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321Y1 - 고무성형프레스 - Google Patents

고무성형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321Y1
KR200406321Y1 KR2020050031371U KR20050031371U KR200406321Y1 KR 200406321 Y1 KR200406321 Y1 KR 200406321Y1 KR 2020050031371 U KR2020050031371 U KR 2020050031371U KR 20050031371 U KR20050031371 U KR 20050031371U KR 200406321 Y1 KR200406321 Y1 KR 200406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plate
guide
upper rotating
rea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20050031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7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금형이 부착되는 상회전판을 안내하는 전후이동 가이드의 상승,하강 동작에 따라서, 일반적인 고무성형프레스장치와 같이 고무성형시의 상회전판의 개폐되는 작동과, 무거운 상금형의 교체작업이 수월하도록 상회전판이 프레스장치로부터 탈락되는 두가지 작동 모드를 갖는 고무성형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며 하금형이 장착되는 하열판과, 상기 하열판과 후단부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금형이 장착되는 상회전판과, 상기 상회전판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상열판과, 상기 하열판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에 구비된 롤러가 안내되어 상회전판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따라 전진하는 상기 상회전판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를 갖는 고무성형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승하강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하강되게 하여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승강 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 롤러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어 상회전판이 개폐되고,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하강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 롤러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를 벗어나 상회전판이 자중으로 상기 하열판 위의 하금형에 얹어진 상태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무성형프레스{press for rubber forming}
도 1 은 본 고안의 고무성형프레스에서 상회전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고무성형 프레스에서 상회전판이 하강하여 하금형 위에 얹어져 전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 는 상회전판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 는 상회전판의 하강 전후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후이동 액츄에이터 13 - 하금형
14 - 하열판 15 - 상금형
16 - 상회전판 18 - 상열판
22 - 힌지 32a,32b - 롤러
42 - 전후이동 가이드 44 - 개폐가이드
52 - 승하강 액츄에이터
본 고안은 고무성형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금형이 부착되는 상회전판을 안내하는 전후이동 가이드의 상승,하강 동작에 따라 고무성형시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고무성형프레스장치와 마찬가지로 상회전판이 개폐되는 동작을 하기도 하고 무거운 상금형의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상회전판이 프레스장치로부터 탈락되게 작동되어지는 동작이 자동화된 고무성형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용 또는 수도용 패킹, 키보드 패드 등 고무성형 제품이나 실리콘 사출성형 제품이 사용되는 곳은 다양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대량생산화를 이루기 위해 자동 성형 프레스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 성형 프레스는 그 성형 타입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인젝션 몰딩 방식, 직압식, 열판 계폐식, 자동 인출방식, 이젝터 방식, 2단 성형식 등으로 다양하다.
키패드 등의 고무나 실리콘 제품 성형시에 주로 사용되는 진공성형 프레스는 상금형측이 개폐되고 성형완료된 하금형측이 전후 이동되는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하열판에 부착된 하금형이 작업자 앞으로 전진하여 하금형측에서 성형제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프레스에 장착되는 상금형과 하금형을 별도 작동시키지 않고 하금형의 전후 이동만으로 상금형이 연계적으로 개폐 작동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열판 개폐구조를 갖도록 한 고안으로서, 상금형을 신속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회전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 기술내용이 국내 실용등록 제 295047호, 국내 실용등록 제336717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선등록 실용신안에서는 상회전판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회전판을 고정하는 반원형 가이드를 프레스 상부몸체로부터 나사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어, 상회전판을 탈거한 상태로 상금형을 부착한 후 프레스 상부몸체에 상회전판을 결합하거나, 상회전판이 개방된 수직 상태에서 상금형을 교체하는 등의 방법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상회전판을 탈거했다가 금형 결합후 다시 부착하거나, 상금형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회전판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중량이 큰 금형의 교체작업에 수고와 불편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무거운 금형의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상금형과 결합되는 상회전판을 프레스 본체로부터 분리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이러한 일련의 분리 결합 작동을 자동화한 고무성형 프레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후이동 액츄에이터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며 상부면에 하금형이 장착되는 하열판과, 상기 하열판과 후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하부면에 상금형이 장착되는 상회전판과, 상기 상회전판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상열판과, 상기 하열판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에 구비된 롤러가 안내되어 상회전판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따라 전진하는 상기 상회전판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를 갖는 고무성형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승하강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승강 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 롤러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어 상회전판이 개폐되고,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하강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 롤러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를 따라 안내되지 않고 상회전판이 상기 하열판 위의 하금형에 얹혀진 상태에서 전진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 프레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를 하강시킨 후 전진시키면 상금형 위에 상회전판이 겹치게 되므로 상기 상회전판에 상하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금형의 상부면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금형 위에 상기 상회전판을 겹치게 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판의 양측 롤러는 외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가이드턱은 상기 양측롤러에 대향하여 내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의 가이드턱은 2단계 이상의 높이 단차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회전판의 전진 및 후퇴시에 상기 상열판과의 마찰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고무성형프레스에서 상회전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고무성형 프레스에서 상회전판이 하강하여 하금형 위에 얹어져 전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 는 상회전판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 는 상회전판의 하강 전후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고무성형 프레스는, 도 1, 도 2, 도 3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후이동 액츄에이터(12)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며 상부면에 하금형(13)이 장착되는 하열판(14)과, 상기 하열판(14)과 후단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힌지(22)결합되며 하부면에 상금형(15)이 장착되는 상회전판(16)과, 상기 상회전판(16)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상열판(18)과, 상기 하열판(14)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롤러(32a,32b)가 안내되어 상회전판(16) 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따라 전진하는 상기 상회전판(16)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44)를 갖는 기술개념은 상술한 선행기술 국내 실용등록 제 295047호, 실용등록 제336717호의 설명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의 특징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승하강 액츄에이터(52)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52)의 승강 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4)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따라 연속 안내되어 상회전판(16)이 개폐되고,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의 하강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2)의 안내 범위를 벗어나 상금형(15)이 장착된 상회전판(18)이 상기 하열판(14) 위의 하금형(13) 상부에 포개어진 상태로 전진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는 프레스 상부몸체(2)에 고정된 승하강 액츄에이터(52)의 상하 작동력을 전달하는 작동축(53)이 연결되게 하는 등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다른 전기적 구동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는 외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4)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 각각의 가이드턱(44a,42b)은 상기 양측롤러(32a,32b)에 대향하여 내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국내 실용등록 제 295047호, 실용등록 제 336717호와 같이 별도의 외향 롤러와 내향 롤러를 구비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의 가이드턱(42a)은 2단계 이상의 높이 단차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회전판(16)의 전진 및 후퇴시에 상기 상회전판(16)과 상열판(18)의 접면 부분의 마찰 간섭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성형 공정을 위한 작동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판(16)이 전진하면서 개방되는 과정과, 상기 상회전판(16)이 후진하면서 폐쇄되는 과정은 서로 역순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며,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츄에이터(12) 작동에 따라 상기 하열판(14)이 전진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회전판(16)이 전진하면서 상회전판(16)은 도 3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부가 들어올려져 수직으로 개방되며, 이때 상회전판(16)에 부착된 양측 롤러(32a,32b)는 반원형의 좌/우측 개폐 가이드(44)의 가이드턱(44a)에 지지되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상회전판(16)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금형(15)과 하금형(13) 사이에서 성형된 고무제품을 취출하게 된다.
이어서, 도 3b 와 같이 하열판(14)을 후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상회전판(16)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회전판(16)에 부착된 양측 롤러(32a,32b)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44)로부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의 가이드턱으로 옮겨 안내되는 상태로 진행되어 도 3c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회전판(16)이 수평상태가 되어 상 열판(18)에 밀착되어진다.
이어서,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열판(18)의 열이 상회전판(16)으로 전도되면 베이스(6) 상부의 하측 실린더(54)가 상승하여 하열판(14)을 상승시켜 하금형(13)을 상금형(15)에 밀착시키게 되며, 이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 부분에 포함되지 아니한 바 하열판/하금형 측이 상승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회전판/상금형측이 하강하는 경우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후 이어지는 과정으로서, 금형측에 챔버(3)가 하강하여 진공을 조성하는 과정과 금형 내부로의 고무용융액 주입 성형 과정에 대하여는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성형프레스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며 이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챔버(3) 하강시에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해 실린더 등 별도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개폐 가이드(44)가 양측방향으로 넓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고안의 청구항 권리범위에 무관한 사항이므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작동의 특징은 상금형 교체를 위한 다음의 설명에 의하여 알 수 있다.
금형교체를 위해 스위치 판넬을 조작하면, 앞서 설명한 도 3d 의 상태에서 도 3c 의 역순으로 작동된 후, 도 4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츄에이터(52)를 작동시켜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하강하게 하면 상회전판(16)과 상금형(15)이 하열판(14) 상부의 하금형(13)에 포개어 얹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2)가 전진하면 하열판과 상회전판이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회전판(16) 상부에 관통된 볼트를 풀어 상회전판으로부터 상금형을 탈거되게 한 후, 전후이동 가이드(42)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앞서 설명한 도 3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회전판(16)을 개방하여 하금형 상부에 포개어진 상금형을 취출할 수 있고, 이어서 다른 상금형을 상회전판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하금형 상부에 상금형을 포개어 놓은 후 개방된 상회전판을 후퇴시켜 하강시킨 후 도 4a 내지 도 4b 와 같이 상회전판을 전진시키면 상회전판(16) 하부에 상금형이 적층되므로 도 4b 와 같이 상회전판에 다수 형성된 상하 관통공들을 통해 상금형(15)과 상회전판(16)을 볼트(B)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의 고무 성형 공정에서는 상회전판의 상금형과 함께 개방되는 종래의 동작을 그래도 취하면서도, 상금형의 교체를 위한 작동시에는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가 하강하여 상회전판의 전진하게 됨으로써 상금형 위에 상회전판이 겹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상회전판에 형성된 상하 관통된 관통공들을 통해 상금형의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금형 교체를 위해 여러 인원 또는 장비를 동원할 필요없이 수월한 상금형 교체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후이동 액츄에이터(12) 작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며 상부면에 하금형(13)이 장착되는 하열판(14)과, 상기 하열판(14)과 후단부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힌지(22) 결합되며 하부면에 상금형(15)이 장착되는 상회전판(16)과, 상기 상회전판(16)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상열판(18)과, 상기 하열판(14)의 전후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롤러(32a,32b)가 안내되어 상회전판(16)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따라 전진하는 상기 상회전판(16)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좌/우측 개폐 가이드(44)를 갖는 일반적인 고무 성형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액츄에이터(52)를 구비하여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52)의 승강 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4)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를 따라 연속 안내되어 상회전판(16)이 개폐되고,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의 하강상태에서는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가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2)의 안내 범위를 벗어나 상금형(15)이 장착된 상회전판(18)이 상기 하열판(14) 위의 하금형(13) 상부에 포개어진 상태로 전,후진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 프레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판(16)의 양측 롤러(32a,32b)는 외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개폐 가이드(44)와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 각각의 가이드턱(44a,42b)은 상기 양측롤러(32a,32b)에 대향하여 내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 프레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전후이동 가이드(42)의 가이드턱(42a)은 상기 상회전판(16)과 상기 상열판(18) 간의 밀착 및 이격시에 상호(16,18) 간의 마찰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2단계 이상의 높이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 프레스.
  4.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회전판(16)에는 상금형에 볼트(B)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성형 프레스.
KR2020050031371U 2005-11-04 2005-11-04 고무성형프레스 KR200406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71U KR200406321Y1 (ko) 2005-11-04 2005-11-04 고무성형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71U KR200406321Y1 (ko) 2005-11-04 2005-11-04 고무성형프레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22A Division KR20070048433A (ko) 2005-11-04 2005-11-04 고무성형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321Y1 true KR200406321Y1 (ko) 2006-01-20

Family

ID=417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71U KR200406321Y1 (ko) 2005-11-04 2005-11-04 고무성형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09A (ko) 2017-02-08 2018-08-17 맹근호 성형프레스의 금형교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209A (ko) 2017-02-08 2018-08-17 맹근호 성형프레스의 금형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1011B1 (en) Hydraulic tire press
CN201389938Y (zh) 一种双层、双工位抽真空平板硫化机
KR20070048433A (ko) 고무성형프레스
US2331015A (en) Molding press
CN208215993U (zh) 一种新型双缸式独立夹模橡胶热压机及其机组
KR200406321Y1 (ko) 고무성형프레스
EP0497700B1 (en) Rotary molding machine
JP4124072B2 (ja) 圧縮成形機
US2692407A (en) Molding press with tilting press plate
CN101811184B (zh) 一种可调的多层开模机构
KR100232337B1 (ko) 타이어 가황기
US2431048A (en) Mold press
JP4191316B2 (ja) タイヤ加硫設備
JPS63212519A (ja) プラスチック製品、特に熱可塑性、熱硬化性およびポリウレタン高分子製品を成形するための成形機およびその方法
US4390334A (en) Hydraulic tire press
CN105235263A (zh) 一种上翻下移液压冲压式合模机
CN114102992A (zh) 一种立式锁模机构
CN213257061U (zh) 一种产品铸造用开模机
KR200295047Y1 (ko) 프레스의 열판 개폐장치
CN210248646U (zh) 一种真空吸塑的鞋面热压成型设备
KR200188831Y1 (ko) 프레스의 열판 개폐 장치
CN218999383U (zh) 威化壳底模及出料装置
KR101691167B1 (ko) 사출성형프레스의 다층금형개폐장치
JP2002307578A (ja) 紙蓋のプレス成形装置
CN216992822U (zh) 一种立式锁模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