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33A - 상악 틀니 - Google Patents
상악 틀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3433A KR20200133433A KR1020190058583A KR20190058583A KR20200133433A KR 20200133433 A KR20200133433 A KR 20200133433A KR 1020190058583 A KR1020190058583 A KR 1020190058583A KR 20190058583 A KR20190058583 A KR 20190058583A KR 20200133433 A KR20200133433 A KR 202001334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ure
- gum
- maxillary
- present
- upper j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상태에서 세척이 용이하고 무게감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감이나 미감 등의 감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악 틀니는, 위턱에 위치하는 상악 틀니로, 위턱의 잇몸에 얹혀지는 틀니 잇몸부; 상기 틀니 잇몸부 위에 구비되는 틀니 치아부; 상기 틀니 잇몸부에 구비되며 입천장에 지지되는 틀니 지지부; 및 상기 틀니 잇몸부를 위턱에 고정하는 틀니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틀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는, "의치"라고도 하며, 손상된 기능, 외관, 그리고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해 다수의 치아 및 관련 구강조직 결손 시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틀니는 이의 유무에 따라 완전 틀니와 부분 틀니로 구분할 수 있다. 완전 틀니는 이가 하나도 남지 않은 경우에 잇몸(턱뼈) 위에 얹혀지는 형태이고, 부분 틀니는 치아의 부분적인 결손이 있는 경우에 금속 같은 것으로 여러 군데의 치아 결손 부위를 연결시켜서 남아 있는 치아에 끼워지거나 이가 없는 부위의 잇몸 위에 얹어지는 형태이다.
또한, 틀니는 위치에 따라 상악 틀니와 하악 틀니로 구분할 수 있다. 상악 틀니는 위턱에 위치되는 것이고, 하악 틀니는 아래턱에 위치되는 것이다. 하악 틀니는 그 위치상 움직이는 혀가 주변에 있어 입 안에 고정하기가 어려운 반면, 상악 틀니는 그 위치상 입천장에 지지되는 지지 구조물을 가질 수 있어 입 안에 고정하기가 용이하며 저작 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의 상악 틀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에 얹혀지는 틀니 잇몸부(11)와, 틀니 잇몸부 위에 구비되는 틀니 치아부(12)와, 틀니 잇몸부에 구비되며 입천장에 지지되는 넓적한 형상의 지지 구조물(13)을 포함한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잇몸부(11)는 좌측 틀니 잇몸부(11L)와 우측 틀니 잇몸부(11R)를 포함하고, 좌측 틀니 잇몸부(11L)와 우측 틀니 잇몸부(11R)는 지지 구조물(1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하지만, 기존의 상악 틀니는, 입천장에 지지되는 넓적한 형상의 지지 구조물(13)로 인해, 지지 구조물(13)과 입천장 사이에 입 냄새의 원인인 음식물이 쉽게 끼는 문제가 있고, 지지 구조물(13)의 무게로 인해 턱 관절이 약한 노인의 경우 저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지지 구조물(13)로 인해 혀가 입천장이 닿지 않아 식감이나 미감 등의 감각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기존의 상악 틀니는, 좌측 틀니 잇몸부(11L)와 우측 틀니 잇몸부(11R)가 지지 구조물(13)을 통해 연결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좌측 잇몸(또는 우측 잇몸)이 붓거나 아프더라도 좌측 틀니 잇몸부(11L)와 우측 틀니 잇몸부(11R)가 함께 착용되어야 하는 구조여서, 저작 시 우측 틀니 잇몸부(11R)에 가해지는 충격이 지지 구조물(13)을 통해 좌측 틀니 잇몸부(11L)에 가해지어 사용자의 아픈 좌측 잇몸에 지속적인 충격이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궁극적으로, 기존의 상악 틀니는, 어느 한 측의 잇몸이 붓거나 아플 경우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착용 상태에서 세척이 용이하고 무게감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식감이나 미감 등의 감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악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풍치 등 잇몸 질환 시에 좌, 우를 구분하여 착용할 수 있고, 즉 좌측 잇몸과 우측 잇몸 중 어느 한 측의 잇몸이 아프더라도 좌, 우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악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는, 위턱에 위치하는 상악 틀니로, 위턱의 잇몸에 얹혀지기 위한 틀니 잇몸부; 상기 틀니 잇몸부 위에 구비되는 틀니 치아부; 상기 틀니 잇몸부에 구비되며 입천장에 지지되는 틀니 지지부; 및 상기 틀니 잇몸부를 위턱에 고정하는 틀니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틀니 치아부는, 하나 이상의 틀니 치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상기 틀니 치아의 끝단면인 저작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악 틀니는, 상기 위턱 중 좌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좌측용 상악 틀니 및 우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우측용 상악 틀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틀니 치아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틀니 치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및 제2 개구일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 중 가장 작은 개구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틀니 치아의 각 저작면 중 가장 넓은 저작면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틀니 지지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틀니 잇몸부와, 틀니 치아부와, 틀니 지지부와, 그리고 틀니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입 헹굼물(입을 헹굴 때 쓰는 물)이 본 발명의 상악 틀니와 사용자의 위턱(잇몸과 입천장 포함) 사이를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상악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상악 틀니를 살짝 드는 것으로 그 사이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구가 본 발명의 상악 틀니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턱 관절이 약한 노인 등의 경우에도 상악 틀니의 무게의 부담감 없이 원활하게 저작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의 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어 사용자의 식감이나 미감 등의 감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의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개구의 가장자리에 음식물이 끼지 않아 음식물 끼임에 대한 불편함이나 냄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개구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뾰족하게 각질 경우 각진 부위에 음식물이 잘 끼게 되어 이질감이나 냄새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틀니 치아부는 하나 이상의 틀니 치아를 포함하고, 개구는 틀니 치아의 끝단면인 저작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입 헹굼물이나 혀가 입천장에 닿는 면적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개구의 면적이 커서 음식물이 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악 틀니는 위턱 중 좌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좌측용 상악 틀니 및 우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우측용 상악 틀니 중 어느 하나인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좌측 잇몸이 아플 경우에는 우측용 상악 틀니만을 착용한 상태로 저작을 할 수 있고, 우측 잇몸이 아플 경우에는 좌측용 상악 틀니만을 착용한 상태로 저작할 수 있어, 저작 시 발생되는 충격이 아픈 잇몸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원활하고 유쾌한 식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틀니 치아부는 일렬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틀니 치아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제1 및 제2 개구이고, 제1 및 제2 개구 중 가장 작은 개구는 제1, 제2 및 제3 틀니 치아의 각 저작면 중 가장 넓은 저작면 보다 넓게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세 개의 틀니 치아를 통해 저작면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넓은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입 헹굼물의 유동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틀니 지지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개구가 형성되더라도 틀니 지지부의 강도를 충분히 줄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악 틀니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것으로, 도 2의 상악 틀니와 사용자의 위턱 사이로 입 헹굼물이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우측용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상악 틀니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것으로, 도 2의 상악 틀니와 사용자의 위턱 사이로 입 헹굼물이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우측용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상악 틀니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것으로 도 2의 상악 틀니와 사용자의 위턱 사이로 입 헹굼물이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우측용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턱에 위치하는 상악 틀니로, 틀니 잇몸부(110)와, 틀니 치아부(120)와, 틀니 지지부(130)와, 그리고 틀니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틀니 잇몸부(110)는, 위턱의 잇몸에 얹혀지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틀니 잇몸부(110)는, 레진(resin)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틀니 잇몸부(110)는, 다른 사람이 볼 때 틀니인지 모르게 사용자의 잇몸의 색깔과 유사한 색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틀니 치아부(120)는, 자작시 실질적으로 음식물을 씹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틀니 치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잇몸부(110) 위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틀니 치아부(120)는, 레진 등의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틀니 치아부(120)는, 다른 사람이 볼 때 틀니인지 모르게 사용자의 치아의 색깔과 유사한 색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틀니 치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잇몸부(110)에 일렬로 배치되는 세 개의 틀니 치아(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틀니 치아부(1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틀니 치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네 개 이상의 틀니 치아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틀니 지지부(130)는,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를 입천장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틀니 지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잇몸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틀니 지지부(130)는, 레진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틀니 지지부(13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의 입천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어, 저작 시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후술할 개구(131)가 틀니 지지부(130)에 형성되더라도 틀니 지지부(130)의 강도를 충분히 줄 수 있다.
틀니 고정부(140)는,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를 위턱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틀니 고정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 등에 걸리도록 틀니 잇몸부(110)의 일 측에 고리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틀니 고정부는,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고정할 치아가 없는 경우 틀니 잇몸부의 내면(즉, 윗몸을 향하는 면)을 사용자의 윗몸에 직접 체결하는 구조(예를 들어, 똑딱이 단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틀니 지지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틀니 지지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의 입천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넓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틀니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입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천장과 유사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틀니 지지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개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개구(131)를 통해 입 헹굼물(입을 헹굴 때 쓰는 물)이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와 사용자의 위턱(잇몸과 입천장 포함) 사이를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상악 틀니(100)를 살짝 드는 것(예를 들어, 상악 틀니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 헹굼시 혀로 고정된 상락 틀니를 살짝 움직여 입천장에 약간의 틈을 만드는 것) 그 사이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도 3 참조), 각각의 개구(131)가 본 발명의 상악 틀니(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턱 관절이 약한 노인 등의 경우에도 상악 틀니(100)의 무게의 부담감 없이 원활하게 저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구(131)를 통해 사용자의 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어 사용자의 식감이나 미감 등의 감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개구(131)의 가장자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구(131)의 가장자리에 음식물이 끼지 않아 음식물 끼임에 대한 불편함이나 냄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개구의 가장자리의 일부가 뾰족하게 각질 경우 각진 부위에 음식물이 잘 끼게 되어 이질감이나 냄새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개구(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치아(121)의 끝단면인 저작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개구(131) 중 가장 작은 개구는, 세 개의 틀니 치아(121)의 각 저작면 중 가장 넓은 저작면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 헹굼물이나 혀가 입천장에 닿는 면적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개구(131)의 면적이 커서 음식물이 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100)는, 위턱 중 좌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좌측용 상악 틀니(도 2 참조) 및 우측 잇몸 부분에 착용되는 우측용 상악 틀니(도 4 참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잇몸이 아플 경우에는 우측용 상악 틀니(도 4의 100R)만을 착용한 상태로 저작을 할 수 있고, 우측 잇몸이 아플 경우에는 좌측용 상악 틀니(도 2의 100L)만을 착용한 상태로 저작할 수 있어, 저작 시 발생되는 충격이 아픈 잇몸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원활하고 유쾌한 식사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2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악 틀니(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 지지부(23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틀니 지지부(230)는 커다란 하나의 개구(231)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개구(231)의 가장자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커다란 개구(231)로 인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해 지지력이 떨어질 수는 있으나, 하나의 천공만 가하면 되므로 제조 단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상악 틀니
100L: 좌측용 상악 틀니
100R: 우측용 상악 틀니 110: 틀니 잇몸부
120: 틀니 치아부 121: 틀니 치아
130, 230: 틀니 지지부 131,231: 개구
140: 틀니 고정부
100R: 우측용 상악 틀니 110: 틀니 잇몸부
120: 틀니 치아부 121: 틀니 치아
130, 230: 틀니 지지부 131,231: 개구
140: 틀니 고정부
Claims (3)
- 위턱에 위치하는 상악 틀니로,
위턱의 잇몸에 얹혀지기 위한 틀니 잇몸부;
상기 틀니 잇몸부 위에 구비되는 틀니 치아부;
상기 틀니 잇몸부에 구비되며 입천장에 지지되는 틀니 지지부; 및
상기 틀니 잇몸부를 위턱에 고정하는 틀니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악 틀니. - 제1항에서,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상악 틀니. - 제1항에서,
상기 틀니 치아부는,
하나 이상의 틀니 치아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틀니 치아의 끝단면인 저작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는
상악 틀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583A KR102216931B1 (ko) | 2019-05-20 | 2019-05-20 | 상악 틀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583A KR102216931B1 (ko) | 2019-05-20 | 2019-05-20 | 상악 틀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3433A true KR20200133433A (ko) | 2020-11-30 |
KR102216931B1 KR102216931B1 (ko) | 2021-02-17 |
Family
ID=7364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8583A KR102216931B1 (ko) | 2019-05-20 | 2019-05-20 | 상악 틀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69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8190A (ko) * | 2022-06-04 | 2023-12-12 | 김부원 | 부분 틀니 고정구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698Y1 (ko) * | 2005-11-03 | 2006-01-24 | 곽석진 |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
US20060228673A1 (en) * | 2005-04-11 | 2006-10-12 | Jerry Fenc | Denture |
KR100676390B1 (ko) * | 2005-11-02 | 2007-02-01 | 곽석진 |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
KR101730059B1 (ko) * | 2016-11-18 | 2017-04-25 | 오정범 | 브릿지형 의치 |
JP2019507635A (ja) * | 2016-02-25 | 2019-03-22 |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 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を含有する義歯 |
-
2019
- 2019-05-20 KR KR1020190058583A patent/KR1022169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28673A1 (en) * | 2005-04-11 | 2006-10-12 | Jerry Fenc | Denture |
KR100676390B1 (ko) * | 2005-11-02 | 2007-02-01 | 곽석진 |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
KR200406698Y1 (ko) * | 2005-11-03 | 2006-01-24 | 곽석진 | 상악 또는 하악에 설치되는 탄성 국부의치 |
JP2019507635A (ja) * | 2016-02-25 | 2019-03-22 |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ユーエスエー, エルエルシー | 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熱可塑性義歯フレームを含有する義歯 |
KR101730059B1 (ko) * | 2016-11-18 | 2017-04-25 | 오정범 | 브릿지형 의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8190A (ko) * | 2022-06-04 | 2023-12-12 | 김부원 | 부분 틀니 고정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16931B1 (ko) | 2021-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issmann et al. | Physiologic design criteria for fixed dental restorations | |
US6345406B1 (en) | Oral healthcare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disposable heads | |
US3478429A (en) | Standardized orthodontic tooth-positioning and retaining device | |
US4738259A (en) | Dental appliance for weight control | |
JPH0510944B2 (ko) | ||
JP2006514844A (ja) | 適切な歯列を維持するためのおしゃぶり、システム及び方法 | |
Shaw | Prosthetic management of hypohydrotic ectodermal dysplasia with anodontia. Case report | |
US20040074035A1 (en) | Flexible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12083038B2 (en) | Dental appliance | |
KR102216931B1 (ko) | 상악 틀니 | |
JP2004049915A (ja) | 嵌入式組合せ固定のブリッジ装置 | |
US20070072142A1 (en) | Apparatus for dislodging an intraoral device | |
JPWO2020033532A5 (ko) | ||
JP2010187934A (ja) | 歯牙固定具 | |
JP2006326017A (ja) | 口腔内清掃治療用開口器 | |
Shetty et al. | Rehabilitation of long-span Kennedy class IV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a custom attachment-retained prosthesis | |
USD487314S1 (en) | Set of posterior teeth | |
ATE224169T1 (de) | Zahnsatz | |
Howard et al. | Standards of pontic design | |
Chambrone et al. | Gingival recessions caused by lip piercing: case report | |
Sakamuri et al. | An unusual mandibular second molar mimicking maxillary first molar–a Rare occurrence | |
KR200373807Y1 (ko) | 치아 교정기 | |
CN217886247U (zh) | 一种牙龈诱导成型器 | |
KR102238462B1 (ko) |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 |
Singh et al. | Desigining Crown Contour in Fixed Prosthodontics: A Neglected Are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