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48Y1 - 이온수기의 전해조 - Google Patents
이온수기의 전해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7948Y1 KR200407948Y1 KR2020050031676U KR20050031676U KR200407948Y1 KR 200407948 Y1 KR200407948 Y1 KR 200407948Y1 KR 2020050031676 U KR2020050031676 U KR 2020050031676U KR 20050031676 U KR20050031676 U KR 20050031676U KR 200407948 Y1 KR200407948 Y1 KR 2004079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electrode
- water
- electrodes
- electrolytic ce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온수기에 탑재되는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띠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에서 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각각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공간 내 물이 전극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하나이상의 양전극과 하나이상의 음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며; 산성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전해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해조를 A-A'선에 따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 매쉬형 전극 전해조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해조 및 제2실시예 전해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에 인가전압의 변화대비 pH 변화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고안은 이온수기에 탑재되는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윤택과 더불어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의식주의 기본적인 충족보다는 삶의 질과 건강에 쏠리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음식의 기본이 되고 생명활동에 가장 중요한 물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었고, 특히, 공공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상수에 대한 불신과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사람들은 가정에서 직접 정수한 물이나, 신뢰할 수 있는 식수회사에서 물을 구매해 음용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정수한 물에 있어서, 단순히 깨끗한 물이라는데 만족하지 않고, 건강에 보다 좋은 물을 공급하는데 관심이 집중되면서 알칼리성분의 이온수가 소개되었다.
학계에 따르면, 이온수, 특히 알칼리수는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장내 발효개선, 체내 독소와 노폐물 발생을 억제하며, 살균 및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일반 가정에서 상수로부터 알칼리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온수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이온수기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전해조에 통과시켜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분리하는 것으로, 종래 상기 전해조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었다.
도 1은 종래 전해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해조를 A-A'선에 따라 도시한 조립단면도 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해조(100)는 직류전압이 흐르는 양전극판(131)과 음전극판(141)에 의한 물의 전기분해 작용을 그 원리로 한 것으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112)을 갖도록 형성된 제1,2하우징(110, 120)을 기본 형상으로 하여, 상기 공간(112)으로 물이 유입되어지는 유입구(117)와, 이 유입구(117)와 상기 공간(112)을 연통시키는 유입홈 (115)을 포함하고, 상기 양전극판(131)과 음전극판(141)이 상기 공간(112)으로 탑재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전극인입구(114)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양전극판(131)과 음전극판(141)은 평판구조일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격자)형 일수도 있다. 여기서 매쉬형이라 함은 그물형으로 한정된다는 것은 아니며, 평판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천공된 평판형상의 전극을 '매쉬형'으로 일괄지칭한다.
상기 1,2하우징(110, 120) 내 공간(112)에서 물이 원활히 흐르고 또한 상기 양,음전극판(131, 141)을 통해 원활한 반응을 하기 위해서는 매쉬형인 것이 유리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양,음전극판(131, 141)은 매쉬형 전극(130, 140)에 포함되며, 양 전극(130, 140)이 서로 접하지 못하도록 이격수단(150)을 두었다.
상기 매쉬형 전극(130, 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7) 및 유입홈(115)을 경유해 상기 공간(112)으로 유입된 물에 전류를 흘려 전기분해를 일으키고, 물은 매쉬형 전극(130, 140)을 관통하여 제1공간(a), 제2공간(b) 및 제3공간(c)을 흐르면서 상기 공간(112) 내에서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해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산성수는 수소이온을 포함한 물로서 매쉬형 양전극(130)에서 조성되고, 알칼리수는 수산화이온을 포함한 물로서 매쉬형 음전극(140)에서 조성된다.
이렇게 분해된 산성수와 알칼리수는 각각 상기 매쉬형 양전극(130)에 인접한 산성수 배수구(111)와 매쉬형 음전극(140)에 인접한 알칼리수 배수구(121)를 통해 분리 배출된다. 여기서 분리 배출된 알칼리수는 바로 음용할 수 있고, 산성수는 하수처리하거나 별도로 수집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매쉬형 전극(130, 140)의 경우 평판형 전극에 비해 전기분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도 7(종래 매쉬형 전극 전해조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해조 및 제2실시예 전해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에 도시된 (a)도면의 종래 매쉬형 전극 전해조와 같이, 매쉬형 전극(130, 140) 사이(제2공간 ; b)에서 전기분해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상기 유입홈(11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최초로 상기 제2공간(b)을 우선적으로 거쳐 상기 매쉬형 전극(130, 140)을 통해 제1공간(a) 및 제3공간(c)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한정되었다.
즉, 상기 제2공간(b)으로 최초 유입된 물은 제2공간(b)에서 일단 전해되고, 이후 상기 전극(130, 140)을 관통해 상기 제1ㆍ3공간(a, c)으로 이동된 후 각 공간(a, c)에 연통된 배수구(111, 121)로 배출되어야하므로, 산성수 및 알칼리수가 전해조(100)로부터 배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구(111, 121)와 이어지는 제1공간(a) 및 제2공간(b)이 반드시 요구되었다.
이러한 종래 구조는 전기분해의 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매쉬형 전극(130, 140)의 간격이 약 2mm 내로 유지되어야 하는 제한성에 의해, 상기 전해조(100)의 면적을 넓히고 전압을 크게 제공하지 않는 이상, 전해조(100)의 점유공간 대비 알칼리수의 생산량은 일정치 이상을 넘지 못하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일으켰다.
도 1 및 도 2에 인출된 미 설명부호 '113'은 걸림턱으로, 상기 제1공간(a)을 만들기 위해 상기 매쉬형 양전극(13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물론, 상기 제3공간(c)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2하우징(120)에도 상기 걸림턱(113)과 동일한 턱이 형성된다.
미 설명부호 '116'은 유입관 연결로로, 상기 유입로(117)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전해조(100)와 연결되는 호스 및 각종 관 등이 연결되는 곳이다.
미 설명부호 '114'는 전극인입구로, 상기 매쉬형 전극(130, 140)의 전극판(131, 141)이 관통하는 곳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쉬형 전극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pH를 최적으로 유지하고, 알칼리수와 산성수의 배출비율 일정하게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점유공간 대비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이온수기에 탑재되는 전해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띠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에서 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각각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 중 음전극은 상기 공간 내 물이 음전극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 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은 상기 공간의 내벽에 맞붙어 고정되며;
산성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이온수기의 전해조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 모두에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이 개방되어 연통되는 유입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음전극과 이 음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띠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에서 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각각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공간 내 물이 전극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은 하나이상의 양전극과 하나이상의 음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며;
산성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이온수기의 전해조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하나의 양전극을 중심으로 두 개의 제1음전극 및 제2음전극이 서로 대칭되게 배열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제1ㆍ2음전극과 이 1ㆍ2음전극이 각각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 모두에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이 개방되어 연통되는 유입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의 제1실시예는 공간(214, 222)이 형성된 하우징(210, 220)과, 상기 공간(214, 222)에 탑재되는 전극(230, 240) 및, 상기 전극(230, 240)과 하우징(210, 220) 등을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수단(251, 25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전극(230)은 제1하우징(21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이격수단(251)을 매개로 상기 음전극(240)이 적층되며, 상기 제2이격수단(252)을 매개로 상기 제2하우징(220)의 공간(222)과 이격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전극(230)과 음전극(240)의 이격으로 형성된 제1공간(a')과, 상기 음전극(240)과 제2하우징(220)의 이격으로 형성된 제2공간(b')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양전극(230)의 경우에는 제1하우징(210)의 공간(214) 바닥면과 밀착하므로, 반드시 매쉬형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상기 양전극(230)은 판형 또는 매쉬형이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양전극(230)은 '양전극'으로 명명하고, 상기 음전극(240)은 '매쉬형 음전극'으로 명명한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의 구조에서 상기 산성수 배수구(211)와 알칼리수 배수구(221)는 각각 제1공간(a') 및 제2공간(b')과 직접 연통된다. 따라서, 유입구(22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유입로(226)을 거쳐 상기 매쉬형 음전극(240)과 양전극(230)을 경유하면서 전해되고, 이렇게 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는 각각, 상기 제1공간(a')과 제2공간(b')에 직접 연결되는 산성수 배수구(211)와 알칼리수 배수구(221)를 통해 전해조(200) 밖으로 배출된다.
도 7에 도시된 (b)도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a)도면의 종래 전해조(100)와 비교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는 우선 양전극(230)과 하우징(210) 간의 공간을 제거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24)가 상기 매쉬형 음전극(240) 및 하우징(220) 간에 형성된 제2공간(b')은 물론, 상기 매쉬형 음전극(240) 및 양전극(230) 간에 형성된 제1공간(a')과 모두 연통되어서, 상기 유입구(224)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유입로(226)를 거쳐 상기 제1공간(a') 및 제2공간(b')에 모두 유입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a‘)은 산성수 배수구(211)와 연통되고, 상기 제2공간(b')은 알칼리수 배수구(221)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224)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양전극(230) 및 매쉬형 음전극(240) 사이로 우선 유입되지 않아도, 상기 매쉬형 음전극(240)은 상기 제1공간(a')과 제2공간(b')을 연통시키는 격자형상이므로, 전해효과는 크게 저하되지 않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a)도면 내지 (c)도면은 하우징과 전극 및 전극과 전극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도시한 것인 바, 구조적으로 (a)도면의 종래 전해조(100)와 (b)도면의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가 처리하게 되는 물의 유입량 및 배출량을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전극과 전극 및 전극과 하우징 간의 이격거리와 전극의 두께를 일치시켰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는 우선 종래 전해조(100)의 제1공간(a)이 제거되어 그만큼의 공간점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산성수가 종래 제1공간(a)을 통해 배출되던 산성수 배수구(111)가 본 고안에 따른 제1공간(a')과 유수방향으로 직접 형성되어서 양전극(230) 주변에 갓 형성된 산성수가 상기 매쉬형 음전극(240)을 관통해 제2공간(b')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매쉬형 전극이 탑재된 종래 전해조와 비교해 볼 때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는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처리량은 거의 유사하여 공간활용율을 높였다 할 것이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A-A'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의 제2실시예는 공간(314, 322)이 형성된 하우징(310, 320, 360)과, 상기 공간(214, 222)에 탑재되는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 및, 상기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과 하우징(310, 320, 360) 등을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수단(351, 352, 353, 35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은 상기 하우징(310, 320, 360) 내 공간(314, 322)에 순차로 적층되며, 상기 이격수단(351, 352, 353, 354)을 매개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한편, 상기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은 양극과 음극이 교대로 배치되되, 매쉬형 양전극(330)이 그 중심에 배치되고 매쉬형 음전극(340a, 340b)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을 통과한 물은 산성수 배수구 (361) 및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는 매쉬형 양전극(33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매쉬형 음전극(340a, 340b)에 상응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를 경유하는 알칼리수는 최종적으로 한데 모이게 되므로, 분리된 한쌍의 상기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는 서로 연결되어 일관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종래기술과 더불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c)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 300)는 점유공간 대비 처리량을 높이기 위한 구조적인 변경을 이룬 것으로, 유입로(32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공간 내지 제4공간(a", b", c", d")과 연통되는 유입로(324a)로 모여 상기 제1공간 내지 제4공간(a", b", c", d")으로 유입된다.
이때, 매쉬형 양전극(330)과 매쉬형 음전극(340a, 340b) 사이 공간인 제2공간(b") 및 제3공간(c")으로 유입된 물은 활발한 분해작용을 통해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으로 분리된 후, 매쉬형 전극(330, 340a, 340b)을 통한 교환으로 제1공간(a") 및 제4공간(b")의 물과 각각 혼합된다.
전기분해작용을 거친 이온수는 산성수 및 알칼리수를 포함하며, 산성수 배수구(361) 및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를 거쳐 배출된다.
한편,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산성수 배수구(361) 및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는 각각 상기 제1공간 내지 제4공간(a", b", c", d")과 연통된다. 즉, 상기 제1공간(a")은 둘 중 하나의 알칼리수 배수구(311)과 연통되고, 상기 제2공간(b") 및 제3공간(c")은 산성수 배수구(361)와 연통되며, 상기 제4공간(d")은 남은 하나의 알칼리수 배수구(321)와 연통되는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330, 340a, 340b)에 갓 형성된 수소이온 및 수산화이온은 바로 연통된 해당 배수구(311, 321, 361) 쪽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알칼리수의 양은 종래 전해조(100)가 공급하는 알칼리수의 양보다 더 많으면서도 점유하는 공간은 상대적으로 크게 줄어, 알칼리수의 공급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공간효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극(330, 340a, 340b) 사이에서는 전해가 일어나므로, 상기 제2공간(b") 및 제3공간(c")에서 수소이온 및 수산화이온이 생성된다. 물론, 상기 수소이온은 매쉬형 양전극(330)에 갓 형성되고, 수산화이온은 매쉬형 음전극(340a, 340b)에 갓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전극(330, 340a, 340b)으로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전해를 위한 새로운 물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a")과 제4공간(d")에 위치하는 중성수와 상기 음전극(340a, 340b)에 갓 형성된 알칼리수가 교환되면서 전해가 계속된다. 반면, 상기 매쉬형 양전극(330)의 근접해서 갓 분리된 수소이온은 일부가 제1공간(a") 및 제4공간(d")으로 유입되지만, 전해조(300)에 가해지는 수압과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상기 산성수 배수구(361)의 위치적 이유로, 산성수의 대다수는 상기 산성수 배수구(361)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산성수 배수구(361)의 폭을 알칼리수 배수구(311, 321)와 상대적으로 조절하여 산성수의 배출량을 알칼리수 배출량 보다 줄이더라도, 상기 매쉬형 양전극(330)에서 형성된 다량의 수소이온은 상기 매쉬형 양전극(330)을 중심으로 형성된 산성수 배수구(361)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므로 상기 매쉬형 음전극(340a, 340b)을 관통해 제1공간(a") 및 제4공간(d")으로 유입되는 산성수는 미미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3극으로 구성된 전해방식으로서, 알칼리수 배출량이 종래 2대의 전해조(100)의 배출량과 거의 유사하며, 점유하는 공간은 크게 줄어 공간효율이 높아진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에 인가전압 변화대비 pH 변화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의 데이터는 종래 전해조(100)와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를 통해 시간당 전해되어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양이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가 더 많음을 확인한 상태에서 배출되는 알칼리수의 TDS 및 pH를측정한 것으로, 종래 전해조(100)로부터 배출된 알칼리수와 큰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a)도면은 전압의 크기와 pH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고, (b)도면은 전압을 30V로 유지하면서 전류를 높일 경우 TDS(Total Dissolved Solide)와 pH의 변화를 보인 표로,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에서의 전해가 음용을 위한 알칼리수의 일반적인 상태인 TDS 10~15, pH 9.3~9.5로 유지되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인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300)는 알칼리수의 질적 저하없이도 전해조의 공간점유 대비 배출량이 크게 개선되는 것이다.
미 설명된 인출부호 ‘213’, ‘363’은 산성수가 경유하는 “배수관”이다.
미 설명된 인출부호 ‘223’, ‘323’은 상기 배수관(213, 363)을 덮는 “배수관덮개”로,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200, 300)를 설명하기 위해 형성된 구조일 뿐이며, 상기 배수관(213, 363)에 있어 반드시 요구되는 구성은 아니다.
미 설명된 인출부호 ‘215’, ‘225’, ‘315’, ‘325’, 365‘는 전해조(200, 300)에 내장되는 매쉬형 전극으로 외부에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매개인 전극판(231, 241, 331, 341a, 341b)이 각각 관통하는 곳이다.
한편, 상기 이격수단(150, 251, 252, 351, 352, 353)은 각 전극들을 일정거리로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들 간의 이격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턱을 둘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 및 상술한 전해조의 구조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이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알칼리수의 질적 차이는 거의 없으면서도 점유한 면적 대비 알칼리수의 공급량은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점유 면적 대비 공급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온수기를 경량화 및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띠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에서 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각각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상기 전극 중 음전극은 상기 공간 내 물이 음전극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상기 양전극은 상기 공간의 내벽에 맞붙어 고정되며;산성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 모두에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이 개방되어 연통되는 유입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음전극과 이 음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전기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띠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에서 전해된 알칼리수와 산성수가 각각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상기 전극은 상기 공간 내 물이 전극을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상기 전극은 하나이상의 양전극과 하나이상의 음전극이 교대로 배열되며;산성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은 하나의 양전극을 중심으로 두 개의 제1음전극 및 제2음전극이 서로 대칭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제 5 항에 있어서,알칼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는 상기 제1ㆍ2음전극과 이 1ㆍ2음전극이 각각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사이에서 유수의 방향으로 직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 모두에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전극 간의 이격공간 및 상기 전극과 이 전극이 마주하는 상기 공간 내벽 간의 이격공간이 개방되어 연통되는 유입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676U KR200407948Y1 (ko) | 2005-11-08 | 2005-11-08 | 이온수기의 전해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1676U KR200407948Y1 (ko) | 2005-11-08 | 2005-11-08 | 이온수기의 전해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7988A Division KR100729570B1 (ko) | 2006-07-20 | 2006-07-20 | 이온수기의 전해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7948Y1 true KR200407948Y1 (ko) | 2006-02-07 |
Family
ID=4448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676U KR200407948Y1 (ko) | 2005-11-08 | 2005-11-08 | 이온수기의 전해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794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174Y1 (ko) * | 2020-06-25 | 2021-02-10 | 해양에코그린(주) | 무격막 전해조를 이용한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
-
2005
- 2005-11-08 KR KR2020050031676U patent/KR20040794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3174Y1 (ko) * | 2020-06-25 | 2021-02-10 | 해양에코그린(주) | 무격막 전해조를 이용한 전해 이온수 생성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8130016A1 (ja) |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 |
TWI622666B (zh) | 電解水生成裝置 | |
KR101398341B1 (ko) | 전기 화학적 물 준비용 장치 | |
KR100533710B1 (ko) | 전해수 제조장치 | |
KR20120019317A (ko) |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무격막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수 시스템 | |
JP5282201B2 (ja) | 電気分解水生成器 | |
KR100729570B1 (ko) | 이온수기의 전해조 | |
KR200407948Y1 (ko) | 이온수기의 전해조 | |
TWI721669B (zh) | 具堆疊式電解槽及流量切換裝置之分離式出入口之電解水裝置 | |
CN203048643U (zh) | 一种处理高cod污水的催化氧化惰性电极板、组合电极及装置 | |
CN202390235U (zh) | 一种折板连续流式隔膜电解装置 | |
KR20130040627A (ko) | 전해 환원수 제조장치 | |
TWI354652B (en) |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100651654B1 (ko) | 전기분해 정수기 | |
KR20120019316A (ko) | 무격막 전해조를 포함한 전해수 시스템 | |
KR100947760B1 (ko) | 일체형 급배수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 |
CN207998643U (zh) | 一种能够提高电解性能的酸性氧化电位水电解槽 | |
KR20150097104A (ko) | 산성수 전해조 | |
KR200365102Y1 (ko) | 이온수 유로 모듈전극판 구조 | |
KR200410857Y1 (ko) | 냉이온수기 | |
KR20130062647A (ko) |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 |
CN213171690U (zh) | 电解水除垢电极的进水布水装置 | |
CN221544294U (zh) | 电催化装置及废水处理设备 | |
JP3409447B2 (ja) | イオンリッチ水生成用無隔膜型電解槽 | |
KR101568173B1 (ko) | 전기분해식 수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정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