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98Y1 -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 Google Patents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98Y1
KR200406698Y1 KR2020050031122U KR20050031122U KR200406698Y1 KR 200406698 Y1 KR200406698 Y1 KR 200406698Y1 KR 2020050031122 U KR2020050031122 U KR 2020050031122U KR 20050031122 U KR20050031122 U KR 20050031122U KR 200406698 Y1 KR200406698 Y1 KR 200406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ooth
elastic
suppor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석진
Original Assignee
곽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석진 filed Critical 곽석진
Priority to KR2020050031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아 지지편의 일측에 연결고리와, 탄성편과, 지렛대 받침을 설치하여 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탄성편 하단에 보강편을 설치하여 고형재로 봉합토록 함으로서 적절한 탄성력을 의치에 제공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에 관한 것으로,
치아 지지편과, 상기 1개조의 치아 지지편 사이를 잇몸주변을 통해 연결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연결편과, 상기 치아 지지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일측이 결합되며 잇몸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탄성편과, 상기 연결고리 아래 치아 지지편으로부터 일정길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편이 맞닿으면서 탄발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지렛대 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테치먼트를 구성하는 탄성편 하부의 잇몸에 위치되며 핑크색 합성수지에 의해 어테치먼트와 결합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과 탄성편을 결합하는 핑크색 합성수지 상부에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인공치아를 하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편이 상하 유동하여 인공치아가 탄발되도록 구성되는 국부의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악, 하악, 탄성, 국부의치

Description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A Elasticity False Teeth Established an Upper Jaw and a Lawer Jaw}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태치먼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국부의치부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을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지지용 치아 100: 어태치먼트
110: 치아지지편 120: 연결편
130: 연결고리 140: 탄성편
150: 지렛대 받침 200: 보강편
210: 보강편 홀 300: 국부의치부
310: 합성수지제 320: 인공치아
본 고안은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 지지편의 일측에 연결고리와, 탄성편과, 지렛대 받침을 설치하여 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탄성편 하단에 보강편을 설치하여 고형재로 봉합토록 함으로서 적절한 탄성력을 의치에 제공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은 상악(上顎) 16개, 하악(上顎) 16개로 총 32개의 치아를 가지며, 유아시기에 생성된 유치가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성장치로 교체된후 평생동안 성장치를 이용하여 구강활동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성장치는 각종 구강질병(충치나 잇몸병 등)으로 인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강질병은 음식물의 저작운동을 원할하지 않게 하여 소화에 장애를 초래하고 더 나아가서는 바름에 장애를 주는 등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에 따라 손상된 치아를 복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보철 및 국부의치를 적용하여 저작기능 및 정상적인 발음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참고로, 이때 어태치먼트가 사용되는데, 상기 어태치먼트는 보철물이 구강내에서 고정과 안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기계적인 유지장치로 maile과 femaile로 구성되어 있고 구조가 섬세하고 정밀하며 보철물의 유지, 연결조인트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국부의치에 사용된 어태치먼터는, 지대치에 설치된 보철의치 에 힌지열결파트를 직접 연결하여 국부의치와 힌지 연결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국부의치를 보철의치로부터 탈거할 때 어려움이 있고, 특히 보철의치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므로 보철의치가 약해질수 밖에 없다.
또한, 음식물의 저작운동시 보철의치의 저작력이 약하여 음식물 저작에 차이가 있어 저작운동력이 약하다는 불만을 갖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지지용 치아가 존재할 경우에 상기 지지용 치아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바, 상악의 경우 구개부를 모두 덮는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환자에게 시술시 매우 불편하였으며, 잦은 교정이 필요하고 역시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저작 완충작용을 할 수 없어 환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국부의치는 기성치아와 같은 저작완충범위(0.2 - 0.4mm)를 갖는 탄성력이 없어 저작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악을 시술시 구개부를 모두 덮는 시술을 하여 환자이용에 매우 불편하고 잦은 교정에 따른 시간 및 경제적 낭비가 심하여 환자로부터 환영받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지지용 치아에 탄성력을 갖는 보강제를 더 부가하여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의치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저작운동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악 또는 하악 치아중에서 선택된 치아의 양사이드에 위치하는 지지용 치아에 각각 지지되어 고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1개조의 치아 지지편과, 상기 1개조의 치아 지지편 사이를 잇몸주변을 통해 연결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연결편과, 상기 치아 지지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일측이 결합되며 잇몸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탄성편과, 상기 연결고리 아래 치아 지지편으로부터 일정길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편이 맞닿으면서 탄발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지렛대 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테치먼트를 구성하는 탄성편 하부의 잇몸에 위치되며 용접에 의해 어테치먼트와 결합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과 탄성편의 결합면에 합성수지가 도포되고 합성수지 상부에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인공치아를 하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편이 상하 유동하여 인공치아가 탄발되도록 하는 국부의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강편에는 합성수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와 탄성편과 지렛대 받침은 치아의 양사이드중 선택된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기술내용인 의치는 가철성 의치로서, 여러개의 치아의 상실상황에 따라 작용되는 가철성(뺏다꼈다 하는) 의치이며, 상실치아수, 상실부위, 잔존치아 및 치아의 상실부위의 상황에 따라 의치의 모양, 크기 등이 다르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뼈와 주위조직, 남아있는 치아에서 의치의 유지와 지지를 얻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인공치아는 보통 치아색 나는 합성수지이며, 인공치아를 고정시키며 의치를 입안에서 유지, 지지시키는 의치상은 잇몸색인 핑크색 합성수지로 만들게 됩니다
즉, 의치상은 가철성 의치에서 인공치를 고정하며 직접 구강조직에 접촉하여 안정된 위치를 제공하는 의치의 부분으로서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그 재료로는 여러가지가 사용되나 현재 아크릴릭 레진이 많이 사용되어진다.
참고로,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의치상 제작방법은 활성화 방법에 따라 열중합형(heat cured), 화학중합형(cold cured, self cured, autopolymerized), 광중합형(light cured)이 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태치먼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국부의치부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을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인공치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어태치먼트(100)와, 어태치먼트(100)와 결합되는 보강편(200)과, 상기 보강편(200)과 어태치먼트(100) 일부 구성요소를 결합하고 상부에 인공치아(320)를 결합한 국부의치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태치먼트(100)는 인공치아(32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1개조의 치아지지편(110)과, 연결편(120)과, 연결고리(130)와, 탄성편(140)과, 지랫대 받침(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아지지편(110)은 상악 또는 하악 치아중에서 양사이드에 위치하는 지지용 치아(10)에 각각 지지되어 고정되는 갈고리 형상으로 지지용 치아(10) 또는 지지를 위한 치아가 약할경우 보철을 한 보철의치에 지지되는 구조이며, 상기 갈고리 형상을 이용하여 지지용 치아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치아지지편(110)은 3차원 형상으로 지지용 치아를 감싸면서 결합되어 치아지지편(110)이 지지용 치아(1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편(120)은, 기성치아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치아지지편(110)을 연결하는 패널형상으로서 잇몸을 따라 비교적 폭을 가늘게 형성하여 잇몸을 감싸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편은 종래에는 구개부 전체를 덮도록 설계하였는바,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식의 맛을 제대로 느낄수 없도록 하는 불편함이 있어 본 고안에서는 연결편의 폭을 비교적 가늘게 형성하여 구개부의 일부인 잇몸부위를 덮도록 함으로서 설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음식의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악의 경우 관례적으로 구개부 전체를 덮는 구조를 선호 하였으나, 심리적으로 상악의 경우 상부치아에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탈락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 때문이며, 실제로는 폭이 비교적 가는 패널 형상으로 제작하여도 치아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으며, 치아지지편을 보다 확실하게 제작하면 지지용 치아로부터 어태치먼트가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치아지지편(110)의 외측 끝단에 연결고리(13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연결고리(130)에는 탄성편(140)을 장착하고, 상기 탄성편(140)의 하부에는 지렛대 받침(150)을 연장 설치하였다.
상기 연결고리(130)는 탄성편(14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탄성편(140)은 직사각형 라인 형태로서, 일측이 상기 연결고리(130)에 삽입되고, 지렛대 받침(150)에 의해서 탄발되어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자동으로 상부 방향으로 탄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연결고리(130)와 탄성편(140)은 용접 결합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는바, 따라서 연결고리(130)에 탄성편(140)을 끼운 상태에서 결합면을 용접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연결고리(130)와 탄성편(140)을 용접하더라도 지렛대 받침(150)에 의해서 탄발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용접을 한 것과 안한것 모두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고리(130)와 탄성편(140)을 용접하여 보다 강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장시간 이용하더라도 제품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측에 연결고리와 탄성편 및 지렛대 받침을 예시하고 있으나, 치아의 양사이드에 모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 양측에 연결고리와 탄성편 및 지렛대 받침을 설치하게 되면 저작과정에서 적절한 탄성력을 양측에 제공하기 때문에 일측이 들뜨거나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양사이드에 모두 설치하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잇몸의 상부에는 보강편(200)이 위치하고, 상기 보강편(200)은 탄성편(140)과 접촉된후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보강편(200)은 국부의치부(300)를 보다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철재류가 사용되며, 국부의치부(300)는 상기 보강편(200)과 더불어 아크릴릭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320) 상부에 결합되는 인공치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보강편(200)에는 보강편홀(2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보강편홀(210)은 보강편과 합성수지(32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홀(210)을 통해 수 지액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서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보강편(200)과 탄성편(140)을 아크릴릭 레진으로 결합하게 되면 보강편(200) 상부에 설치된 인공치아(320)가 탄성력을 갖고 움직이게 되는바, 이는 지지용 치아(10)와 인공치아(320) 사이가 완전히 분리되고, 인공치아(320) 하부에 탄성편(140)이 위치하여 씹는 동작에 의해 인공치아(320)가 하부로 압박되면 탄성편(140)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자동으로 탄발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편(140)은 치아지지편(110) 하부에 연장 설치되는 지렛대 받침(150)에 의해서 탄발되며, 결국 연결고리(140)를 중심으로 국부의치부(300)가 힌지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국부의치부(300) 상부에 위치하는 인공치아(320)가 어태치먼트(100)의 연결고리(130)를 중심으로 힌지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탄발력에 의해 인공치아(320)가 움직이게 되면 어태치먼트(100)를 구성하는 연결고리를 기준으로 힌지운동을 하게 되어 인공치아(320)의 기성치아의 잇몸 운동범위(약 0.2 - 0.4mm)와 균형을 갖게 되어 국부의치부(300)의 저작운동기능이 기성치아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되어 국부의치부(300)의 사용에 장애요인이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어태치먼트와 탄성편 및 국부의치부로 이루어지는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일정한 탄발작용이 이루어짐으로서 기성치아의 잇몸운동범위와 동일한 저작 압력 분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구개부 전체를 덮는 작업을 채택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여 시술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상악 또는 하악 치아중에서 선택된 치아의 양사이드에 위치하는 지지용 치아에 각각 지지되어 고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1개조의 치아 지지편과, 상기 1개조의 치아 지지편 사이를 잇몸주변을 통해 연결하는 반원형 패널 형상의 연결편과, 상기 치아 지지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일측이 결합되며 잇몸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탄성편과, 상기 연결고리 아래 치아 지지편으로부터 일정길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편이 맞닿으면서 탄발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지렛대 받침으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어테치먼트를 구성하는 탄성편 하부의 잇몸에 위치되며 용접에 의해 어테치먼트와 결합되는 보강편과;
    상기 보강편과 탄성편의 결합면에 합성수지가 도포되고 합성수지 상부에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인공치아를 하부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편이 상하 유동하여 인공치아가 탄발되도록 하는 국부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에는 합성수지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수개의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와 탄성편과 지렛대 받침은 치아의 양사이드중 선택된 일측 또는 양측 모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KR2020050031122U 2005-11-03 2005-11-03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KR200406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22U KR200406698Y1 (ko) 2005-11-03 2005-11-03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22U KR200406698Y1 (ko) 2005-11-03 2005-11-03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43A Division KR100676390B1 (ko) 2005-11-02 2005-11-02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98Y1 true KR200406698Y1 (ko) 2006-01-24

Family

ID=4929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22U KR200406698Y1 (ko) 2005-11-03 2005-11-03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82Y1 (ko) 2013-03-14 2014-05-20 김남규 이물질 끼임 방지구조의 국부의치
KR20200133433A (ko) * 2019-05-20 2020-11-30 김종진 상악 틀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82Y1 (ko) 2013-03-14 2014-05-20 김남규 이물질 끼임 방지구조의 국부의치
KR20200133433A (ko) * 2019-05-20 2020-11-30 김종진 상악 틀니
KR102216931B1 (ko) * 2019-05-20 2021-02-17 김종진 상악 틀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4374B1 (en) Fixed, splinted and removable prosthesis attachment
Makkar et al. Attachment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linical Report.
US9044296B2 (en) Dental bridge
KR101311250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EP1765211A2 (en) Dental appliance for weight management
JP2008212586A (ja) 歯科補綴物維持装置
US5501598A (en) Dental tooth system
Rechden Lobato Palmeiro et al. Maxillary rehabilitation using a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ttachments in a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a clinical report
KR200406698Y1 (ko)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KR100676390B1 (ko)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CA2265339C (en) Improved intracoronally supported pontic
US20080318186A1 (en) Dental device, such as a bridge or insert
JP2010187934A (ja) 歯牙固定具
Saneja et al. Semiprecision attachment: a connecting link between the removable and fixed prosthesis
KR100974081B1 (ko) 착탈식 치아 교정기구
Simha et al.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kennedy’s class I and class II using an extended precision attachment: A case report
JP2004016632A (ja) 歯列矯正装置
US4412824A (en) Removable parti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forming and supporting the same
KR100920892B1 (ko) 치아교합기
Aljudy Treatment of Distal Extension Edentulous Arches with Attachment Retained Cobalt Chromium Partial Dentures-A Case Report
CN215192463U (zh) 一种可局部拆卸的义齿
KR20100006770U (ko) 일회용교합기
US20070281282A1 (en) Adjustable System For Bonded Composite Dentistry
Chugh et al. Palateless Complete Denture: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o Preventiv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