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56Y1 -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 Google Patents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56Y1
KR200407356Y1 KR2020050030342U KR20050030342U KR200407356Y1 KR 200407356 Y1 KR200407356 Y1 KR 200407356Y1 KR 2020050030342 U KR2020050030342 U KR 2020050030342U KR 20050030342 U KR20050030342 U KR 20050030342U KR 200407356 Y1 KR200407356 Y1 KR 200407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rain
storage
refrigerator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박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진 filed Critical 박형진
Priority to KR202005003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국 사람의 주식인 쌀과 잡곡 등 곡류를 가정에서 실온 저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충, 곰팡이, 세균 및 산화 등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쌀과 잡곡의 질과 맛을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저장하기 위한 가정용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곡물 냉장고는 쌀 및 잡곡 저장실,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상태로 유지하는 자동제어시스템, 저장된 곡물의 잔량을 계측하며 1회 곡물 배출량을 조절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된 곡물의 변질을 억제하며 생물활성을 보존하기 위해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은 나노 기술 및 소재와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 기술 및 소재를 활용한다.
곡물 냉장고, 나노 은 입자, 원적외선 세라믹, 온도 및 습도 제어장치, 배출량 제어장치

Description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Grain Refrigerator with Improved Storage Life and Convenience}
도 1은 본 고안의 곡물냉장고의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곡물냉장고의 쌀 저장실을 나타내는 전면 종단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곡물냉장고의 잡곡 저장실을 나타내는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냉장고 외벽 11. 곡물 저장고 뚜껑
12. 제어판 21. 곡물 통
22. 전자저울 23. 곡물 배출장치
24. 스텝모터 25. 쌀 수납함
26. 곡물 수납 용기 31. 잡곡 저장실 상단 서랍
32. 잡곡 저장실 하단 서랍 33. 잡곡 저장실 서랍 외벽
40. 공조실 41. 냉각장치
42. 제습장치 43. 급습장치
44. 공기 송풍구 45. 공기 흡입구
50. 기계실 51. 콤프레서
52. 열 방출장치
본 고안은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적정상태로 유지되고, 1회 배출량이 조절되며,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곡물의 생물활성을 장시간 보존되도록 하는,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쌀을 비롯한 곡물은 한국인의 주식임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별도의 저장시설 없이 창고나 주방 등에 보관되어 왔다. 이러한 비 위생적인 저장으로 인하여, 곡물의 품질이 해충, 곰팡이 또는 세균 등에 의하여 크게 변질되어, 저장이 지속됨에 따라 밥맛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근간에 이르러 쌀의 질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저장조건이 밝혀졌는데, 최적의 저장조건은 온도 15oC, 습도 75%로 유지하여, 쌀의 함수율을 15%의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쌀의 냉장시설이 점차 증가하는 등 쌀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다 각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쌀 시장개방에 즈음하여 이에 대한 국가적 지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록 쌀을 냉장시설에 저장하여도 각 가정에서 쌀의 보관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최종 소비시점에서 쌀의 질은 만족스러울 수가 없게 된다. 그 이유는 냉장 보관된 쌀을 각 가정에서 통상적 방법으로 보관하는 경우, 결누 현상으로 인하여 오히려 쌀의 함수율이 높아져, 쌀이 함유하고 있는 각종 영양물질의 산화, 세균의 증식, 해충의 발생 등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도 냉장시설로부터 배송된 쌀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가정용 저장시설의 요구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되어, 가정에서 쌀을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냉장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11082호에는 쌀 및 잡곡을 각각 보관할 수 있는 쌀보관실과 잡곡보관실 및 이들로부터 쌀이나 잡곡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과 함께, 김치를 넣어 숙성 및 보관시킬 수 있는 김치보관실이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11077호에는 냉장고의 냉장실 벽면에서 냉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냉기발생수단 및 상기 냉기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냉기를 쌀통내로 전도시키는 상기 전도수단을 구비하여, 냉장실의 냉기를 쌀통으로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곡물냉장고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6-31933호에는 냉장고의 냉장실에 형성된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전도되어 자연대류가 되는 곡물저장실과 상기 냉장고에 형성된 도어에 형성되어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냉기에 의한 변질을 막도록 곡물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구비된 곡물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5-70642호에는 곡물 저장부의 중심에 증발기를 설치하고, 내부에 증발기를 수용하는 증발기 수용관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고내에 냉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한 곡물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개발된 곡물 냉장고는 저장실의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기능에는 큰 문제점이 없으나, 습도를 적정수준에서 제어하는 기능이 없거나 미흡하다. 또한, 쌀의 잔량을 알려주는 장치와 쌀의 1회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장치가 미흡하여, 가정에서 사용 시 편의성이 떨어져 있다.
따라서,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적정상태로 유지되고, 저장된 곡물의 잔량을 계측하du 1회 곡물 배출량이 조절되며,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곡물의 생물활성을 장시간 보존되도록 하는,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한편,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저장 중에도 생물체의 물성이 장시간 유지되게 하는 기술과 소재가 개발되어 있는 바, 이 기술과 소재를 쌀 저장용 냉장기기에 접목한다면, 쌀의 품질이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는 저장조건을 제공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고안자는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온도는 물론, 습도를 최적의 상 태로 유지하며,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저장고 내 잔량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한편 1회 배출량을 자동조절하고, 은 나노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 곡물의 세균증식을 억제하며, 원적외선 세라믹 기술을 이용하여 저장 곡물의 생물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종래의 가정용 곡물냉장고에 비하여 저장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음에 착안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가정용 곡물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곡물냉장고는 (i) 상단부에 구비된 뚜껑, 저면에 구비되어 쌀통 내의 쌀 잔량을 제어판에 표시하는 전자저울 및 하단부에 구비된 쌀 배출장치를 포함하고, 곡물 냉장고의 후반부에 위치하는 쌀 저장실; (ii) 전기 곡물 냉장고의 전반 상단부에 구비된 잡곡 저장실; (iii) 상기 두 저장실 사이에 구비된 온도 및 습도센서; (iv) 전기 잡곡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기 온도 및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하는 냉방장치, 제습장치 및 급습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실; (v) 전기 공조실의 일측방에 위치한 기계실; (vi) 전기 공조실과 기계실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쌀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쌀을 수납하는 쌀 수납함; 및, (vii) 전기 각 구성요소를 감싸는 단열재의 외벽으로 구성된다.
한편, 쌀 저장실의 쌀 배출장치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제어판을 통한 소비자의 지시에 따라 곡물의 1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반경과 길이를 지닌 원통에 나선형 날개가 부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스텝모터가 장착된 회전식 배출장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곡물 및 부식에 세균의 증식방지 및 생물활성의 장시간 유지를 위하여, 쌀 저장실의 내면과 잡곡 및 부식재료 보관용기의 내면을 나노 은 입자, 세라믹 또는 이들 모두로 코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정용 곡물냉장고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정용 곡물냉장고는 쌀 저장실과 잡곡 저장실이 구비된 냉장실, 공조실, 기계실 및 외벽으로 구성된다. 쌀 저장실 및 잡곡 저장실과 외벽 사이에 2cm의 간격을 두는 한편, 전기 두 저장실 사이에도 2cm의 간격을 두어 냉장실 내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여 각 저장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동일하게 한다. 전기 두 저장실 사이의 공간 내에 온도 및 습도 센서를 설치하여 냉장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판(도 1의 12)에 표시하는 한편, 센서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냉장고 하부에 구비된 공조실(도 3의 40)에 장착된 냉풍장치(도 3의 41 및 51), 제습장치(도 3의 42) 또는 급습장치(도 3의 43)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환풍기를 이용하여 냉장실과 공조실 사이에 연결된 공기통로를 경유하 여 공조실의 공기와 냉장실의 공기를 강제순환시킴으로써 냉장실 내의 온도와 습도가 최적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공조실의 냉기 송풍로 출구(도 3의 44)에 항균 효과가 높은 나노 은 입자를 처리한 항균 필터를 장착하여 냉장고 내의 세균오염을 방지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쌀 저장실의 구성을 설명한다. 쌀 저장실은 냉장고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상단부 위치한 경칩이 결합된 쌀 저장실의 뚜껑(도 1의 11), 쌀 저장실(21), 쌀 저장실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저울(22) 및 쌀 저장실 하단부의 쌀 배출장치(23)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저울은 냉장고의 저면에 위치하며, 고정 틀(미도시)을 이용하여 쌀 저장실에 부착함으로써 쌀 저장실의 무게를 상시 측정하여, 쌀 저장실 내의 쌀 잔량을 제어판에 표시하도록 한다. 스텝모터(도 1 및 도 2의 24)가 장착된 회전식 배출장치(도 1 및 도 2의 23)는 제어판을 통한 소비자의 지시에 따라 곡물의 1회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식 곡물 배출장치는 일정한 반경과 길이를 지닌 원통에 나선형 날개가 부착된 회전축을 삽입하고, 회전축을 스텝모터에 연결하며 스텝모터의 회전 수를 조절하여, 1회 곡물 배출량을 조절한다. 배출된 곡물은 잡곡 저장실 하부에 설치한 쌀 수납함(25) 속의 쌀 수납용기(26)에 수납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잡곡 저장실의 구성을 설명한다. 잡곡 저장실은 냉장고 전반부에 위치하며 2단으로 나뉘어(31과 32) 서랍식으로 구성된다. 상단 서랍(31)에는 3종의 잡곡을 보관할 수 있도록 3개의 보관용기가 구비되며, 하단 서랍(32)에는 2종의 부식재료를 보관할 수 있도록 2개의 보관용기가 구비된다. 각 서랍의 상부에는 2 cm의 간격을 두어 서랍 내의 공기와 냉장고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잡곡 저장실의 온도와 습도를 냉장고 내부와 동일하게 유지한다. 서랍의 외벽 부분(33)은 단열재로 처리하며 엇물리게 제작하여 냉기의 손실을 방지한다.
잡곡 저장실 하부를 다시 3부분으로 나누어, 좌우측에 공조실(40)과 기계실(50)을 각각 두며 중앙부에 쌀 수납함(25)을 둔다.
한편,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곡물 및 부식에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쌀 저장실(도 1 및 2의 21)의 내면과 잡곡 및 부식재료 보관용기(도 3의 31 및 32)의 내면을 나노 은 입자로 처리하며, 곡물 및 부식재료의 생물활성을 장시간 유지토록 하기 위해 쌀 저장실과 잡곡 저장실 서랍의 상면을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으로 처리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고안은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가정용 곡물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가정용 곡물냉장고는 곡물 냉장고의 온도 및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며, 저장고 내 곡물 잔량을 정확하게 계측하는 한편, 1회 배출량 조절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나노 은 입자를 이용하여 곡물의 세균증식을 억제함으로써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을 이용하여 곡물의 생물활성을 장시간 보존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된 곡물의 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i) 상단부에 구비된 뚜껑, 저면에 구비되어 쌀통 내의 쌀 잔량을 제어판에 표시하는 전자저울 및 하단부에 구비된 쌀 배출장치를 포함하고, 곡물 냉장고의 후반부에 위치하는 쌀 저장실;
    (ii) 전기 곡물 냉장고의 전반 상단부에 구비된 잡곡 저장실;
    (iii) 상기 두 저장실 사이에 구비된 온도 및 습도센서;
    (iv) 전기 잡곡 저장실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기 온도 및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연동되어 작동하는 냉방장치, 제습장치 및 급습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실;
    (v) 전기 공조실의 일측방에 위치한 기계실;
    (vi) 전기 공조실과 기계실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 쌀 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쌀을 수납하는 쌀 수납함; 및,
    (vii) 전기 각 구성요소를 감싸는 단열재의 외벽으로 구성된, 곡물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쌀 배출장치는 일정한 반경과 길이를 지닌 원통에 나선형 날개가 부착된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스텝모터가 구비된 회전식 배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쌀 저장실의 내면과 잡곡 및 부식재료 보관용기의 내면이 나노 은 입자, 세라믹 또는 이들 모두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KR2020050030342U 2005-10-26 2005-10-26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KR200407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42U KR200407356Y1 (ko) 2005-10-26 2005-10-26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42U KR200407356Y1 (ko) 2005-10-26 2005-10-26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56Y1 true KR200407356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342U KR200407356Y1 (ko) 2005-10-26 2005-10-26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05B1 (ko) * 2015-11-24 2016-06-28 황성환 쌀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505B1 (ko) * 2015-11-24 2016-06-28 황성환 쌀 냉장고
WO2017090923A1 (ko) * 2015-11-24 2017-06-01 황성환 쌀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549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ion and humidity inside a drawer movable within a refrigerator
US20050217282A1 (en) Produce preservation system
US20060130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food
US20100083687A1 (en) Refrigerator and frozen food preservation method
JP2001004260A (ja) 過冷却制御冷蔵庫
US9989300B1 (en) Modular refrigeration device
US10357043B2 (en) Dry aging portable device
JP7261063B2 (ja) 冷蔵庫
KR200407356Y1 (ko) 저장성과 편의성이 제고된 곡물 냉장고
JP2001091146A (ja) 冷凍冷蔵庫
JP2000346524A (ja) 貯蔵庫
JP4557830B2 (ja) 冷蔵庫
CN111023667A (zh) 一种具有杀菌和湿度调节功能的冰箱
JP2006112737A (ja) 冷蔵庫
JP2009145041A (ja) 過冷却制御冷蔵庫
KR101405503B1 (ko) 쌀통
CN116045575A (zh) 冰箱
KR100413367B1 (ko) 김치냉장고 겸용 쌀통 시스템
KR100302859B1 (ko) 김치냉장고
KR101775274B1 (ko) 절전형 저온저장고
CN211400459U (zh) 一种具有杀菌和湿度调节功能的冰箱
WO2014109153A1 (ja) 冷蔵庫
EP1860391A2 (en) Refrigerating applicance with sanitization device
JPH09203575A (ja) 冷蔵装置
JP4688698B2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