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260Y1 -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 Google Patents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260Y1
KR200406260Y1 KR2020050030518U KR20050030518U KR200406260Y1 KR 200406260 Y1 KR200406260 Y1 KR 200406260Y1 KR 2020050030518 U KR2020050030518 U KR 2020050030518U KR 20050030518 U KR20050030518 U KR 20050030518U KR 200406260 Y1 KR200406260 Y1 KR 200406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surface
predetermined
ches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2020050030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specially adapted to be assembled by adhesive or c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종이를 자르고 접고 붙여서 로봇과 같은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모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부 내측면에 소정의 제1 접착면이 형성된 다리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는 양측으로 펼쳐진 소정의 제2 접착면이 형성되는 팔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외면에 상기 다리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3 접착면이 형성된 복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하면에 상기 팔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4 접착면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 끼운 상태로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5 접착면이 형성된 흉부; 및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하단 펼침면에 소정의 제6 접착면이 형성되는 두부; 로 이루어짐으로서, 다수개의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각 지체를 간편하게 조립 부착하여 입체적인 종이 모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Fold-up paper three-dimensional model}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요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다른 요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다리부 120: 제1 접착면
200: 팔부 220: 제2 접착면
300: 복부 320: 제3 접착면
400: 흉부 420: 제4 접착면
440: 제5 접착면 500: 두부
520: 제6 접착면
본 고안은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각 지체를 형성한 후 이를 조립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종이 모형은 평면상에 다양한 캐릭터를 도안한 형태로 제공되거나, 평면상의 각 부분을 조립 또는 부착하여 정형화된 형태로 제공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즉,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금속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모형의 경우 입체적인 형상화와 아울러 각 지체에 대한 결합과 부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반면에, 종이 재질을 이용하여 형상화된 종이 모형의 경우 입체적인 형상과 이들을 이용한 조립 및 부착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종이 모형의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의 각 지체를 조립 또는 부착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사용이나 흥미에 대하여 매우 한정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다수개의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각 지체를 형성한 후 이를 조립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입체화된 종이 모형의 가슴, 몸통, 팔, 다리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종이 입체 모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종이를 자르고 접고 붙여서 사람이나 로봇 등과 같은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모형에 있어서,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부 내측면에 소정의 제1 접착면이 형성된 다리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는 양측으로 펼쳐진 소정의 제2 접착면이 형성되는 팔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외면에 상기 다리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3 접착면이 형성된 복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하면에 상기 팔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4 접착면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 끼운 상태로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5 접착면이 형성된 흉부; 및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하단 펼침면에 소정의 제6 접착면이 형성되는 두부;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리부, 팔부, 복부, 흉부 및 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를 접어서 결합 및 부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팔부의 제2 접착면은 중앙이 절첩되어 절첩된 일면은 흉부의 제4 접착면의 외측에 부착되고 절첩된 타면은 흉부의 제4 접착면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접착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 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요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을 도시한 다른 요부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다수개의 종이를 접어서 형성되는 다리부(100), 팔부(200), 복부(300), 흉부(400) 및 두부(500)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다리부(100)는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첩 및 각 부분 요소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리부(100)의 상부 내측면에는 상기 복부(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3 접착면(320)과 대응되는 소정의 제1 접착면(120)이 형성된다.
상기 팔부(200)는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첩 및 각 부분 요소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팔부(200)의 상단은 양측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흉부(400)의 양측 외면에 형성되는 제4 접착면(420)과 대응되는 소정의 제2 접착면(2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접착면(220)의 펼쳐진 일측은 흉부(400)의 제2 접착(420)과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접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부(200)의 제2 접착면(220)은 중앙이 절첩되어 절첩된 일면은 흉부(400)의 제4 접착면(420)의 외측에 부착되고 절첩된 타면은 흉부(400)의 제4 접착면(4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접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부(300)는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첩 및 각 부분 요소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복부(300)의 양측 외면에 상기 다리부(100)의 제1 접착면(120)이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3 접착면(3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체적으로 형성된 다리부(100)와 복부(300)가 상호 접착되도록 제1, 3 접착면(120, 220)이 형성됨으로서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간편한 접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흉부(400)는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첩 및 각 부분 요소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흉부(40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두부(500)의 제6 접착면(520)이 부착되도록 펼쳐지면서, 그 양측에는 상기 팔부(200)의 제2 접착면(220)과 대응되는 제4 접착면(42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4 접착면(420)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펼쳐진 제2 접착면(220) 중 어느 하나가 접착되면서 상기 제4 접착면(420)의 내측으로 제2 접착면(220)의 다른 하나가 삽입된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흉부(40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복부(30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제5 접착면(440)이 형성된다.
상기 두부(500)는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첩 및 각 부분 요소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두부 (500)의 하단 양측으로 펼쳐진 저면에는 상기 흉부(400)의 상단 중앙에 접착되도록 대응되는 제6 접착면(5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은 다수개의 종이를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체적 형상으로 절첩하면서 각 돌출된 장식과 같은 부분 요소에 대한 접착을 통해 다리부(100), 팔부(200), 복부(300), 흉부(400) 및 두부(500)를 각각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6 접착면(120, 220, 320, 420, 440, 520)을 통해 풀이나 본드에 의한 간편한 접착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에 의하면 다수개의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상화된 다리부, 팔부, 복부, 흉부 및 두부에 대한 조립 부착이 간편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신속한 입체 모형을 생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체화된 종이 모형의 가슴, 몸통, 팔, 다리를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부착함으로서, 제품의 신뢰가 향상되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3)

  1. 다수개의 종이를 자르고 접고 붙여서 사람이나 로봇 등과 같은 캐릭터를 형상화한 종이 모형에 있어서,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부 내측면에 소정의 제1 접착면이 형성된 다리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는 양측으로 펼쳐진 소정의 제2 접착면이 형성되는 팔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외면에 상기 다리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3 접착면이 형성된 복부;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양측 하면에 상기 팔부가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4 접착면이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복부의 상측에 끼운 상태로 부착되도록 소정의 제5 접착면이 형성된 흉부; 및 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하면서 그 하단 펼침면에 소정의 제6 접착면이 형성되는 두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 팔부, 복부, 흉부 및 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이를 접어서 결합 및 부착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부의 제2 접착면은 중앙이 절첩되어 절첩된 일면은 흉부의 제4 접착면의 외측에 부착되고 절첩된 타면은 흉부의 제4 접 착면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접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KR2020050030518U 2005-10-27 2005-10-27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KR200406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18U KR200406260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18U KR200406260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89A Division KR100646278B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260Y1 true KR200406260Y1 (ko) 2006-01-20

Family

ID=4175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18U KR200406260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2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5496A1 (en) Assembly toy
KR200406260Y1 (ko)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KR100646278B1 (ko)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KR100664541B1 (ko) 조립식 골판지 테이블
KR20120067874A (ko) 다수개의 편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종이 입체 모형
KR101835977B1 (ko) 로봇 접합구조
KR20130006196U (ko) 접착 가능한 조립식 종이모형
KR20160029424A (ko) 종이 완구
KR200387701Y1 (ko) 회전 관절을 갖는 종이 인형
KR20100024712A (ko) 변신 가능한 종이로봇 완구
KR200294946Y1 (ko) 종이 로봇 완구용 플라스틱 관절
KR100383683B1 (ko) 종이를 이용한 완구
JP3137869U (ja) 電子機器用ケース
JPS6124313Y2 (ko)
KR200346099Y1 (ko) 합성수지골판지수납상자
JP4777492B2 (ja) 組立て椅子
JP2011115363A (ja) 紙製扇子
KR200192186Y1 (ko) 종이를 이용한 완구
KR20090089115A (ko) 스프링 비노출형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JPS5937927Y2 (ja) 照明器具用シエ−ド
KR101558558B1 (ko) 조립식 팝업북
JP5417148B2 (ja) ペーパジオラマ模型セット
JPH0262269B2 (ko)
JP2022110969A (ja) 工作シート
JP3126447U (ja) 人型おもちゃの骨組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