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76Y1 - 용기 세척용 브러시 - Google Patents

용기 세척용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76Y1
KR200405876Y1 KR2020050029898U KR20050029898U KR200405876Y1 KR 200405876 Y1 KR200405876 Y1 KR 200405876Y1 KR 2020050029898 U KR2020050029898 U KR 2020050029898U KR 20050029898 U KR20050029898 U KR 20050029898U KR 200405876 Y1 KR200405876 Y1 KR 200405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ndle portion
handle
cleaning brush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자
Original Assignee
박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자 filed Critical 박철자
Priority to KR2020050029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밀폐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편안하게 잡고서 밀폐용기의 좁은 공간을 세척할 수 있으며, 밀폐용기에 묻거나 고착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용기 세척용 브러시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솔이 일렬로 박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 연장되며 그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쐐기부를 포함하며, 만곡된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에는 돌출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고, 홈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브러시, 뚜껑, 이물질, 인체공학, 솔, 쐐기부

Description

용기 세척용 브러시{Brush for Cleaning Vessel}
도 1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이용하여 밀폐용기의 뚜껑을 청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이용하여 밀폐용기의 뚜껑에 묻은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 3 : 홈
100 : 브러시 110 : 손잡이부
111 : 홈 113 : 돌출부
115 : 관통공 120 : 지지부
130 : 쐐기부 140 : 솔
이 고안은 음식물 등을 수용하는 밀폐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공학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편안하게 잡고서 밀폐용기의 좁은 공간을 세척할 수 있으며, 밀폐용기에 묻거나 고착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기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보관함으로써 음식물을 보다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한 종류의 밀폐용기는 뚜껑이 유연한 재질로서 용기에 장착하였을 때에, 뚜껑이 탄성 변형되면서 용기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한 종류의 밀폐용기는 유연성이 없는 단단한 뚜껑에 고무패킹이 장착된 것으로서, 고무패킹이 용기의 개방부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로 뚜껑과 용기를 체결함으로써, 고무패킹에 용기가 밀착되어 밀폐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두 종류의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보관하다 보면, 밀폐용기의 뚜껑이나 용기가 결합되는 뚜껑의 홈 내부 또는 복잡한 구조의 체결부재 등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거나 고착되어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세척되지 않고 밀폐용기에 잔존해 있음으로 써, 세균이나 병원균이 서식하거나 또는 부패되어 고약한 냄새가 난다.
한편,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넓은 뚜껑의 상면이나 저면에 묻거나 고착된 경우에는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지만, 뚜껑의 홈 내부 또는 복잡한 구조의 체결부재에 묻은 음식물 또는 이물질은 제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부터, 종래에는 음식물 또는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칫솔 등으로 뚜껑의 홈 내부 또는 복잡한 구조의 체결부재 등을 청소하였으나,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칫솔과 같은 통상의 브러시는 각각의 모들이 넓은 면적에 분포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좁은 홈에 모들을 삽입하려다 보면 일부의 다른 모들이 홈에 삽입되지 않고 걸리게 되어, 모가 홈의 안쪽까지 닿지 않게 되어 청결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특히, 홈 내부에 이물질이나 음식물이 고착된 경우에는 유연한 모를 사용하여서는 고착된 이물질이나 음식물을 떨어뜨릴 수 없어 세척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을 세척함에 있어 뚜껑의 좁은 홈이나 복잡한 구조 구석까지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용기 세척용 브러시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솔이 일렬로 박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 연장되며 그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쐐기부를 포함하며, 만곡된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에는 돌출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고, 홈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이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이용하여 밀폐용기의 뚜껑을 청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이용하여 밀폐용기의 뚜껑에 묻은 찌꺼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100)는,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110)와, 상기 손잡이부(11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솔(140)이 박혀 고정된 지지부(120)와, 손잡이부(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쐐기부(130)로 구분된 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10)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된 구조로서, 약 10 내지 15cm의 길이를 갖고 있으며, 손잡이부(110)의 선단 상면에는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홈(111)이 약 3 내지 5cm가량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부(110)를 파지할 경우에, 사용자의 손바닥은 만곡된 손잡이부(110)의 오목부, 즉 도 1에 도시된 브러시(100)의 손잡이부(110) 상면 쪽에 위치하고 손가락은 손잡이부(110)의 저면을 감싼다.
이와 같은 구조로 파지함에 있어서, 솔(140)이 고정된 지지부(120)에 힘을 가하기 위해서는 엄지손가락이 손잡이부(110)의 선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엄지손가락이 손잡이부(110)의 선단에 위치함에 따라 엄지손가락은 홈(111)에 접하게 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부(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부(120)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만곡된 손잡이부(110)의 전방으로 지지부(120)가 연장되는데, 상기 지지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선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다. 절곡된 각도는 약 110 내지 140ㅀ이다.
상기 절곡된 각도는 엄지손가락을 홈(111)에 위치하였을 때에 엄지손가락의 바닥이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각도이다. 따라서 손잡이부(110)를 파지하는 손에 힘을 주었을 때에 손잡이부(110)의 만곡된 중간부는 평평하게 펴지려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엄지손가락은 지지부(120)가 연장된 방향으로 누르면서 힘이 가해진다.
한편, 지지부(120)와 손잡이부(110)의 절곡부위 상면에는 상기 엄지손가락을 받쳐줄 수 있게 돌출부(1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홈(111)은 엄지손가락이 접하는 돌출부(113)에서부터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20)와 손잡이부(110)의 절곡부위는 브러시(100)에 힘을 가했을 때에 가장 많은 힘이 가해지는 부위로서, 쉽게 파단될 수 있으나, 이 절곡부위에 돌출부(113)를 형성하여 단위 면적당 물질량을 많게 함으로써, 힘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부(120)의 선단에는 다발로 묶인 솔(140)들이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솔(140)의 길이방향과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은 동일하다. 그럼으로써, 엄지손가락을 통해 가해진 힘은 지지부(120)를 통해 솔(140)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편안하게 잡으면서도 구조적으로 큰 힘이 솔(140)까지 가해져 이물질이나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러시(100)에 있어서, 손잡이부(110)의 후방에는 쐐기부(130)가 형성된다. 쐐기부(130)는 손잡이부(110)의 후단에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고 폭도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10)의 후단에는 관통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5)은 걸이나 못이 관통할 수 있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100)를 걸어 관리하기 편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를 이용하여 뚜껑의 홈을 청소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100)는 다발로 묶인 솔(140)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솔(140)들이 뚜껑(1)의 좁은 홈(3) 안쪽까지 모두 진입해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솔(140)이 홈(3)의 내부까지 진입해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주어 브러시(100)를 이동시키면, 솔(140)은 홈(3) 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및 음식물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및 음식물이 홈(3) 내부에 고착되었을 경우에는, 유연한 상기 솔(140)로 고착된 이물질 및 음식물을 제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럴 경우에는 손잡이부(110)의 후방으로 연장된 쐐기부(130)를 홈(3)의 안쪽에 삽입한 상태로 쐐기부(130)에 힘을 가해 고착된 이물질 또는 음식물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는 밀폐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및 뚜껑 그리고 체결부재 등을 구석구석 닦을 수 있는 솔이 장착되어 보다 청결하게 밀폐용기를 관리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른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는 솔이 일렬로 배치되어 뚜껑의 좁은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좁은 공간에 위치한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브러시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가볍게 파지한 상태에서도 큰 힘이 솔까지 전달되어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밀폐용 브러시는 솔로 제거할 수 없는 고착된 이물질 및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쐐기부가 형성되며, 브러시를 용이하게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브러시의 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밀폐용기 세척용 브러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만곡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그 끝단에는 솔이 일렬로 박혀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 연장되며 그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고 폭이 좁아지는 쐐기부를 포함하며,
    만곡된 상기 손잡이부의 오목부에는 돌출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고, 홈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용 브러시.
KR2020050029898U 2005-10-20 2005-10-20 용기 세척용 브러시 KR200405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98U KR200405876Y1 (ko) 2005-10-20 2005-10-20 용기 세척용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98U KR200405876Y1 (ko) 2005-10-20 2005-10-20 용기 세척용 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76Y1 true KR200405876Y1 (ko) 2006-01-11

Family

ID=4175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98U KR200405876Y1 (ko) 2005-10-20 2005-10-20 용기 세척용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644B2 (en) Barbecue grill cleaner with barrier flap
RU2004124541A (ru) Зубная щетка,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зубной щетки и контейнер с зубной пастой
US9867457B2 (en) Brush cleaning cup
JP6990957B2 (ja) トイレブラシ
US20070266509A1 (en) Device for Cleaning a Hollow Vessel
US6146040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leaning articles such as baby bottles
KR200405876Y1 (ko) 용기 세척용 브러시
KR200486074Y1 (ko) 수세미 고무장갑
KR200489458Y1 (ko) 돌기형 수세미
KR200432676Y1 (ko) 주방용 세척기구
JP3892765B2 (ja) 炊飯器
KR20200024423A (ko) 휴대용 얼룩제거봉
JP4953176B2 (ja) 櫛付き容器
US20030131431A1 (en) Cleaning implement
KR20120003155U (ko) 컵 닦이용 수세미
KR200406568Y1 (ko) 쌀 씻는 주걱
JP6828067B2 (ja) ボトル洗浄具
JP6308890B2 (ja) ブラシ器具付きキャップ
KR200362127Y1 (ko) 차량용 먼지털이개 보관 케이스
JPH11197078A (ja) 洗剤入れや洗剤容器入れを設けた掃除用具や掃除機器
KR200402176Y1 (ko) 늘어나는 수세미
KR101618970B1 (ko) 클리닝 디바이스
JP2022103617A (ja) 便器掃除用具
KR200362126Y1 (ko) 차량용 먼지털이개 보관 케이스
KR200436388Y1 (ko) 클린 기능을 가진 화장품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