몸무게가 무거운 돼지들이 움직이다 울타리 부재에 부딪혔을 경우에도 보강살(3)은 각각의 모양을 가미한 지지보강살(15)(16)(17)에 의해 튼튼하게 지탱되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육할 수 있으며 종 관통공(2)에는 바람이 쉽게 유입되어 양돈장의 공기 흐름이 잘되게 함으로 신선한 공기로 바꿔 위생환경에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돈사장에 공기순환이 잘되게 하며 서로 접촉하여 전염되는 병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순환을 위해 관통공의 폭을 넓게 사출하였으며, 몸체 부재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만들어져 위생적이며 칸막이 소재와 부재가 모두 정확한 규격화가 되어 양돈장의 시공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이처럼 용접 등과 같은 특별한 기술 없이 누구나 쉽고 간편하며 빠른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양돈장은 통풍이 잘되어 공기 순환이 쉬워 위생적이며 만약의 전기 합선에 의한 화재시에도 인화성이 전혀 없는 부재를 사용함으로 초기에 진화할 수 있어 돈사장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다수 개의 종 관통공(2)이 형성되도록 세로 지지보강살(3)을 만들고 상단과 하단은 두께가 두꺼운 난간편(4)(5)을 형성하고, 난간편(4)(5)의 양측 상,하 끝단부에는 결합턱(6)(7)(8)(9)을 만들고 삽입공(10)(11)(12)(13)을 뚫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재로 만든 몸체 부재(1)와, ㄷ형 부재(23)로 조립하여 좌,우로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양돈장 울타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보강살(3)을 정면에 본 모양이 하모니카 형상의 지지보강살(15)로 됨을 특징으로 한 양돈장 칸막이 겸 울타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보강살(3)을 H형상의 지지보강살(16)로 됨을 특징으로 한 양돈장 칸막이 겸 울타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보강살(3)을 십자형상의 지지보강살(17)로 됨을 특징으로 한 양돈장 칸막이 겸 울타리.
KR2020050032529U 2005-11-15 2005-11-15 양돈장 울타리 KR200408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29U KR200408097Y1 (ko) 2005-11-15 2005-11-15 양돈장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529U KR200408097Y1 (ko) 2005-11-15 2005-11-15 양돈장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97Y1 true KR200408097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529U KR200408097Y1 (ko) 2005-11-15 2005-11-15 양돈장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26B1 (ko) * 2007-03-13 2007-06-13 박종대 축사용 울타리
KR100995770B1 (ko) * 2010-03-25 2010-11-22 최영일 카운터 세면대 가림판 구조
KR102153940B1 (ko) *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26B1 (ko) * 2007-03-13 2007-06-13 박종대 축사용 울타리
KR100995770B1 (ko) * 2010-03-25 2010-11-22 최영일 카운터 세면대 가림판 구조
KR102153940B1 (ko) * 2019-09-24 2020-09-09 주식회사 야야 유아용 조립식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4746A1 (en) Plastic panel enclosure system
KR200407302Y1 (ko) 조립식 파티션
US20080213040A1 (en) Shear Connector for Connecting at Least Two Components and System of Interconnected Components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KR200408097Y1 (ko) 양돈장 울타리
KR20190122933A (ko)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목재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형성방법
KR102051944B1 (ko) 조립식 경량 그레이팅
KR20120124623A (ko) 조립식 거푸집패널
AU2010218946B2 (en) Unit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and floor structure utilizing the unit structural member
KR101566801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200404499Y1 (ko) 양돈장 칸막이 겸 울타리
KR101180103B1 (ko) 이동 조립식 마방
KR102105082B1 (ko) 조립식 덧마루
JP3704317B2 (ja) 建築部材の継手具、建築物の軸組構造及び建築物の軸組工法
JP2003293487A (ja) 耐力壁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耐力壁構造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100581028B1 (ko)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20200045269A (ko) 모듈러주택의 바닥 형성용 구조물
KR100727593B1 (ko) 조립식 트랜스용 이음구
KR101604821B1 (ko) 골조용 형강
JP2011256685A (ja) 型枠及び足場の組み立て部材と工法の発明
JP3148304U (ja) トラス筋ジョイント器具
JP2004218236A (ja) 既存の木造建築物の耐震改修工法
JP5629195B2 (ja) 建物
JP3614803B2 (ja) 建物の柱の据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