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65Y1 -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65Y1
KR200406165Y1 KR2020050028336U KR20050028336U KR200406165Y1 KR 200406165 Y1 KR200406165 Y1 KR 200406165Y1 KR 2020050028336 U KR2020050028336 U KR 2020050028336U KR 20050028336 U KR20050028336 U KR 20050028336U KR 200406165 Y1 KR200406165 Y1 KR 200406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game machine
panel
shock absor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사
Original Assignee
동호게임뱅크오브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호게임뱅크오브코리아(주) filed Critical 동호게임뱅크오브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50028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그 내부의 보수ㆍ유지ㆍ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게임기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표시 패널을 구비하여, 표시 패널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게임기 케이스가 개폐된다.
게임기, 슬라이딩, 표시 패널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Game machine having display panel of sliding typ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임기의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게임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게임기의 배면도로서, 표시 패널이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케이스 20 : 표시 패널부
40 : 조작 패널부 63, 73 : 구동력 전달 수단
100, 100a, 100b :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본 고안은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그 내부의 보수ㆍ유지ㆍ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기는, 케이스와,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게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 및, 화폐 투입구와 버튼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는 후면이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재와 화폐 인식 수단 및 상품 제공 수단 등이 수납된다. 한편, 상기 게임기는 여러 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공간 절약을 위하여 후면이 벽면 등에 밀착되고 측면이 이웃하는 게임기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의 제어부재, 화폐 인식 수단, 상품 제공 수단 등의 보수ㆍ유지ㆍ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게임기를 앞으로 당겨서 이동시킨 후 케이스의 후면을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케이스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게임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게임기는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수평으로 회동시켜 케이스를 개방 또는 밀폐함으로써 게임기가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보수ㆍ유지ㆍ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게임기는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의 회동을 위해서 측면에 소정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즉, 상기 게임기는 그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회동시켜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표시 패널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는데, 이러한 대형 표시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을 사용하더라도 그 무게나 부피가 커서, 상기와 같은 회동 개폐식 게임기의 경우 회동에 필요한 부재(경첩 등)에 부담이 크고 회동에 소요되는 공간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그 내부의 보수ㆍ유지ㆍ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표시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게임기 케이스가 개폐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게임기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작 패널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게임기는 상기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결합하는 잠금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게임기는 상기 표시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그 일단은 상기 표시 패널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게임기 케이스에 설치된 쇽 업쇼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소정 높이까지 올려진 경우에는 상기 쇽 업쇼버의 상향력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상한점까지 상승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일정 높이까지 내려진 경우에는 상기 쇽 업쇼버의 복원력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하한점까지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임기는 소정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을 하는 구동 모터; 상기 표시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한 또는 하한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제어 수단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게임기의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이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게임기의 배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기(100)는 케이스(10)와,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패널부(20) 및, 조작 버튼(42)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게임을 제어하는 제어부재(회로 기판, 미도시)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10)는 제어부재가 설치되는 제어부재 설치부(12)와, 게임기(100)의 보수ㆍ유지ㆍ관리에 필요한 부품, 공구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14) 및, 표시 패널(22)과 조작 패널(44)이 설치되는 조작 패널 설치부(16)로 구획된다. 상기 수납부(14)에 게임기(100)의 보수ㆍ유지ㆍ관리에 필요한 부품, 공구 등이 수납됨으로써, 부품, 공구 등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보수ㆍ유지ㆍ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는 광고 필름 등이 설치되는 광고부(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부(20)는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22) 및, 표시 패널(22)을 케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슬라이딩부(26)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 패널(2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브라운관,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표시 패널(22)의 사이즈는 10 인치대의 소 형에서 21 인치, 26 인치 등의 20 인치대와 32 인치 등의 중대형까지 게임의 종류나 게임기의 사양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패널(22)은 손잡이(23)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손잡이(23)를 파지함으로써 표시 패널(22)을 용이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부(26)는 케이스(10)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레일(26a)과, 표시 패널(22)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1 가이드 레일(26a) 상을 소정 구간 왕복 주행하는 제1 슬라이더(도 4의 26b) 및, 쇽 업쇼버(26c)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26a)과 제1 슬라이더(26b)는 가구 등의 수납장, 책상 서랍 등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쇽 업쇼버(26c)는 그 일단이 표시 패널(22)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케이스(10)에 설치된다. 쇽 업쇼버(26c)는 표시 패널(22)이 소정 높이까지 올려진 경우에는 그 상향력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22)이 완만한 속도로 상한점까지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한 후, 표시 패널(22)이 상한점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쇽 업쇼버(26c)는 표시 패널(22)이 일정 높이까지 내려진 경우에는 그 하향력 즉, 복원력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22)이 완만한 속도로 하한점 즉, 원래의 위치까지 자동으로 하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쇽 업쇼버(26c)는 자동차의 트렁크, 싱크대의 수납장 등에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쇽 업쇼버(26c)에 대한 대안으로서, 표시 패널(22)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후 소정의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2)이 상한점까지 슬라이딩된 경우에 표시 패널(22)의 하면과 대응되는 케이 스(10) 부분에 홀(미도시)을 형성한다. 즉, 표시 패널(22)을 상한점까지 슬라이딩시킨 후, 상기 홀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표시 패널(22)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다른 통상적인 고정 수단이 표시 패널(22)의 고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패널부(20)는 표시 패널(22)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재(24)를 구비한다. 잠금부재(24)는 통상적인 자물쇠와 열쇠로 이루어진다. 잠금부재(24)는 표시 패널(22)과 조작 패널(44)을 결합하여 표시 패널(22)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케이스(10)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22)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케이스(10)를 개방 또는 밀폐한다. 즉, 표시 패널(22)을 상측으로 슬라이딩 시킨 후, 케이스(10) 내부의 화폐 감지 수단(45a)의 화폐 인출이나 상품 공급 수단(46a)의 상품 보충 등 유지ㆍ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게임기(100)의 후면이 벽면에 밀착되고 측면이 이웃하는 게임기(100)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게임기(100)를 용이하게 유지ㆍ보수할 수 있다.
상기 조작 패널부(40)는 조작 버튼(42)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44) 및, 조작 패널(44)을 케이스(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슬라이딩부(47)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 패널(44)은 케이스(10)의 조작 패널 설치부(16)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 패널(44)은 조작 버튼(42)과, 화폐 투입구(45) 및, 상품 배출구 (46)를 구비한다. 화폐 투입구(45)의 후방에는 투입된 화폐를 감지하는 화폐 감지 수단(45a)이 설치되고, 상품 배출구(46)의 후방에는 상품 공급 수단(46a)이 설치된다. 상기 화폐 감지 수단(45a)과 상품 공급 수단(46a)은 게임기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화폐 감지 수단(45a)은 투입된 화폐의 위폐여부와 종류 등을 감지하고 정상적인 화폐인 경우 이를 수납하는 수납통을 구비하고, 상품 공급 수단(46a)은 게임자가 게임에 이기거나 당첨된 경우 소정의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 예컨대 상품권과 같은 상품을 보관하고 공급한다.
상기 제2 슬라이딩부(47)는 케이스(10)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레일(47a) 및, 조작 패널(44)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2 가이드 레일(47a) 상을 소정 구간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제2 슬라이더(47b)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47a)과 제2 슬라이더(47b)는 가구 등의 수납장, 책상 서랍 등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가이드 레일(47a)은 그 양단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돌기는 제2 슬라이더(47b)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2 슬라이더(47b)가 제2 가이드 레일(47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게임기(100a)는 케이스(10)와, 게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패널부(20) 및, 조작 버튼(42) 등이 설치된 조작 패널부(40)를 구비한다.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상기 게임기(100a)는 표시 패널(22)을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게임기(100a)는 구동 모터(61)와, 구동 모터(61)의 구동력을 표시 패널(22)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63) 및, 표시 패널(22)의 상한 또는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61)는 제어 수단(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한다.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63)은 구동 모터(61)에 의하여 회전되는 스프라켓(63a)과, 스프라켓(63a)에 설치된 체인(63b) 및, 체인(63b)과 표시 패널(22)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63c)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는 표시 패널(22)이 상한점까지 상승된 경우에 커넥터(63c)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된 상한 센서(64a) 및, 표시 패널(22)이 하한점까지 하강된 경우에 커넥터(63c)의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된 하한 센서(64b)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모터(61)의 구동력은 스프라켓(63a)과, 체인(63b) 및, 커넥터(63c)를 통하여 표시 패널(22)로 전달된다. 표시 패널(22)이 상승하여 상한점에 도달하면 상한 센서(64a)가 커넥터(63c)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 수단에 전송함으로써 구동 모터(6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또한, 표시 패널(22)이 하강하여 하한점에 도달하면 하한 센서(64b)가 커넥터(63c)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 수단에 전송함으로써 구동 모터(6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센서(64a, 64b)는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접촉 센 서 등 알려진 다양한 유형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구동력 전달 수단(63) 이외에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통상의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수단(73)은 구동 모터(71)와 연결된 피니언 기어(73a)와, 표시 패널(22)의 후면에 설치된 랙 기어(73b) 및, 표시 패널(22)의 상한과 하한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는 표시 패널(22)이 상한점에 도달된 경우에 표시 패널(22) 후면의 돌기(22a)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상한 센서(74a) 및, 표시 패널(22)이 하한점에 도달된 경우에 돌기(22a)를 감지하고 그 신호를 제어 수단에 전송하는 하한 센서(74b)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73)에서 구동 모터(71)의 구동력은 피니언 기어(73a)와 랙 기어(73b)를 통하여 표시 패널(22)에 전달된다. 한편,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임기(100)의 표시 패널(22)과 조작 패널(44)이 슬라이딩되며 개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잠금부재(24)의 잠금을 해제하여 표시 패널(22)과 조작 패널(44)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어서, 손잡이(23)를 파지하고 위로 힘을 가하여 표시 패널(22)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표시 패널(22)이 소정 높이까지 상승되면 쇽 업쇼버(26c)의 상승력이 작용하여 표시 패널(22)이 완만한 속도로 상한점까지 상승하게 된다. 표 시 패널(22)이 상한점까지 상승되면, 쇽 업쇼버(26c)는 표시 패널(22)이 상한점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조작 패널(44)을 파지하고 앞쪽으로 당기면 조작 패널(44)이 앞쪽으로 슬라이딩되며 케이스(10) 내부가 개방된다.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유지ㆍ보수 등이 완료되면, 손잡이(23)를 파지하고 아래로 힘을 가하여 표시 패널(2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조작 패널(44)을 안쪽으로 밀어 조작 패널(4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표시 패널(22)이 일정 높이까지 하강되면 쇽 업쇼버(26c)의 하강력 즉, 복원력이 작용하여 표시 패널(22)이 완만한 속도로 하한점까지 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5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에 의한 자동식 슬라이딩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슬라이딩의 시작을 지시하는 버튼이나 리모콘(미도시)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간단히 슬라이딩시켜 개폐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는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 경우에도 그 내부의 보수ㆍ유지ㆍ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공간이 좁은 게임 영업장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고안의 게임기는 표시 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회동 개폐식과 비교했을 때, 20 인치대나 30 인치대의 중대형 표시 패널을 사용하더라도 쇽 업소버나 구동 모터 등의 슬라이딩 관련 부품을 적절히 사용하기만 하면 안전하고 편리하게 게임기의 보수ㆍ유지ㆍ관리를 할 수 있다.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표시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게임기 케이스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작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조작 패널을 결합하는 잠금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그 일단은 상기 표시 패널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게임기 케이스에 설치된 쇽 업쇼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소정 높이까지 올려진 경우에는 상기 쇽 업쇼버의 상향력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상한점까지 상승되고, 상기 표시 패널이 일정 높이까지 내려진 경우에는 상기 쇽 업쇼버의 복원력에 의하여 표시 패널이 하한점까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을 하는 구동 모터;
    상기 표시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한 또는 하한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제어 수단에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KR2020050028336U 2005-10-04 2005-10-04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KR200406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36U KR200406165Y1 (ko) 2005-10-04 2005-10-04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336U KR200406165Y1 (ko) 2005-10-04 2005-10-04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65Y1 true KR200406165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336U KR200406165Y1 (ko) 2005-10-04 2005-10-04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02B1 (ko) * 2007-11-12 2010-03-31 (주)비엔이테크놀러지 지폐투입부 일체형 조작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02B1 (ko) * 2007-11-12 2010-03-31 (주)비엔이테크놀러지 지폐투입부 일체형 조작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721B1 (ko) 세탁기
EP1652991A2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and linearly movable door
US7490495B2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ally vertically-openable/closable door
JP4669022B2 (ja) 遊技機
EP1905881A2 (en) Washing machine
KR102598224B1 (ko)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JP2006116323A (ja) ドラム洗濯機
JP2006122677A (ja) 上側開放型ドアを備えたドラム洗濯機
US2006008615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vertically openable door
TW201426659A (zh) 自動販賣機
ES2716171T3 (es) Mecanismo de desviación e inserción
KR20040616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표시 패널을 구비한 게임기
JP4465608B2 (ja) 遊技機
JP2005312915A (ja) 遊技機
KR20200044495A (ko) 냉장고
JP2006212207A (ja) 遊技機
JP5282579B2 (ja) 自動販売機
EP3764039A1 (en) Refrigerator
CN112639381A (zh) 冰箱
KR200443688Y1 (ko) 전자도어록 타입 캐비넷 도어 개폐 장치
JP2001148066A (ja) 洗濯物収納装置
KR100527582B1 (ko)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냉장고
KR20060006599A (ko)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512639B1 (ko)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냉장고
JP6723900B2 (ja) 鍵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