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02Y1 - 조립식 파티션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02Y1
KR200407302Y1 KR2020050032047U KR20050032047U KR200407302Y1 KR 200407302 Y1 KR200407302 Y1 KR 200407302Y1 KR 2020050032047 U KR2020050032047 U KR 2020050032047U KR 20050032047 U KR20050032047 U KR 20050032047U KR 200407302 Y1 KR200407302 Y1 KR 200407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ost
molding
parti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하
Original Assignee
(주)동우인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인텍스 filed Critical (주)동우인텍스
Priority to KR2020050032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04B2/743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with panels hooked onto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8Connections between partitions and structural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를 구성하는 패널(100), 패널(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몰딩바(200), 몰딩바(200)가 전,후,좌,우로 결합되어 패널(100)과 패널(100)을 연결하며 설치될 바닥면에 베이스플레이트(700)에 의해 지지되는 포스트바(300), 몰딩바(200)에 연결되어 패널(100)을 축사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바(400),로 구성하여, 제품의 양산성 및 염가공급이 가능하고, 더불어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파티션 상호간에는 조립위치의 설정 및 조립작업이 초보자라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 및 해체 작업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고, 파티션 설치 방향을 길이방향은 물론 직각방향으로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용도상의 호환성이 뛰어난 조립식 파티션을 제공한다.
파티션, 칸막이, 포스트, 브라켓

Description

조립식 파티션{Sectional Partition}
도 1 내지 2는 본 고안의 파티션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몰딩바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도 1의 몰딩바를 연결하는 포스트바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6은 도 1의 몰딩바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조립식 파티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7의 포스트바 연결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조립식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포스트바와 몰딩바, 고정바를 이용하여 칸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패널을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내산, 내알카리성이 뛰어나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이란 사무실, 축사 등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는 칸 막이를 말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수직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전후측에 결합되어 파티션의 벽면을 구성하는 보드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프레임과 보드는 철구조물을 사용하여 용접이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였는데 설치비용은 물론 설치작업에 상당한 애로점과 고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축사에 사용되는 파티션의 경우 가축의 분뇨 등에 의하여 철구조물로 이루어진 파티션이 쉽게 하여 파티션의 수명이 충분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고, 조립성 및 호환성이 우수하며 설치 및 해체 작업상의 편의성을 동시에 구비한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파티션은, 벽체를 구성하는 패널(100); 일방향으로는 상기 패널의 측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210)를 가지며, 타방향으로는 후술 될 포스트 바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20)가 구비된 몰딩바(200); 설치될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700)에 의해 지지됨을 포함하며, 중공형 기둥형상을 갖는 포스트(310)와, 이 포스트의 표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바(200)의 연결부(220)가 삽입되는 삽입부재(311)로 이루어진 포스트바(300); 및 상기 몰딩바(200) 중 선택된 몰딩바의 연결부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420)와, 이 끼움돌부(420)와 일체로 되어 축사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10)로 이루어진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바(300)의 삽입부재(311) 내면에 종방향으로 걸림턱(330)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몰딩바(200)의 삽입부(210)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연결부(220)는 상기 삽입부의 폐쇄 단부에 일체로 되는 역'ㄷ'자 형상을 가짐과 함께 양측 개구단부로부터 내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이탈방지턱(222)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삽입부(210)와 연결부(220) 사이에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삽입홈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바(300)는 사각단면을 가지면서 3면상에 삽입부재(311)가 형성되며, 내부 각 모서리에 포스트바의 밑부분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700)와 피스(p)로 고정하기 위한 'C'자형 단면의 피스 고정용 슬롯(3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311)의 폐쇄 단부(311a)는, 상기 포스트(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410), 삽입부재(311), 연결부(211) 각각에 체결수단이 결합될 위치를 표시해주는 표식홈(212,312,4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바(200), 포스트바(300), 고정바(400)는 알루미늄 또는 그 외의 금속에 의해 압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 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몰딩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몰딩바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포스트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포스트바의 단면도, 도 5는 고정바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고정바의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파티션이 설치된 축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포스트바에 몰딩바가 결합된 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포스트바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사를 구획하는 파티션은 벽체를 구성하는 패널(100), 패널(100)의 단부에 삽입되는 몰딩바(200), 몰딩바(200)가 전, 후, 좌,우로 결합되어 패널(100)과 패널(100)을 '-','ㄱ','⊥', 또는 '+'자형으로 연결하는 포스트바(300), 몰딩바(200)에 연결되어 패널(100)을 축사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바(400)로 구성된다.
패널(100)은, 축사를 구획하는 벽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재를 사용하여 압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합판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바(200)는, 일방향으로는 패널(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ㄷ'자형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삽입부(210)의 폐쇄 단부에 입체로 되는 역'ㄷ'자형 연결부(220)가 형성된다. 연결부(220)는 개구 단부가 내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이탈방지턱(222)이 형성되며, 삽입부(210)와 연결부(220) 사이에는 걸림턱이 삽입되는 삽입홈부(230)가 형성된다. 삽입부(220)의 외면 에는 소정 간격으로 표식홈(212)이 형성되어 패널(100) 삽입 후 고정을 위한 피스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600)이 삽입될 위치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바(300)는, 원기둥, 또는 다면체 기둥으로 형성된 포스트(310)와, 포스트(310)의 좌측면, 우측면, 전면 및/또는 후면의 종방향으로 상기 몰딩바(200)의 연결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22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재(311)로 구성된다. 삽입부재(311)에는 몰딩바(200)의 삽입홈부(230)에 끼워지는 걸림턱(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311)에 연결부(220)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패널과 패널이 연결된다. 상기 포스트(3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포스트(310)의 내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700)와 피스(P)로 고정하기 위한 'C'자형 단면의 피스 고정용 슬롯(313)이 형성된다. 사각 기둥 형상의 포스트일 경우 4귀에 각각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400)는, 몰딩바(200)가 결합된 패널(100)을 축사 벽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몰딩바(200)의 연결부재(221)에 형성된 연결부(2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22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돌부(420)와, 상기 끼움돌부(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사 벽면에 접촉 결합하는 고정부(410)로 구성된다. 끼움돌부(420)의 양측 하단부에 이탈방지턱(222)이 삽입되도록 상응하는 형상의 이탈방지홈(422)이 형성된다. 고정바(400)와 몰딩바(200)의 결합 시 이탈방지턱(222)이 이탈방지홈(422)에 끼워져 결합 강도를 높여준다. 고정부(410)에는 상기 몰딩바(200)의 지지부(211)와 같이 외면에 소정 간격으 로 표식홈(412)이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을 위한 피스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600)이 결합될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몰딩바(200)와 포스트바(300) 및 고정바(400)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일체로 압출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티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몰딩바(200)를 결합하고, 패널(100)에 결합된 몰딩바(200)를 포스트바(300)와 결합하여 패널(100)과 패널(100)을 연결하고, 패널(100)이 결합된 몰딩바(200)를 고정바(400)에 결합하고, 고정바(400)를 벽면(500)에 고정하여 파티션을 완성한다.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몰딩바(200)의 'ㄷ'자형 삽입부(210)에 패널(100)의 단부를 삽입한다. 패널과 몰딩바(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몰딩바(200)의 삽입부(210)에 형성된 표식홈(212)의 위치에 볼트 또는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600)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몰딩바(200)가 양 측단에 결합된 패널(100)과 패널(100)은 몰딩바(200)의 연결부(220)를 포스트바(300)의 삽입부재(311)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걸림턱(330)이 삽입홈부(230)에 끼워져 결합을 단단히 한다. 포스트(310)에 형성된 삽입부재(311)의 위치에 따라 '-', '⊥', 'ㅜ', '+' 모양으로 결합할 수 있다. 포스트바와 몰딩바의 결합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 삽입부재(311)에 형성된 표식홈(312)에 체결수단(60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티션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410)를 벽면(500)에 밀착한 후 체 결수단(600)을 결합하여 고정바(400)를 벽면에 고정한 다음, 고정바(400)의 끼움돌부(420)를 몰딩바(200)의 연결부(220)에 삽입하여 고정바(400)와 몰딩바(200)를 결합하는 방법과, 고정바(400)의 끼움돌부(420)를 몰딩바(200)의 연결부(220)에 삽입한 후, 고정부(410)를 벽면(500)에 밀착하고 고정부(410)에 형성된 표식홈(412)의 위치에 체결수단(600)을 결합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고정바(400)를 몰딩바(200)에 결합하기 전에 벽면에 고정하거나, 몰딩바(200)를 결합한 후 벽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조립한다.
파티션을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바(300)를 베이스플레이트(700)에 결합하고, 베이스플레이트(700)를 설치될 바닥면에 앙커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즉, 도 9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바닥에 고정되는 판형 베이스플레이트(700)에는 포스트바(300)와 결합 시 포스트바(300)의 슬롯(3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스 삽입홀(720)이 형성되고, 설치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앙커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800)이 삽입되는 체결홀(7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700)를 이용하여 포스트바(300)를 바닥에 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베이스플레이트(700)의 피스 삽입홀(720)과 'c'자형 단면의 피스 고정용 슬롯(313)이 대응하도록 포스트바(300) 하단에 베이스플레이트(700)를 조립한 후 피스(P)를 피스 삽입홀(720)을 관통하여 피스 고정용 슬롯(313)에 삽입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700)와 포스트바(300)를 결합한다. 포스트바(300)가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7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위치시키고, 체결홀 (710)을 관통하여 앙커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800)을 바닥면에 박히도록 결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700)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축사용 조립식 파티션은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몰딩바와 포스트바 및 고정바를 형성하고, 바를 이용하여 패널을 연결 고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파티션로서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양산성 및 염가 공급이 가능하고, 더불어 설치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파티션 상호 간에는 조립위치의 설정 및 조립작업이 초보자라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 및 해체 작업상의 제반 편익을 제공할 수 있고, 파티션 설치 방향을 길이방향은 물론 직각방향으로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용도상의 호환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파티션의 벽체를 구성하는 패널(100);
    일방향으로는 상기 패널의 측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210)를 가지며, 타방향으로는 후술될 포스트 바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20)가 구비된 몰딩바(200);
    설치될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700)에 의해 지지됨을 포함하며, 중공형 기둥형상을 갖는 포스트(310)와, 이 포스트의 표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몰딩바(200)의 연결부(220)가 삽입되는 삽입부재(311)로 이루어진 포스트바(300); 및
    상기 몰딩바(200) 중 선택된 몰딩바의 연결부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420)와, 이 끼움돌부(420)와 일체로 되어 축사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10)로 이루어진 고정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바(300)의 삽입부재(311) 내면에 종방향으로 걸림턱(330)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몰딩바(200)의 삽입부(210)는 'ㄷ'자형 단면을 가지며, 연결부(220)는 상기 삽입부의 폐쇄 단부에 일체로 되는 역'ㄷ'자 형상을 가짐과 함께 양측 개구단부로부터 내향으로 절곡된 형태의 이탈방지턱(222)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삽입부(210)와 연결부(220) 사이에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삽입홈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바(300)는 사각단면을 가지면서 3면상에 삽입부재(311)가 형성되며, 내부 각 모서리에 포스트바의 밑부분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700)와 피스(p)로 고정하기 위한 'C'자형 단면의 피스 고정용 슬롯(3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11)의 폐쇄 단부(311a)는, 상기 포스트(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10), 삽입부재(311), 연결부(211) 각각에 체결수단이 결합될 위치를 표시해주는 표식홈(212,312,4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200), 포스트바(300), 고정바(400)는 알루미늄 또는 그 외의 금속에 의해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티션.
KR2020050032047U 2005-11-11 2005-11-11 조립식 파티션 KR200407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47U KR200407302Y1 (ko) 2005-11-11 2005-11-11 조립식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47U KR200407302Y1 (ko) 2005-11-11 2005-11-11 조립식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02Y1 true KR200407302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047U KR200407302Y1 (ko) 2005-11-11 2005-11-11 조립식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02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73B1 (ko) 2006-12-28 2008-03-07 광건티앤씨(주) 칸막이 코너 연결 구조
KR101316817B1 (ko) * 2012-03-12 2013-10-11 임완길 오염방지용 조리 펜스
KR101563551B1 (ko) * 2014-09-02 2015-10-27 이청종 건축용 판상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96201B1 (ko) *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US9850656B2 (en) 2014-09-02 2017-12-26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CN109235805A (zh) * 2018-09-18 2019-01-18 山东联海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蒸压加气混凝土保温墙板及生产工艺
KR102071805B1 (ko) * 2018-10-16 2020-01-30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조립식 가드 펜스
KR20200124073A (ko) * 2019-04-23 2020-11-02 유병훈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4167A (ko) * 2019-07-03 2021-01-13 박재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20220157710A (ko) * 2021-05-21 2022-11-29 국방과학연구소 관통시험용 yaw카드 거치대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773B1 (ko) 2006-12-28 2008-03-07 광건티앤씨(주) 칸막이 코너 연결 구조
KR101316817B1 (ko) * 2012-03-12 2013-10-11 임완길 오염방지용 조리 펜스
US10577795B2 (en) 2014-09-02 2020-03-03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63551B1 (ko) * 2014-09-02 2015-10-27 이청종 건축용 판상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9850656B2 (en) 2014-09-02 2017-12-26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9920521B2 (en) 2014-09-02 2018-03-20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96201B1 (ko) * 2015-05-29 2016-02-22 조영일 조립식 벽체
CN109235805A (zh) * 2018-09-18 2019-01-18 山东联海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蒸压加气混凝土保温墙板及生产工艺
KR102071805B1 (ko) * 2018-10-16 2020-01-30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조립식 가드 펜스
KR20200124073A (ko) * 2019-04-23 2020-11-02 유병훈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7689B1 (ko) * 2019-04-23 2020-12-31 유병훈 수평으로 조립 설치되는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04167A (ko) * 2019-07-03 2021-01-13 박재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102285770B1 (ko) * 2019-07-03 2021-08-05 박재구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20220157710A (ko) * 2021-05-21 2022-11-29 국방과학연구소 관통시험용 yaw카드 거치대
KR102497388B1 (ko) * 2021-05-21 2023-02-08 국방과학연구소 관통시험용 yaw카드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302Y1 (ko) 조립식 파티션
EP2674068B1 (en) Bottle rack and kit for bottle-supporting assembly
US7694483B1 (en) Modular structure from prefabricated synthetic component elements
US20140216327A1 (en) Boat seat base assembly
US20100193756A1 (en) Metal panel fencing system
EA030738B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и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й для вентилируемой облицовки
KR101260926B1 (ko) 조립형 부구
US20110107696A1 (en) Item of wall-like standing furniture
US20030201432A1 (en) Modular railing and related methods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US20020020140A1 (en) Interconnectable studs and tracks for a building system
US20090272054A1 (en) Pvc wall frame system
KR101710913B1 (ko) 조립식 화장실
KR20100007098U (ko) 가로바를 이용한 판넬 설치 유닛
UA51799C2 (uk) Панель для спорудження водоймищ для плавальних басейнів
JPH08135053A (ja) 間仕切壁ユニット及びパネル連結用ジョイント
CN113700374A (zh) 一种装配式护栏结构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KR200344282Y1 (ko) 조립식 휀스
KR200421006Y1 (ko) 거푸집용 인코너 패널 조립체
US20050120661A1 (en) Floor and ceiling receiving tracks for seating metal and wood studs and the like and which in particular include spaced-apart punch holes along first and second sides thereof
KR200186347Y1 (ko) 축사용 조립식 칸막이
KR20200090272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200355511Y1 (ko) 조립식 창틀용 골조
KR102055932B1 (ko) 파이프 행거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