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62Y1 -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 Google Patents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62Y1
KR200407362Y1 KR2020050030501U KR20050030501U KR200407362Y1 KR 200407362 Y1 KR200407362 Y1 KR 200407362Y1 KR 2020050030501 U KR2020050030501 U KR 2020050030501U KR 20050030501 U KR20050030501 U KR 20050030501U KR 200407362 Y1 KR200407362 Y1 KR 200407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box
cylinder
mounting table
automatic empt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
윤홍선
이현동
김영근
이원옥
오성식
김병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 대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 대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50030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틀(21) 상에 산물상자(10)가 놓이는 승강판(22)이 설치되고 수직바(23)의 상단부에 덮개(24)가 구비된 재치테이블(20); 상기 재치테이블(20)의 테이블틀(21)에 마련된 실린더지지대(31)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30a) 선단부가 승강판(22)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22)을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실린더(30);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에 로드(40a) 선단부가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베이스(42) 상에 고정되는 회동전복실린더(40); 및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수직바(23)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로드(50a) 선단부가 덮개(24)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산물상자(1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5a)을 갖는 슬라이더(25)와 연결되는 경사승강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산물상자 내의 산물을 선별작업라인으로 투입시 산물상자를 자동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산물의 손실 절감 및 상품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수직승강실린더, 회동축, 로드, 지지판

Description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Apparatus for making automatically empty of products box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의 산물상자가 회동 전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의 산물상자가 회동 전복된 상태를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를 배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산물상자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의 산물상자가 회동 전복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의 회동 전복된 상태의 산물상자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를 나타낸 확대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산물상자 12 : 상단개구
14 : 배면 20 : 재치테이블
21 : 테이블틀 21a : 다리
22 : 승강판 23 : 수직바
24 : 덮개 25 : 슬라이더
25a : 지지판 26 : 회동축
30 : 수직승강실린더 30a : 로드
31 : 실린더지지대 40 : 회동전복실린더
40a : 로드 42 : 지지베이스
50 : 경사승강실린더 50a : 로드
60 : 회동가이드 60a : 회동경로
70 : 이송컨베이어 80 : 완충기
81 : 회전축 82 : 브러쉬
90 : 유압발생기 92 : 콘트롤러
본 고안은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물상자 내의 산물을 선별작업라인으로 투입시 산물상자를 자동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산물의 손실 절감 및 상품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물상자는 산지유통센터에서 원예산물의 수확 후 수집 작업에서부터 운반, 예냉, 저장까지의 단계를 산물형태로 처리하는 동안 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상자를 말한다.
이러한 산물의 선별 작업을 위해 산물을 선별작업라인으로 투입할 경우 산물상자로부터 산물을 꺼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산물 인출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노동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산물상자 내의 산물을 선별작업라인으로 투입시 산물상자를 자동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산물의 손실 절감 및 상품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는 테이블틀 상에 산물상자가 놓이는 승강판이 설치되고 테이블틀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바의 상단부에 덮개가 구비된 재치테이블; 상기 재치테이블의 테이블틀에 마련된 실린더지지대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 선단부가 승강판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을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실린더; 상기 재치테이블의 양측면에 로드 선단부가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베이스 상에 고정되며, 재치테이블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산물상자의 상단개구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회동전복실린더; 및 상기 재치테이블의 수직바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로드 선단부가 덮개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산물상자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갖는 슬라이더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을 승강시켜 산물상자의 상단개구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내부의 산물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경사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치테이블의 양측면에 회동전복실린더의 선단부와 연결되는 회동축이 마련되고, 상기 재치테이블의 양측면 인접부에 상기 회동축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경로를 갖는 회동가이더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의 덮개 상단 인접부에 이 재치테이블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을 소정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선단 상부에 회동 전복된 산물상자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이 완충되면서 이송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하는 완충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는 덮개의 선단부에 축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브러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승강실린 더와 회동전복실린더 및 경사승강실린더에는 각각 산물상자의 수직승강높이와 회동각 및 경사승강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는 테이블틀(21) 상에 승강판(22)이 설치되고 테이블틀(21)의 양측 수직바(23)의 상단부에 덮개(24)가 구비된 재치테이블(20)과, 이 재치테이블(20)의 테이블틀(21)에 마련된 실린더지지대(31)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판(22)을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실린더(30)와, 이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에 로드(40a) 선단부가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베이스(42) 상에 고정되는 회동전복실린더(40) 및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수직바(23)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로드(50a) 선단부가 덮개(24)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산물상자(1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5a)을 갖는 슬라이더(25)와 연결되는 경사승강실린더(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재치(載置)테이블(20)은 사각틀 형상의 테이블틀(21) 네 귀퉁이에 지면으로 연장되는 다리(21a)가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틀(21) 중앙에 산물상자(10)가 놓이는 승강판(22)이 설치되며, 테이블틀(21)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네 개의 수직바(23) 상단부에 덮개(24)가 구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직승강실린더(30)는 재치테이블(20)의 승강판(22) 저면에 해당되는 테이블틀(21)에 마련된 실린더지지대(31)에 몸체가 고정 설치되고, 로드(30a) 선단부가 승강판(22)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22)을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전복실린더(40)는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에 돌출된 회동축(26)과 로드(40a)의 선단부가 연결되고, 그 후단부가 재치테이블(20) 외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지면에 배치된 지지베이스(4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재치테이블(2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지면을 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재치테이블(20)의 회동 전복은 이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 인접부인 지지베이스(42)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26)이 후방을 향해 원호 형상으로 회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경로(60a)가 형성된 회동가이더(60)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승강실린더(50)는 재치테이블(20)의 수직바(23)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로드(50a) 선단부가 덮개(24)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산물상자(1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5a)을 갖는 슬라이더(25)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20)을 승강시켜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내부의 산물이 외부로 낙하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25)는 덮개(24)의 양측면을 외측에서 감싸여 있고 로드(50a)의 출몰에 따라 이 덮개(24)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후단부에는 회동 전복된 산물상자(10)의 배면(14)을 떠받쳐서 경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판(25a)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20)의 덮개(24) 상단 인접부에는 이 재치테이블(20)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을 소정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 송컨베이어(7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24)의 선단 상부에는 회동 전복된 후 경사승강실린더(50)에 의해 경사 승강되는 산물상자(10)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이 완충되면서 이송컨베이어(70)로 낙하되도록 하는 완충기(8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기(80)는 덮개(24)의 선단부에 모터구동에 의해 축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축(81)과, 이 회전축(81)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브러쉬(82)로 된 것이 바람직하고, 그밖에 산물의 낙하를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갖는 조건으로 다양한 구조의 실시예가 강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승강실린더(30)와 회동전복실린더(40) 및 경사승강실린더(50)에는 각각 산물상자(10)의 수직승강높이와 회동각 및 경사승강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베이스(42) 상에는 이러한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에 따른 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발생기(90) 및 이 유압발생기(90)의 제어를 포함한 본 고안의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9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있는 재치테이블(20)의 승강판(22) 상에 산물이 채워져 있는 산물상자(10)를 지게차 등을 통해 재치시켜 놓고, 상기 승강판(22) 저면의 수직승강실린더(30)를 작동시켜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상부의 덮개(24)에 밀착되도록 산물상자(10)를 일정높이 상방으로 상승시킨다.
이렇게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를 덮개(24)에 밀폐시킨 상태에서 회동 전복실린더(40)를 작동시키면 로드(40a)가 신장되면서 재치테이블(20)의 회동축(26)이 회동가이더(60)의 회동경로(60a)를 따라 후방으로 회동 진행되도록 하여 재치테이블(20)를 후방으로 회동 전복시킨다.
이때, 산물상자(10)도 상단개구(12)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전복된 형상이 된다.
그러면, 계속해서 경사승강실린더(50)를 작동시켜 덮개(24)의 양측을 감싸고 있는 슬라이더(25)를 상승시키게 되면, 이 슬라이더(25)의 지지판(25a)에 그 배면(14)이 지지되어 있는 산물상자(10)도 동반 상승하는 동시에 그 상단개구(12)를 덮고있던 덮개(24)와 이탈되면서 상단개구(12)가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산물상자(10) 내의 산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의 이송컨베이어(70)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컨베이어(70)로 낙하되는 산물들은 산물상자의 상단개구쪽으로 회전하고 있는 완충기(80)의 브러쉬(82)에 걸려 한번 완충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70) 상에 낙하되므로 터지거나 깨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경사승강실린더(50)에 의해 경사 승강이 완료되고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완전히 덮개(24)로부터 분리되어 내부의 산물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역으로 승강되어 있던 산물상자(10)는 경사승강실린더(50)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되어 원상태로 복귀되고, 계속해서, 회동전복실린더(40)에 의해 전복되기 이전 상태로 복귀되며, 수직승강실린더(30)에 의해 승강판이 하강하여 산물상자(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지게차 등을 통해 이 산물상자(10)를 재치테이블(20)에서 인출하 고 새로운 산물상자(10)를 다시 재치테이블(20)의 승강판(22) 상에 재치시켜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는 산물상자 내의 산물을 선별작업라인으로 투입시 산물상자를 자동으로 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동력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산물의 손실 절감 및 상품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6)

  1. 테이블틀(21) 상에 산물상자(10)가 놓이는 승강판(22)이 설치되고 테이블틀(21)의 양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바(23)의 상단부에 덮개(24)가 구비된 재치테이블(20);
    상기 재치테이블(20)의 테이블틀(21)에 마련된 실린더지지대(31)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30a) 선단부가 승강판(22)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판(22)을 상·하로 수직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실린더(30);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에 로드(40a) 선단부가 연결되고 후단부가 지지베이스(42) 상에 고정되며, 재치테이블(2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는 회동전복실린더(40); 및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수직바(23)에 후단부가 고정되고 로드(50a) 선단부가 덮개(24)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산물상자(1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5a)을 갖는 슬라이더(25)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20)을 승강시켜 산물상자(10)의 상단개구(12)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내부의 산물이 외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경사승강실린더(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에 회동전복실린더(40)의 선단부와 연결되는 회동축(26)이 마련되고, 상기 재치테이블(20)의 양측면 인접부에 상기 회동축(26)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경로(60a)를 갖는 회동가이더(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으로 회동 전복된 재치테이블(20)의 덮개(24) 상단 인접부에 이 재치테이블(20)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을 소정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4)의 선단 상부에 회동 전복된 산물상자(10)로부터 낙하되는 산물이 완충되면서 이송컨베이어(70)로 낙하되도록 하는 완충기(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80)는 덮개(24)의 선단부에 축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축(81)과, 이 회전축(81)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브러쉬(8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승강실린더(30)와 회동전복실린더(40) 및 경사승강실린더(50)에는 각각 산물상자(10)의 수직승강높이와 회동각 및 경사승강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KR2020050030501U 2005-10-27 2005-10-27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KR200407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1U KR200407362Y1 (ko) 2005-10-27 2005-10-27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1U KR200407362Y1 (ko) 2005-10-27 2005-10-27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62Y1 true KR200407362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01U KR200407362Y1 (ko) 2005-10-27 2005-10-27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4617A (en) Dump box farm wagon
JP2000004861A (ja) ばら物質、特に刻みたばこが充填されているカ―トンを荷空け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1046526A (ja) 農業用コンテナ反転排出昇降装置
US3039631A (en) Fruit handling device
KR101728982B1 (ko) 정미기용 포대 승강장치
JP2007174921A (ja) 農作業機
KR20200113882A (ko) 야채 수납 박스 운반장치
KR200407362Y1 (ko) 산물상자 자동비움장치
CN207712998U (zh) 一种食品容器倾倒机构
GB2223733A (en) Device for tipping containers
CN107973136A (zh) 食品容器倾倒机构
CN212423667U (zh) 纸箱定位翻转装置
GB2254595A (en) Box emptying machine
CN210883564U (zh) 一种端部上翻门式集装箱自动卸料机
GB2246106A (en) Box filling machine
JPS5851692Y2 (ja) 馬鈴しよ収穫機
US2797831A (en) Material unloading device
JP3893320B2 (ja) 蓋付き容器および蓋開閉システム
KR200171828Y1 (ko) 과일박스 승강기용 덤핑장치
JPS6119152Y2 (ko)
JPH0312743Y2 (ko)
JP6442204B2 (ja) 茶葉摘採機およびコンテナ装置
KR200176535Y1 (ko) 과일박스 승강기용 덤핑장치
CN215247046U (zh) 一种具有防虫功能的粮食仓储罐
JPH03184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