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057Y1 -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057Y1
KR200407057Y1 KR2020050030978U KR20050030978U KR200407057Y1 KR 200407057 Y1 KR200407057 Y1 KR 200407057Y1 KR 2020050030978 U KR2020050030978 U KR 2020050030978U KR 20050030978 U KR20050030978 U KR 20050030978U KR 200407057 Y1 KR200407057 Y1 KR 200407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diation
wall
room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2020050030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와 바닥이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 숯 등의 원적외선 방사부재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온돌파이프가 배관되고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로 이루어진 바닥과, 패널 틀 내부에 황토 30%, 맥반석 4%, 게르마늄 3%, 자수정 3%, 일반골재 40%, 석회석 20%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골재와 원적외선 방사 골재 총 중량비에 물 50%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 몰타르를 타설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기능성 패널부재로 형성된 외벽과, 안방, 거실, 작은방으로 구획하기 위해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로 형성된 내벽과, 안방 일측에 원적외선방사 몰타르로 벽체가 형성된 숙면실이 구비된 기능성 주택을 구성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주거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삼림욕 효과, 황토 찜질방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어 피로를 해소하고 깊은 숙면을 취히게 됨으로써 항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는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원적외선 방사, 수면침실, 황토, 원적외선 방사 자갈,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

Description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Housing having a bedroom radiating for infrared ray}
도 1은 본 고안의 주택에 숙면실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단위세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택 안방에 숙면실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발취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택 안방에 설치되는 숙면실 벽체에 발열체가 매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발취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숙면실 외측벽에 시트형태의 발열체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숙면실 내측벽에 시트형태의 발열체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외벽에 사용되는 패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사용되는 패널부재의 평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사용되는 패널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주택 11:바닥
12a:내벽 12b:외벽
13:온돌파이프 14, 14'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
15:원적외선 방사 골재 16:숙면실
16':벽체 17,18:발열체
19:안방
본 고안은 벽체와 바닥이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 숯 등의 원적외선 방사부재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사람이 생활하는 단독주택, 아파트, 호텔, 오피스텔 등의 주택을 건축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 숯 등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부재만으로 벽체와 바닥을 시공함으로써, 실내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적외선과 접촉함으로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안방에 별도의 숙면실을 형성하여 취침시 깊은 숙면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은 통상의 철근 콘크리트로 벽체와 바닥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에서 독성을 갖는 유해가스가 분출되어 신축건물에서는 눈이 따갑고 콘크리트 냄새가 발생되는 동시에 심한 경우 호흡기 질환과 아토피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으며, 장기간 사용한 아파트일 경우에도 새 아파트와 같이 대량의 유해가스는 분출되지 않으나 건강에 유익한 것은 전무 한 상태이므로 별도의 건강매트, 건강침대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편적인 대책에 불과한 것으로써, 새집증후군 또는 콘크리트 주택 증후군 등의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능성 주택은 벽체를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근 콘크리트로 성형한 후 그 외면에 황토를 도포하여 원적외선이 방출되도록 한 기능성 주택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주택은 단독주택이나 하중을 받지 않는 팬션, 별장 등 단층건물에 한정되는 것으로 아파트, 빌딩과 같이 고층건물에 다수의 세대가 거주하는 건축물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이 생활하는 단독주택, 아파트, 호텔, 오피스텔 등의 주택을 건축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 숯 등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부재만으로 벽체와 바닥을 시공함으로써, 실내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적외선과 접촉함으로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노화를 방지하고 면역성 강화로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안방에 별도의 숙면실을 형성하여 취침시 깊은 숙면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로 이루어진 내벽과 바닥을 형성하고,
안방 일측에는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 타르로된 벽체를 갖는 숙면실을 형성하여 주거생활을 하면서 황토방, 찜질방, 삼림욕 등의 효과를 자연스럽게 접촉하도록 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대 층간에 슬라브가 형성되고 슬라브 상면에 완충재와 온돌파이프 및 몰타르로 이루어진 바닥과 룸을 구성하기 위해 구획된 벽으로 이루어진 주택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온돌파이프(13)가 배관되고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로 이루어진 바닥(11)과;
패널 틀(21) 내부에 황토 30%, 맥반석 4%, 게르마늄 3%, 자수정 3%, 일반골재 40%, 석회석 20%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골재(15)와 원적외선 방사 골재 총 중량비에 물 50%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 몰타르(14)를 타설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기능성 패널부재(20)로 형성된 외벽(12b)과;
안방(19), 거실, 작은방으로 구획하기 위해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형성된 내벽(12a)과;
안방(19) 일측에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벽체(16')가 형성된 숙면실(16)이 구비된 기능성 주택(10)을 구성한다.
상기 숙면실 벽체(16')에는 발열체(17)가 설치되어 숙면실(16)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숙면실(16) 벽에 설치되는 발열체는 벽체 내부에 판상의 발열체(17)가 매립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숙면실(16) 벽에 설치되는 발열체는 벽체일면에 시트형태의 발열체(18)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기능성 주택(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바닥(11)과 내벽(12a)을 형성하는 원적외선 몰타르14'는 숯 5∼10중량%, 황토 60∼80중량%, 옥 5∼10중량%, 맥반석 5∼10중량%, 자수정 5∼10중량%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조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단독주택, 아파트, 호텔, 오피스텔 등의 주택을 건축시 하중을 받는 기둥과 주력벽은 H빔 형강, I 형강 빔 및 철근 등으로 통상의 건축시공방법과 동일하게 건축된다.
상기 건축시 H빔 형강 또는 I 형강 빔을 세운후 외주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면에는 황토 25중량%, 맥반석 5중량%, 게르마늄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 토르마린 3중량%, 석회석 35중량%, 일반골재 22중량%을 혼합한 혼합물 총중량비에 물 5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기능성 레미콘을 타설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축시 콘크리트는 사용되지 않고 황토 25중량%, 맥반석 5중량%, 게르마늄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 토르마린 3중량%, 석회석 35중량%, 일반골재 22중량%을 혼합한 기능성 레미콘만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독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구력과 하중의 강도 및 인장강도는 기존의 콘크리트와 동일하게 하였 다.
또한,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주력벽과 외벽은, 금속형강(22)과 금속형강(22)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킨 후 양면에 금속망(23)을 용착시켜 패널 틀(21)을 형성하고, 패널 틀(21) 내부에 황토 30%, 맥반석 4%, 게르마늄 3%, 자수정 3%, 일반골재 40%, 석회석 20%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골재(15)와 원적외선 방사 골재 총 중량비에 물 50%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 몰타르(14)를 타설하여 형성된 기능성 패널부재(20)을 조립하여 설치함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에 적합한 하중력과 지지력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기둥과 외벽 주력벽이 완성되면 단위 세대별로 거실, 안방, 작은 방 등을 구획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바닥과 내벽은 숯 5∼10중량%, 황토 60∼80중량%, 옥 5∼10중량%, 맥반석 5∼10중량%, 자수정 5∼10중량%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조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바닥의 난방은 기존의 동관 또는 엑셀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통상의 난방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안방의 일측에는 별도의 숙면실(16)을 형성하되 숙면실(16)을 이루는 벽체(16')는 황토 60중량%, 숯 10중량%, 옥 10중량%, 맥반석 10중량%, 자수정 10중량%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형성한다.
또한, 숙면실(16)의 벽체(16')는 최적의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해 발열체(17)를 설치하여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숙면실 벽체(16')에 설치되는 발열체는 벽체 내부에 판상 또는 관형태 의 발열체(17)가 매립설치되도록 하고 이의 일측에는 전기적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열체와 온도조절기의 전기적인 구성은 통상의 전기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숙면실 벽에 설치되는 발열체는 벽체에 매립하지 않고 숙면실(16) 벽체(16')의 내측 또는 외측에 시트형태의 발열체(18)를 설치하여 벽체(16')를 가열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택에 숙면실을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단위세대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주택 안방에 숙면실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발취 구성도로서, 주택 내부를 통상적으로 구획되는 안방, 거실, 작은방, 욕실 등으로 구획하되 안방(19)의 일측에는 별도의 숙면실(16)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숙면실(16)의 벽체(16')는 황토 60중량%, 숯 10중량%, 옥 10중량%, 맥반석 10중량%, 자수정 10중량%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를 사용함으로써, 취침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피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적외선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적외선 중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보다 파장이 길어 열 작용이 큰 전자파의 일종으로, 파장이 짧은 것은 근 적외선이라 한다.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共振) 및 공명(共鳴) 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또 빛은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으면 반사가 잘 되고, 파장이 길면 물체에 도달했을 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침투력이 강해서 사람의 몸도 이 적외선을 쐬면 따뜻해진다. 예를 들어 30℃의 물속에서는 따뜻한 기운을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같은 온도의 햇볕을 쐬고 앉아 있으면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햇볕 속에 포함되어 있는 원적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 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 밖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숙면,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어 주택 및 건축자재, 주방기구, 섬유·의류·침구류, 의료기구, 찜질방 등의 여러 분야에 쓰이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숙면실(16)에서 취침하면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피로를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과 도 2는 주택의 구조와 숙면실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벽체에 설치되는 발열체 등은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며, 숙면실(16)은 편의상 안방(19)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다른 방이나 거실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숙면실(16)은 필요에 따라서 이동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주택 안방에 설치되는 숙면실 벽체에 발열체가 매립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발취 단면도로서, 숙면실(16) 바닥(11)과 벽체(16')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바닥은 황토, 숯,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조성된 방사 몰타르(14')를 사용하여 안방의 바닥높이보다 높게 하여 취침시 침대에 누워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벽체(16') 역시 황토, 숯,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조성된 방사 몰타르(14')를 사용하되 숙면실 벽체 내부에는 발열체(17)를 매립 설치하여 외부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적외선은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원적외선 방출 양이 대량으로 방출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숙면실 내. 외측벽에 시트형태의 발열체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로서, 숙면실 벽체에 설치되는 발열체를 벽속에 매립하지 않고 발열체(18)의 형태를 시트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숙면실 벽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에 설치하여 벽체를 가열함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외벽에 사용되는 패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양측에는 금속형강(22)의 빔을 사용하고 전 후면에는 금속망(23)을 용착시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이의 공간부에 황토 30%, 맥반석 4%, 게르마늄 3%, 자수정 3%, 일반골재 40%, 석회석 20%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골재(15)를 형성하여 원적외선 방사 골재 총 중량비에 물 50%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 몰타르(14)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패널부재(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패널부재는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크기는 제조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설계도에 의해 패널부재 크기를 제작하게 된다.
도 6a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사용되는 패널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 고안의 주택건축시 사용되는 패널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패널부재(20)를 형성하기 위해 패널틀(21)을 형성한 후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 타설하여 도5 및 도6a와 같이 패널부재(20)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기능성주택을 건축하기 위해 별도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기능성 패널부재(20)를 형성하여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아 저하될 수 있는 지지력과 각각의 응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건축물 자체의 벽과 바닥을 원적외선 방사 레미콘과, 원적외선 방사 패널부재(20),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14')를 사용함으로서 주택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거주자의 신체와 접촉되므로 마치 찜질방, 맥반석 불가마, 황토방과 같은 작용을 갖는 주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주택을 원적외선 방사 레미콘과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 및 원적외선 패널부재를 사용하여 주택을 건축함으로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주거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삼림욕 효과, 황토 찜질방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어 피로를 해소하고 깊은 숙면을 취하게 됨으로써 항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세대 층간에 슬라브가 형성되고 슬라브 상면에 완충재와 온돌파이프 및 몰타르로 이루어진 바닥과 룸을 구성하기 위해 구획된 벽으로 이루어진 주택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온돌파이프(13)가 배관되고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로 이루어진 바닥(11)과;
    패널 틀(21) 내부에 황토 30%, 맥반석 4%, 게르마늄 3%, 자수정 3%, 일반골재 40%, 석회석 20%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골재(15)와 원적외선 방사 골재 총 중량비에 물 50%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 몰타르(14)를 타설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기능성 패널부재(20)로 형성된 외벽(12b)과;
    안방(19), 거실, 작은방으로 구획하기 위해 숯, 황토, 옥, 맥반석, 자수정으로 혼합된 원적외선 방사 몰타르(14)로 형성된 내벽(12a)과;
    안방(19) 일측에 원적외선방사 몰타르(14')로 벽체(16')가 형성된 숙면실(1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숙면실 벽체(16')에는 발열체(17)가 설치되어 숙면실(16)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3. 제1항에 있어서,
    숙면실(16) 벽에 설치되는 발열체는 벽체 내부와 외부 중 어느 일면에 시트형태의 발열체(18)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KR2020050030978U 2005-11-01 2005-11-01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KR200407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78U KR200407057Y1 (ko) 2005-11-01 2005-11-01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978U KR200407057Y1 (ko) 2005-11-01 2005-11-01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043A Division KR100656548B1 (ko) 2005-10-10 2005-10-10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057Y1 true KR200407057Y1 (ko) 2006-01-24

Family

ID=4929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978U KR200407057Y1 (ko) 2005-11-01 2005-11-01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0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101275103B1 (ko) 프리캐스트 황토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7057Y1 (ko)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KR100656548B1 (ko) 원적외선 숙면침실을 갖는 기능성 주택
KR101043794B1 (ko)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1415959B1 (ko)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200371419Y1 (ko) 자파를 이용한 온열찜질방 구조물
KR200183698Y1 (ko) 토굴형태의 황토찜질방 구조물
JP2006034746A (ja) 岩盤浴用床又は岩盤浴用ブロック及びそれらを組み込んだ浴槽、又は足浴用浴槽、又はカプセル、又はユニットバス、又はユニットハウス
JP2004194923A (ja) サウナ用ベ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ベッド式サウナ
KR20100006746U (ko) 이동식 황토구들형 찜질용 보료
JP3132918U (ja) ボックス型岩盤浴室
KR20060014075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으로 방사하는 대나무 찜질방구조
KR20070096176A (ko) 황토매트 제조방법과 그 매트
KR20110127875A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구조
KR101089042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KR20140115580A (ko) 조립식 친환경 복합단열 벽체구조물
KR102067288B1 (ko) 수로홈을 형성한 난방패널
WO2006118336A1 (ja) 健康補助装置
KR102582337B1 (ko) 원적외선 방사용 찜질 유닛
JP3109332U (ja) 移動可能な温浴建物
KR200311410Y1 (ko) 황색점토와 흑색 갯벌과 탈 간수 천일염 및 강화약쑥 등을 배합 숙성하여 만든 아치형 찜질 돔
KR100628278B1 (ko) 찜질을 이용하는 건축물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