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97Y1 -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 Google Patents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97Y1
KR200405897Y1 KR2020050030546U KR20050030546U KR200405897Y1 KR 200405897 Y1 KR200405897 Y1 KR 200405897Y1 KR 2020050030546 U KR2020050030546 U KR 2020050030546U KR 20050030546 U KR20050030546 U KR 20050030546U KR 200405897 Y1 KR200405897 Y1 KR 200405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ox
cap
ceil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남
최승혁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차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차양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차양시스템
Priority to KR2020050030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천정부에 노출형으로 설치되는 타 부재와의 간섭없이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천정부나 벽면에 박스브라켓으로 고정하여 간단한 조립에 의해 설치가 수월하고, 기타 보수 점검시에 박스캡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보수시 항상 점검을 쉽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동스크린, 조립식 전동스크린, 노출형 스크린, 전동식 슬라이드 스크린, 롤 스크린

Description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A sectional exposure slide scree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결합사시도.
도3은 도2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천장부와 벽면에 부착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천장부 4:벽면
5:하단바 6:볼트
8:중공간부 9:롤원단스크린
10:박스브라켓 12:걸리부
14:볼트공 20:박스상단캡
22:상단레일 23:측면레일
24:레일부 26:고정홈
30:박스하단캡 32:고정돌기
34:인출공 40:박스캡
42:롤러바 50:스크린박스
본 고안은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부나 벽에 부착되는 구조로 브라켓의 이동으로 천정부나 벽에 설치되는 타 부재와의 간섭없이 간편한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문화 및 멀티미디어 교육의 보급에 따라 OHP,프로젝션,화상기등의 영상기구를 빈번히 사용함에 따라 전동스크린의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전동스크린은 대개 천정부에 삽입설치되는 삽입형 스크린장치와, 천정부나 벽체에 일측면이 고정 설치되는 노출형스크린 또는 거취대를 구비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한 이동식스크린이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식스크린은 이동성의 편리성이 있어 초기에 많이 보급되었지만, 설치에 따른 불편함과 함께 요즘은 회의실 및 강의실 등과 같은 경우는 스크린의 사용 및 그 설치 필요성이 의무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상기 삽입형 고정 스크린의 경우는 설치되는 특성상 외부로 스크린이 노출되진 않치만 천장부에 완전 고정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박스형체가 모두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어 교체, 보수에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부에 매입되는 구조로 천정부에 설치되는 타 부재와의 간섭없이 간편하게 조립 식으로 설치하는 전동스크린으로 기타 보수 점검시에 박스캡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보수시 항상 점검을 쉽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천장부에 볼트로 고정된 박스브랏켓에 레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ㄱ'형상의 박스상단캡과,
상기 박스상단캡의 일측 고정홈에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내부로부터 권취된 롤원단스크린의 인출공을 형성하는 'ㄴ'형상의 박스하단캡과,
상기 박스상단캡과 박스하단캡의 결합하여 하나의 스크린박스를 형성하여 스크린박스 내부에 롤원단스크린을 결합시키는 롤러바를 구비한 스크린박스의 양측을 막아주는 사각형상의 박스캡이 결합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을 제공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상단캡(10)은 'ㄱ'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박스상단캡(20)의 상측에 상단레일(22)과 측면부분에 측면레일(23)로 레일부(24)를 장방형체로 길게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박스상단캡(20)의 상단레일(22)과 측면레일(23)에 박스브라켓(10)이 결합 고정되어 천정부(2)나 벽면(4)에 부착된다.
상기 박스상단캡(20)은 일측에 장방형의 고정홈(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브라켓(10)은 일측에 걸림부(12)를 형성하여 박스상단캡(20)의 레일부(24)에 고정되어 상면의 볼트공(14)에 볼트(6)가 체결되어 천장부(2)의 벽에 고정 매입한다.
상기 박스브랏켓(10)은 레일부(24)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천정부(2)나 벽면(4)에 2개이상으로 박스브라켓(1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박스브랏켓(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12)는 박스상단캡(20)의 상측레일(22)과 측면레일(23)의 레일부(24)에 모두 끼워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박스상단캡(10)의 일측 고정홈(26)에 'ㄴ형상의 박스하단캡(30)의 고정돌기(32)가 결합되어 롤원단스크린(9)을 내장하는 중공간부(8)가 형성된다.
여기서,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이 결합하여 하나의 스크린박스(50)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이 결합한 스크린박스(50)의 하단에 내부로부터 권취된 롤원단스크린(9)의 인출공(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박스(40)의 인출공(34)을 하단바(5)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롤원단스크린(9)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하단바(5) 가 스크린박스(50)의 인출공(34) 내부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이 결합한 스크린박스(50)의 양끝단을 막아주는 사각형상으로 롤원단스크린(9)의 양측 롤러바(42)를 내부에 구비한 박스캡(40)이 결합된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크린박스(50)의 상단레일(22)에 박스브라켓(10)의 고정으로 천장부(2)에 스크린박스(50)가 부착되고, 측면레일(23)에 박스브라켓(10)의 고정으로 벽면(4)에 스크린박스(5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은 전동 롤태극기에 적용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치자는 박스상단캡(20)의 고정홈(26)에 박스하단캡(30)의 고정돌기(32)를 결합시킨 후,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이 결합한 스크린박스(50)의 양끝단을 막아주는 사각형상으로 롤원단스크린(9)을 고정결합시키는 스크린박스(50) 양측에 롤러바(42)를 내부에 구비한 박스캡(40)을 결합시킨다. 박스브라켓(10)에 의해 천장부(2) 또는 벽면(4)에 설치된 스크린박스(50)는 내부에 롤원단스크린(9)을 구비하여 롤원단스크린(9)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하단바(5)가 스크린박스(50)의 인출공(34) 내부로 매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하단바(5)는 롤러바(42)의 회전으로 상하로 움직인다.
여기서, 박스브라켓(10)을 천장부(2)에 설치할 경우에는 박스브라켓(10)을 천장부(2)에 볼트(6)로 고정하고 스크린박스(50)의 상측에 형성된 상단레일(22)을 박스브라켓(10)에 결합고정 시켜 천장부(2)에 설치 할 수 있으며, 벽면(4)에 설치할 경우는 박스브라켓(10)을 벽면(4)에 볼트(6)로 고정하여 스크린박스(5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레일(23)을 박스브라켓(10)에 고정하여 벽면(4)에 스크린박스(50)를 설치할 수 있는것으로, 선택적으로 천장부(2)와 벽면(4)등에 스크린박스(50)를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브랏켓(10)을 천정부(2)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트(6)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다른 접착물을 이용하여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박스브랏켓(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린박스(30)는 천정부(2) 또는 벽면(4)에 고정하는 박스브랏켓(10)의 길이와 갯수에 따라 스크린박스(30)의 레일부(24)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조립부속들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또한, 조립부속들을 타금속 또는 스틸, PVC로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의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조립이 간단하며, 슬라이드형 박스브랏켓(10)으로 설치가 수월하고, 원단 교체 또는 기타 보수시에 박스캡(40)의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쉽게 보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는 건물의 천정부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 실내의 미관이 깨끗하며 스크린박스가 일체형으로 간단한 조립에 의해 설치가 수월하여 시간이 절약되며, 조립부속은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여 부식방지가 되고, 기타 보수 점검시에 박스캡이 탈부착이 가능하여 항상 점검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영사스크린 또는 전동 롤 태극기에도 사용 할 수 있어 학교,오피스 빌딩 또는 관공서, 고급주택에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영상산업상에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본 고안은 내부로 스크린이 권취된 롤스크린를 수납하여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전동스크린에 있어서;
    천장부(2)에 볼트(6)로 고정된 박스브랏켓(10)에 레일부(24)가 끼워져 고정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ㄱ'형상의 박스상단캡(20)과,
    상기 박스상단캡(20)의 일측 고정홈(26)에 고정돌기(32)가 결합되어 내부로부터 권취된 롤원단스크린(9)의 인출공(34)을 형성하는 'ㄴ'형상의 박스하단캡(30)과,
    상기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의 결합하여 하나의 스크린박스(50)를 형성하여 스크린박스(50) 내부에 롤원단스크린(9)을 결합시키는 롤러바(42)를 구비한 스크린박스(50)의 양측을 막아주는 사각형상의 박스캡(4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4)는 박스상단캡(20)의 상측에 형성된 상단레일(22)과 측면부분의 측면레일(23)로 구성되어 상단레일(22)과 측면레일(23)에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박스브라켓(10)을 각각 결합하여 볼트공(14)에 볼트(6)로 천장부(2)와 벽면(4)에 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상단캡(20)과 박스하단캡(30)이 결합한 스크린박스(50)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인출공(34)이 롤원단스크린(9)의 하단바(5)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어 롤원단스크린(9)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하단바(5)가 스크린박스(50)의 인출공(34) 내부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KR2020050030546U 2005-10-27 2005-10-27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KR200405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46U KR200405897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46U KR200405897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97Y1 true KR200405897Y1 (ko) 2006-01-11

Family

ID=4175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46U KR200405897Y1 (ko) 2005-10-27 2005-10-27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997B1 (ko) * 2019-12-31 2020-10-20 문제선 차양용구 행거 브래킷
WO2021137337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86422B1 (ko) * 2021-06-03 2022-04-1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의 내화기능이 강화된 함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997B1 (ko) * 2019-12-31 2020-10-20 문제선 차양용구 행거 브래킷
WO2021137337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086885A4 (en) * 2020-01-03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86422B1 (ko) * 2021-06-03 2022-04-15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주택 정보통신의 내화기능이 강화된 함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RU2563863C2 (ru) Наружн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основания для стенового пане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KR200405897Y1 (ko) 조립식 노출형 슬라이드 스크린
US20200318419A1 (en) Floor guide
EP2045436A1 (en) Multifunctional guiding profile for mobile screens and fastening system comprising such profile
JP5144188B2 (ja) 手摺り装置
KR101759322B1 (ko) 마감과 추가 시공을 겸하는 폴딩 도어용 일체형 하부 레일
KR100697971B1 (ko) 조립식 매립형 슬라이드 스크린
KR20090041608A (ko) 조립형 고정브라켓
JP5073625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KR20090005206U (ko) 천장 설치용 조립형 커튼 레일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70131154A (ko) 창호 프레임 구조
JP7209430B2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
JP6665008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080052170A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슈 및 그 장착 구조
KR200420685Y1 (ko) 사다리형 및 바닥 밀폐형 겸용 케이블 트레이
ES2964708T3 (es) Caja de persiana enrollable con cubierta frontal
JP2007170082A (ja) 引き戸ユニット
JP4031417B2 (ja) グレーチング装置、およびサッシ窓
JP7253917B2 (ja) 浴室用建具
JP2007254989A (ja) 簡易構築物
CN214958446U (zh) 一种具有长度补偿功能的电缆桥架
JP6700159B2 (ja) パネ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