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19Y1 - 분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분뇨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19Y1
KR200407319Y1 KR2020050032269U KR20050032269U KR200407319Y1 KR 200407319 Y1 KR200407319 Y1 KR 200407319Y1 KR 2020050032269 U KR2020050032269 U KR 2020050032269U KR 20050032269 U KR20050032269 U KR 20050032269U KR 200407319 Y1 KR200407319 Y1 KR 200407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dehydrator
main body
dry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하
이은석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하 filed Critical 이연하
Priority to KR2020050032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뇨로부터 액체를 분리하고 신속하게 건조시켜 일정량씩 배출시켜줌으로써,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구성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며 분뇨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분뇨탈수기, 분뇨이송기, 분뇨건조기로 구성된 분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탈수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기본체와; 상기 탈수기본체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분뇨를 탈수하며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메쉬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벨트가 마련된 다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뇨건조기는, 상기 분뇨이송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고 상부에 제1구동모터가 장착된 건조기본체와;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부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건조기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주연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이송판로 구성되며, 상기 분뇨탈수기, 상기 분뇨이송기, 상기 분뇨건조기 중 적어도 일측과 온풍공급관으로 연결된 가열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뇨, 처리장치, 탈수기, 이송기, 건조기

Description

분뇨 처리장치{SOIL TREATMENT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분뇨탈수기 110 : 탈수기본체
111 : 배수구 130 : 컨베이어
131 : 제1컨베이어 132 : 제2컨베이어
133 : 제3컨베이어 140 : 스크린벨트
150 : 감속모터 152,153 : 구동풀리
162,163 : 종동풀리 200 : 분뇨이송기
210 : 이송관 220 : 이송모터
230 : 이송스크류 300 : 분뇨건조기
310 : 건조기본체 320 : 제1구동모터
330 : 회전축 340 : 이송판
350 : 통공 360 : 베어링
361 : 이음매 370 : 망체
400 : 분쇄 및 이송기 410 : 분쇄케이싱
420 : 제2구동모터 430 : 분쇄스크류
500 : 정량투출기 510 : 투출기본체
520 : 유입호퍼 530 : 배출관
540 : 확대부 550 : 개폐판
560 : 실린더 600 : 가열기
610 : 온풍공급관 620 : 블로워
700 : 분사기 B : 벨트
P : 유입구 Q : 배출구
R1 : 제1롤러축 R2 : 제2롤러축
R3 : 제3롤러축
본 고안은 분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뇨로부터 액체를 분리하고 신속하게 건조시켜 일정량씩 배출시켜줌으로써,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분이나 축산 분뇨는 양질의 퇴비나 액비를 만들어 경작하는 토양에 사용하면, 유기질 성분이 낮고 토양 산성화로 노후화되어 있는 우리나라 농경지의 지력을 높이고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다.
그러나, 분뇨를 처리하지 않고 축산폐수로서 그대로 배출하게 되면 생활하수보다 오염부하량이 높은 고농도 오염물질이므로 수질b오염원이 될 뿐만 아니라, 개별농가에서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게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시설이나 처리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어려움이 크다.
특히, BOD 기준으로 오염부하량을 비교해 볼 때, 생활하수는 ℓ당 200㎎인데 비해 축산폐수는 1~2만㎎(ppm)으로서, 생활하수보다 30~100배나 더 높다.
이렇듯, 환경오염에 대하여 점차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는 최근에는 분뇨를 최대한 퇴비화하여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자원화 시설을 갖추어 환경친화적인 축산업을 유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 예로서, 현재까지 축산 농가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인 톱밥 혼합 퇴비화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각 농가에서 분뇨의 혼합상태에서 저장 액비화 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악취제거가 어렵고,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분뇨의 퇴비화 과정에서 수분조절재로 쓰이는 톱밥 가격의 상승은 축산농가의 채산성에 걸림돌로 작용하여 가격과 품질 경쟁력 약화 등 효율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인분의 경우 고형 상태의 분뇨와 액체성분이 함유된 겔(gel) 상태로 비료용 분뇨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분뇨로부터 액체를 분리하고 건조 처리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뇨의 건조 처리장치는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분뇨의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 단순히 가열장치에 의한 건조에 의존하기 때문에 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시설 비용이 고가이어서 농가에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유기질 비료와 혼합이 용이하도록 분뇨를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분뇨 처리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뇨를 선별하여 액체를 별도로 배출시키고, 건조 처리 후 고르게 분쇄하여 일정량씩 투출되게 함으로써, 분뇨를 용이하게 포장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분뇨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뇨의 처리 과정에서 가열기로부터 온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분뇨건조기에서 분뇨를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고 이송되게 하여 고르게 건조시킴으로써, 분뇨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뇨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 비되며 분뇨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분뇨탈수기, 분뇨이송기, 분뇨건조기로 구성된 분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탈수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기본체와; 상기 탈수기본체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분뇨를 탈수하며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메쉬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벨트가 마련된 다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뇨건조기는, 상기 분뇨이송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고 상부에 제1구동모터가 장착된 건조기본체와;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부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건조기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주연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이송판로 구성되며, 상기 분뇨탈수기, 상기 분뇨이송기, 상기 분뇨건조기 중 적어도 일측과 온풍공급관으로 연결된 가열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되, 그 하부가 온풍공급관과 연통되어 상기 온풍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온풍이 상기 통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망체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뇨건조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며 일측에 상기 가열기의 온풍공급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분쇄케이싱과; 상기 분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분뇨를 분쇄하여 이송시키는 분쇄스크류로 구성된 분쇄 및 이송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 및 이송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호퍼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의 일측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된 투출기본체와; 상기 투출기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확대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분뇨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정량투출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뇨건조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호퍼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의 일측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된 투출기본체와; 상기 투출기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확대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분뇨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정량투출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는, 유입구(P)와 배출구(Q)가 각각 구비되며 분뇨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분뇨탈수기(100)와, 분뇨이송기(200)와, 분뇨건조기(300)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분뇨탈수기(100), 상기 분뇨이송기(200), 상기 분뇨건조기(300) 중 적어도 일측과 온풍공급관(610)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블로워(620)가 구비된 가열기(600)가 포함된다.
상기 분뇨탈수기(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구(111)가 형성된 탈수기본체(110)와, 상기 탈수기본체(110)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분뇨를 탈수하며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메쉬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벨트(140)가 마련된 다수개의 컨베이어(130)와, 상기 컨베이어(13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30)는 상기 탈수기본체(110)의 좌측 내부에 상, 하 2단으로 설치된 제1,2컨베이어(131,132)와, 상기 제1,2컨베이어(131,132)로부터 선별된 분뇨를 이송하도록 상기 탈수기본체(110) 우측 내부에 설치된 제3컨베이어(133)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벨트(140)는 메쉬공의 크기가 가장 넓은 것부터 적은 순서대로 상기 제1,2,3컨베이어(131,132,133)에 마련된다.
상기 컨베이어(130)는 분뇨의 상태 즉, 분뇨가 고형 상태가 아닌 액체가 함께 공존하는 겔(gel) 상태일수록 그 설치 수는 증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스크린벨트(140)는 메쉬공 크기가 극히 미세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컨베이어(1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벨트(140)를 통해 고형 상태의 분뇨를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별되고 액체는 메쉬공을 통해 상기 탈수 기본체(110)의 바닥에 자연스럽게 낙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수기본체(110)의 바닥은 액체가 상기 배수구(111)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컨베이어(131)의 제1롤러축(R1)에 구동축이 연결된 감속모터(150)와, 상기 감속모터(150)의 구동축에 구비된 한 쌍의 구동풀리(152,153)와, 상기 제2,3컨베이어(132,133)의 제2,3롤러축(R2,R3)에 각각 구비된 종동풀리(162,163)와, 상기 구동풀리(152,153)와 상기 종동풀리(162,163)를 각각 연결하는 벨트(170)로 이루어진 벨트전동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속모터(150)가 구동에 의해 상기 제1,2,3컨베어어(131,132,133)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동수단이 벨트전동기구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상기 벨트전동기구와 균등적으로 치환 가능한 체인전동기구 즉, 구동스프로킷, 종동스프로킷, 체인 등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분뇨이송기(200)는, 상기 분뇨탈수기(100)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는 이송관(210)과, 상기 이송관(210) 설치되고 이송모터(220)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2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기(600)로부터 블로워(620)에 의해 온풍이 공급되는 상기 온풍공급관(610)이 연결되어 분뇨를 이송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뇨건조기(300)는, 상기 분뇨이송기(200)로부터 분뇨가 유입되고 상부 에 제2구동모터(320)가 장착된 건조기본체(310)와, 상기 건조기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부가 상기 제1구동모터(320)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건조기본체(3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330)과, 상기 회전축(330)의 주연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이송판(3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30)은 다수의 통공(350)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되, 그 하부가 상기 온풍공급관(610)과 연통되어 상기 온풍공급관(610)을 통해 공급된 온풍이 상기 통공(350)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건조기본체(310) 내부의 분뇨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하면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고 건조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30)의 상, 하부는 상기 건조기본체(310)에 마련된 베어링(36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어링(360) 하부와 상기 온풍공급관(610)을 이음매(361)를 매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가열기(60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을 상기 회전축(33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공(350)으로 분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온풍의 배출 속도가 가속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30)의 내측에 미세한 메쉬공으로 이루어진 망체(35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분뇨건조기(300)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일정 크기로 분쇄할 수 있는 분쇄 및 이송기(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쇄 및 이송기(400)는 상기 분뇨건조기(300)로부터 분뇨가 유입구(P)를 통해 유입되며 일측에 상기 가열기(600)의 온풍공급관(610)이 연결된 분쇄케이 싱(410)과, 상기 분쇄케이싱(4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420)에 의해 구동되어 분뇨를 분쇄하여 배출구(Q)로 이송시키는 분쇄스크류(4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 및 이송기(400)로부터 공급되는 분뇨를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정량투출기(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량투출기(500)는, 상기 분쇄 및 이송기(400)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호퍼(5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530)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의 일측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확대부(520)가 형성된 투출기본체(510)와, 상기 투출기본체(51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530)을 개폐하는 개폐판(550)과, 상기 개폐판(550)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확대부(520)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55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56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 및 이송기(400)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상기 분뇨건조기(300)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일정량씩 투출할 수 있도록 상기 분뇨건조기(300)에 하부에 상기 정량투출기(5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뇨건조기(300)로부터 배출되는 분뇨가 상기 투출기본체(510)의 유입호퍼(520)에 공급되어 분뇨를 일정량씩 투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560)의 구동을 제어하여 분뇨를 일정량씩 투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정량투출기(500)의 내부에 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실린더(5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는, 분뇨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비되거나, 상기 개폐판(550)에 구비되어 분뇨의 적재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55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투출기본체(510)의 내벽에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정량투출기(500)에 의해 건조 및 분쇄된 분뇨를 일정량씩 포장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뇨탈수기(100)와 상기 분뇨건조기(300)에는 분뇨 처리 후 세척할 수 있도록 물분사기(7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분뇨를 별도의 고액분리기를 구비하여 고형 상태의 분뇨와 액체성분을 1차적으로 분리한 후, 상기 분뇨탈수기(100)에 액체가 소량 함유된 분뇨를 공급되게 함으로써 처리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의 작용을 분뇨 처리과정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고액분리기 등을 통해 액체성분이 1차적으로 걸러진 분뇨가 분뇨탈수기(100)의 유입구(P)를 통해 낙하되면, 제1컨베이어(131)의 스크린벨트(140)에 의해 고형 상태의 분뇨와 액체가 분리되고, 제2,3컨베이어(132,133)를 통해 재차 분리되어 액체는 상기 스크린벨트(140)의 메쉬공을 통과하여 배수구(111)로 배출되며, 고형 상 태의 분뇨는 제3컨베이어(133)를 통해 배출구(Q)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분뇨탈수기(100)로부터 배출된 분뇨는 분뇨이송기(200)를 통해 일정량씩 이송되어 분뇨건조기(300)로 투입된다.
상기 분뇨건조기(300)에 투입된 분뇨는 제1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판(340)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판(340)이 축상에 구비된 회전축(330)에는 다수개의 통공(350)이 형성되어 가열기(600)로부터 공급된 온풍이 상기 통공(350)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분뇨를 건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30)의 내부에는 미세한 메쉬공이 형성된 망체(370)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판(340)을 따라 이동되는 분뇨가 상기 통공(350)으로 유입되는 것것을 차단하게 되며, 미세한 메쉬공을 통과하는 온풍의 속도가 가속됨에 따라 건조기본체(310) 내부에 온풍을 고르게 공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뇨건조기(300)로부터 건조 처리된 분뇨는 분쇄 및 이송기(400)로 투입되고, 분쇄스크류(430)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구(Q)로 배출되어지며, 이를 별도의 포장지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뇨건조기(300)를 포함하여 상기 분뇨탈수기(100), 상기 분뇨이송기(400)에는 가열기(600)로부터 온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분뇨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분뇨를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 분쇄된 분뇨와 약품이나 왕겨, 볏짚, 톱밥 등을 혼합할 경우, 분쇄된 분뇨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해 별도의 정량투출기(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쇄 및 이송기(400)의 배출구(Q)로부터 배출되는 분뇨가 정량투출기(500)의 투출기본체(510)에 적재되고, 적재량이 일정값을 초과할 경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실린더(560)의 구동으로 배출관(530)이 개방됨으로써, 분뇨가 일정량씩 투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액체가 소량 함유된 분뇨를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탈수시킬 수 있고, 또한 건조 처리 후 고르게 분쇄하여 일정량씩 투출시켜줌으로써, 분뇨의 보관 및 다른 유기질 비료와의 혼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분뇨 처리장치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뇨로부터 액체를 선별하여 배출시킬 수 있으며, 건조 처리 후 고르게 분쇄되어 일정량씩 투출됨으로써, 분뇨의 포장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분뇨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가열기로부터 온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분뇨건조기에서 분뇨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회전축에서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고 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분뇨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단순화와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며 분뇨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분뇨탈수기, 분뇨이송기, 분뇨건조기로 구성된 분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뇨탈수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의 일측에 분뇨로부터 분리된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탈수기본체와; 상기 탈수기본체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분뇨를 탈수하며 순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메쉬공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벨트가 마련된 다수개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뇨건조기는,
    상기 분뇨이송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고 상부에 제1구동모터가 장착된 건조기본체와;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그 상부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건조기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주연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이송판로 구성되며,
    상기 분뇨탈수기, 상기 분뇨이송기, 상기 분뇨건조기 중 적어도 일측과 온풍공급관으로 연결된 가열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구비되되, 그 하부가 온 풍공급관과 연통되어 상기 온풍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온풍이 상기 통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망체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건조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며 일측에 상기 가열기의 온풍공급관이 연결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분쇄케이싱과;
    상기 분쇄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2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분뇨를 분쇄하여 이송시키는 분쇄스크류로 구성된 분쇄 및 이송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및 이송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호퍼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의 일측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된 투출기본체와;
    상기 투출기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확대부에 장착되어 상 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분뇨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정량투출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건조기로부터 분뇨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호퍼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관이 형성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부의 일측으로 공간이 확대되는 확대부가 형성된 투출기본체와;
    상기 투출기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확대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분뇨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정량투출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처리장치.
KR2020050032269U 2005-11-15 2005-11-15 분뇨 처리장치 KR200407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69U KR200407319Y1 (ko) 2005-11-15 2005-11-15 분뇨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69U KR200407319Y1 (ko) 2005-11-15 2005-11-15 분뇨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19Y1 true KR200407319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269U KR200407319Y1 (ko) 2005-11-15 2005-11-15 분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59B1 (ko) * 2009-01-23 2010-12-08 김정호 화장실의 분뇨처리 장치 및 분뇨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59B1 (ko) * 2009-01-23 2010-12-08 김정호 화장실의 분뇨처리 장치 및 분뇨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46165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및 사료 제조장치
KR101146230B1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US6110733A (en) Rotary composter
KR100409230B1 (ko) 음식물쓰레기 초고속 유동 건조 및 발효장치
KR200407319Y1 (ko) 분뇨 처리장치
KR200484850Y1 (ko) 소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9990014450A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101634977B1 (ko) 축분 연료화 시스템
JP200808691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JP2001232330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200393873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226987B1 (ko) 코코넛 필렛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시스템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WO2022140821A1 (en) Solid waste processing plant
KR1007227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20170046865A (ko) 토사류 선별기능을 갖는 건조물 배출용 스크류 컨베이어 장치
KR10038228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KR100704381B1 (ko) 축산분뇨 처리장치
KR100488171B1 (ko) 유기물 퇴비화시스템
KR102538607B1 (ko) 분쇄용볼을 이용한 스크류 건조기
KR20021976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