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06Y1 - 실의 잔털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실의 잔털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06Y1
KR200407606Y1 KR2020050027622U KR20050027622U KR200407606Y1 KR 200407606 Y1 KR200407606 Y1 KR 200407606Y1 KR 2020050027622 U KR2020050027622 U KR 2020050027622U KR 20050027622 U KR20050027622 U KR 20050027622U KR 200407606 Y1 KR200407606 Y1 KR 20040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ishing
hair
guide tube
draw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술
홍성원
Original Assignee
권영술
홍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술, 홍성원 filed Critical 권영술
Priority to KR2020050027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2Bulking, e.g. loop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6Modifying the surface by polishing, e.g. glazing, glos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간격을 가지고 루프가 있는 장식 연사로 보통 니트나 방모직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클레 사(boucle yarn)의 표면에 천연섬유류와 같이 잔털을 생성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사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부클레 사(boucle yarn)가 인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장형의 가이드관(10)과;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단측이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부재(20)와; 상기 가이드관(10)의 상단측이 하단측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에 인입된 부클레 사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41)이 일면에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1인출공(41)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를 상측부로 인출하는 제2인출공(42)이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측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전동회전체(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벨트(3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상측에 마련되며 제1인출공(41)과 제2인출공(42)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100)가 상기 회전부재(20)에 의해 회전될 때 접촉되도록 거친 연마면(51)이 형성된 연마부재(50)와; 상기 연마부재(50)의 상부에 마련되며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에 의해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hairy yarn)를 권취하는 지관(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실의 잔털생성장치는,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부클레 사의 실 표면을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마부재의 연마면에 의해 연마되도록 하여 실 표면에 형성된 루프가 잔털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부클레 사를 천연섬유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헤어리 사로 변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클레 사, 헤어리 사, 잔털생성, 연마부재

Description

실의 잔털생성장치{DEVICE FOR DOWNY HAIR FORMATION DEVICE OF YAR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 생성장치에서 구성요부인 인출부재와 연마부재에 실이 안내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에서 인출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에서 제조된 헤어리 사를 촬영한 확대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관 20 : 회전부재 30 : 회전벨트
31 : 전동회전체 40 : 인출부재 41 : 제1인출공
42 : 제2인출공 50 : 연마부재 51 : 연마면
60 : 지관 70 : 롤러부
100 : 부클레 사(boucle yarn)
200 : 헤어리 사(hairy yarn)
본 고안은 소정간격을 갖고 루프인 부클레가 형성되어 있는 장식 연사로 보통 니트나 방모직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부클레 사(boucle yarn)의 표면에 천연섬유류와 같이 잔털을 생성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이 연마부의 거친 연마면을 통과하는 동안 연마면을 타고 회전되도록 진행시킴으로써 실 표면의 루프인 부클레를 터트려서 균일하게 잔털을 생성시킬 수 있는 실의 잔털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사는 촉감이 좋고 푹신푹신하며 고가이다. 이러한 천연섬유류는 그 생산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합성수지섬유로 직조한 실, 즉 수지 사를 이용하여 천연섬유류와 같은 실로 전환시킨 헤어리 사(hairy yarn)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벌키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982-000350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그 특징은 실을 형성하고 있는 필라멘트의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준 다음, 이들 필라멘트를 신장(伸張)시켜서 스크래치 된 자리에서 절단되게 함으로써 천연섬유류와 같이 충분히 푹신푹신한 헤어리 사를 얻는 것이었다.
또한 러빙(rubbing)기구에 의해서 스크래치 된 필라멘트를 가진 가연 사와 보통의 가연 사를 얽어매어 푹신푹신한 헤어리 사를 얻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헤어리 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회전축을 가지는 수개의 마찰원판으로 된 가연장치와, 이 가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연가이드로 구성된 가연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가연기구에 의해 가연되는 실의 이동로 위에 회전축과 러빙원판이 동심을 이루고 설치되는 러빙기구가 마련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은 가연장치에 의해 가연 및 해연되면서 러빙원판의 거친 표면으로 문질러주면서 주행시켜 실의 필라멘트에 스크래치가 생기며 이렇게 스크래치 된 실과 스크래치 되지 않는 실을 모아 얽어매기 위한 엔탱글링(entangling)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또 엔탱글링장치에는 실의 필라멘트가 그 긁힌 자리에서 잘라지도록 실을 확산하고 신장시키고 얽히게 하기 위한 공기분출노즐을 갖추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며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압축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부대설비가 부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내면에 거친 연마면이 형성된 연마부를 부클레사가 지관에 권취되는 이동로에 더 구성하여 실의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부클레 사가 지관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실의 표면에 형성시킨 루프, 즉 부클레를 터트려서 잔털이 자연스럽게 형성시키며, 이로 인하여 간단한 구성에 의해 천연섬유류와 같은 헤어리 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실의 잔털생성장치는,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부클레 사(boucle yarn)가 인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장형의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측이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일측이 밀착되고 전동회전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벨트와; 상기 가이드관의 상단측이 하단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 인입된 부클레 사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이 일면에 통공되며 상기 제1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를 상측부로 인출하는 제2인출공이 상단플랜지에 통공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제1인출공과 제2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의 표면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연마되도록 내면에 연마면이 형성된 연마부재와; 상기 연마부재의 연마면과 접촉이 잘 이뤄지도록 안내하는 실안내구와; 상기 인출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부재의 연마면과 실이 접촉되어 표면에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hairy yarn)로 마련하고 이 헤어리 사를 권취하는 지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부재와 지관의 사이에는 상기 연마부재의 연마면에 의해 표면이 연마되어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의 표면을 다듬는 롤러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의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제2인출공은 연마부재의 내면직경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동시킴이 가능하거나 장방형의 통공 내에 수개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는, 표면에 루프가 형성된 부클레 사의 실 표면을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마부재의 연마면에 의해 연마되도록 하여 실 표면에 형성된 루프를 터트려 잔털로 변화시킴으로써 부클레 사를 천연섬유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헤어리 사로 변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 생성장치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의 표면에 고리형상과 같은 루프가 형성된 부클레 사를 지관에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실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를 연마하여 터트려서 잔털을 형성함으로써 천연섬유와 같은 효과를 얻는 헤어리 사로 변형하여 지관에 권취시키는 것이다.
그 주요구성은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부클레 사(boucle yarn)가 인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장형의 가이드관(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관(10)의 하단측 외면에 회전부재(20)가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관(10)의 상단측에는 가이드관(10)의 하부로부터 인입된 부클레 사를 상측부로 인출 안내하는 인출부재(40)가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측면에는 회전부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벨트(30)가 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벨트(30)는 전동회전체(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마련된다.
상기 인출부재(40)는 가이드관(10)의 상단에 결합 고정되어 가이드관(10)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가이드관(10)의 하측내부로부터 인입된 부클레 사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41)이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인출공(41)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를 상측부로 인출 안내하는 제2인출공(42)이 상단플랜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출부재(40)의 상측에는 그라인딩숫돌 등과 같은 연마부재(5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연마부재(50)는 적어도 내면에 인출부재(40)의 제1인출공(41)과 제2인출공(42)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의 표면을 상기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되는 가이드관(10) 및 인출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연마되도록 하는 연마면(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마부재(50)는 전체소재를 연마석으로 마련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연마부재(50)의 내면인 연마면(51)은 부클레 사가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통과할 때 보다 균일하게 접촉됨은 물론 부클레 사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가 넓은 테이퍼형상이나 곡면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과 접촉이 잘 이뤄지도록 안내하는 실안내구(55)가 마련되어 있고, 이 실안내구(55)의 상부에는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통과하면서 표면에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hairy yarn)를 권취하는 지관(60)이 마련된다.
상기 연마부재(50)와 지관(60) 사이에는 상기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에 의해 표면이 연마되어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의 표면을 다듬거나 안내하는 롤러부(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70)는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에 의해 부클레 사의 루프가 연마되면서 잔털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리된 보푸라기, 즉 분리잔털 등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양질의 헤어리 사를 얻을 수 있고 또 지관(60)에 헤어리 사가 권취될 때의 권취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참조하여 그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아크릴(acrylic), 혼방사 등의 원사를 단일 또는 혼합하여 연사기의 일종인 오작기(ozeki)를 이용하여 부사에 오버 피드(over feed)를 주어 원사에서 루프(loop, 101)를 형성시킨 특수사인 부클레 사(boucle yarn, 100)를 연사한다.
이렇게 연사된 부클레 사(100)를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를 이루는 가이드관(10)의 하단 측으로부터 인입시켜 상기 가이드관(10)의 상측단에 결합 고정된 인출부재(40)의 제1인출공(41)과 제2인출공(42)을 통해 인출한 후, 상기 연마부재(50)의 내면인 연마면(51)과 실안내구(55) 및 상기 롤러부(7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관(60)에 권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관(60)과 롤러부(70)는 별도의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부클레 사(100) 는 상기 지관(60)의 외주표면을 따라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권취된다.
이와 같이 부클레 사(100)가 지관(60)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상기 부클레 사(100)의 둘레면에 형성된 루프(101)가 실안내구(55)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기 연마부재(50) 내면인 연마면(51)과 균일한 접촉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부클레 사(100)의 루프(101)가 연마되어 터지면서 원사표면에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200)로 변형되게 된다.
이렇게 가공 처리된 헤어리 사(200)는 지관(60)과 롤러부(70)에 당겨지므로 지관(60)의 외주표면에는 표면에 잔털(201)이 형성된 헤어리 사(200)가 권취되어 천연섬유와 같은 헤어리 사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클레 사(100)가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지나는 동안 부클레 사(100), 즉 원사에서 돌출 형성시킨 루프(101)의 연마가 가능한 이유는,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단측이 결합 고정된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주면에 회전벨트(30)가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어 있어, 상기 회전벨트(30)가 전동회전체(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관(10)의 상측에 인출부재(40)가 결합 고정되어 있어 상기 인출부재(40) 역시 회전부재(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렇게 인출부재(40)가 회전됨에 따라서 도 3a, 도 3b, 도 3c,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상기 인출부재(40)의 제2인출공(42)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100)가 상기 인출부재(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인출되는 동안, 상기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타고 계속적인 회전을 진행하게 되므로 상기 부클레 사(100)의 표면에 형 성된 루프(101)가 연마되어 터지면서 표면에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200)로 변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지관(60)의 회전에 의해 계속적으로 지관(60) 측으로 당겨지는 부클레 사(100)가 상기 인출부재(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가이드관(10)의 외부측으로 인출되고 인출된 부클레 사(100)는 상기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타고 회전되면서 상기 지관(60)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부클레 사(100)의 표면에 형성된 루프(101)가 거친 연마면(51)에 의해 연마되어 잔털로 되고 이렇게 원사에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200)로 변형됨이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생성장치에서 인출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인출부재(40)의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제2인출공(42)을 연마부재(50)의 내면직경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다수개로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를 타고 상기 제1인출공(41)을 지나 제2인출공(42)으로 인출되는 부클레 사(100)의 유동범위를 연마부재(50)의 내면직경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의 잔털생성장치는 위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원사 표면에 루프 가 형성된 부클레 사의 실 표면을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연마부재의 거친 연마면과 접촉되는 마찰에 의해 연마되도록 하여 원사 표면의 루프가 터지면서 잔털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부클레 사를 천연섬유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헤어리 사로 변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원사 표면에 루프(loop)가 형성된 부클레 사(boucle yarn)가 인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장형의 가이드관(10)과;
    상기 가이드관(10)의 하단측이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부재(20)와;
    상기 가이드관(10)의 상단측이 하단측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관(10)의 내부에 인입된 부클레 사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41)이 일면에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1인출공(41)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를 상측부로 인출하는 제2인출공(42)이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인출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20)의 외측면에 일측이 밀착되게 설치되며 전동회전체(3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벨트(30)와;
    상기 인출부재(40)의 상측에 마련되며 제1인출공(41)과 제2인출공(42)을 통해 인출된 부클레 사(100)가 상기 회전부재(20)에 의해 회전될 때 접촉되도록 거친 연마면(51)이 형성된 연마부재(50)와;
    상기 연마부재(50)의 상부에 마련되어 연마면(51)과 접촉이 잘 이뤄지도록 안내하는 실안내구(55)와;
    상기 연마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인출부재(40)가 회전됨에 따라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과 실이 접촉되어 잔털이 형성된 헤어리 사(hairy yarn)를 권취하는 지관(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의 잔털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50)의 내면은 부클레 사가 연마부재(50)의 연마면(51)을 통과할 때 균일하게 접촉됨은 물론 부클레 사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보다 하부가 넓은 테이퍼형상이나 곡면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의 잔털생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40)의 상단 플랜지에 형성된 제2인출공(42)을 연마부재(50)의 내면직경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수개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의 잔털생성장치.
KR2020050027622U 2005-09-26 2005-09-26 실의 잔털생성장치 KR20040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22U KR200407606Y1 (ko) 2005-09-26 2005-09-26 실의 잔털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22U KR200407606Y1 (ko) 2005-09-26 2005-09-26 실의 잔털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06Y1 true KR200407606Y1 (ko) 2006-02-03

Family

ID=4448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622U KR200407606Y1 (ko) 2005-09-26 2005-09-26 실의 잔털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41B1 (ko) * 2016-10-26 2017-04-12 황영인 기모사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141B1 (ko) * 2016-10-26 2017-04-12 황영인 기모사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8648A (en) Helically wrapped yarn
US432294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reak spinning yarn
US5008992A (en) Method of producing a bulked composite yarn
US4351146A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a yarn having alternate twists of opposite directions
US7127784B2 (en) Treatment of filament yarns to provide spun-like characteristics and yarns and fabrics produced thereby
JPH01156558A (ja) 飾り糸、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
KR101726141B1 (ko) 기모사 가공장치
TW49051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aised yarns
KR200407606Y1 (ko) 실의 잔털생성장치
US508175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taple-like yarn from continuous filament yarn
JP4372788B2 (ja) ループ糸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用のノズルコア、ならびにノズルコア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6854167B2 (en) Treatment of filament yarns to provide spun-like characteristics and yarns and fabrics produced thereby
JPS6344846B2 (ko)
JP2009144311A (ja) 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93907A (ja) 相互に一定の位置に配置された少なくとも2本のフィラメント束から無撚糸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装置
US5383331A (en) Composite comprising staple fiber and filament yarn
US3688358A (en) Process for producing bulky yarn from multifilament yarn
JPS59130323A (ja) 空気渦中で短繊維から糸を紡績する方法と装置
JP2020183608A (ja) 紡績ユニット、空気紡績機および糸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1959142A (en) Manufacture of yarns
US200602009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a yarn particularly a synthetic multi-strand yarn, and yarn produced in this way
JPH02182923A (ja) ノズル紡績装置
JP2001172839A (ja) 精紡における起毛糸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45699B2 (ko)
TW202336307A (zh) 花式紗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