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27Y1 -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27Y1
KR200405827Y1 KR2020050029086U KR20050029086U KR200405827Y1 KR 200405827 Y1 KR200405827 Y1 KR 200405827Y1 KR 2020050029086 U KR2020050029086 U KR 2020050029086U KR 20050029086 U KR20050029086 U KR 20050029086U KR 200405827 Y1 KR200405827 Y1 KR 200405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slope
rockfall
rockfall prevention
fib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50029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칸막이벽체의 배면에 비탈면에 대응되는 경사판이 설치되고, 칸막이벽체는 섬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낙석방지구를 설치하므로서, 경사판 및 섬유와이어가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이 도로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용하여 도로 교통 흐름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이 되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에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게 되어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탈면과 인접한 도로변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홈(11)이 형성되는 기초블록(10)과; 불규칙한 통공(2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 및 배면에는 다수의 섬유와이어(23a)(23b)(23c)가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설치되는 칸막이벽체(21)와, 그 칸막이벽체(21)의 배면에는 비탈면과 접촉되도록 배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구(27a)(27b)를 통해 칸막이벽체(21)의 후면 및 저면의 섬유와이어(23b)(23c)와 결합되는 경사판(25)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기초블록(10) 상부의 안착홈(11)에 끼움결합되며, 계단형상으로 다수 적층되는 낙석방지구(20)와; 상기 낙석방지구(20)에서 칸막이벽체(21)를 연결하는 후면의 섬유와이어(23b)중 어느 하나의 섬유와이어(23b)에 걸림고정되어 낙석방지구(20)를 낙석으로부터 지지하는 쏘일네일(30) 및 그 쏘일네일(30)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관(31);으로 이루어진다.
낙석, 쏘일네일, 목재판넬, 방부목재, 섬유와이어, 친환경

Description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The parent environment falling-stone prevention institution for road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결합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블록 11 : 안착홈
20 : 낙석방지구 21 : 칸막이벽체
22 : 통공 23a, 23b, 23c : 섬유와이어
25 : 경사판 26 : 통공
27a, 27b : 걸림구 30 : 쏘일네일
31 : 지지관
본 고안은 도로의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벽체의 배면에 비탈면과 대응되는 경사판이 설치되고, 칸막이벽체는 섬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낙석방지구를 설치하므로서, 경사판 및 섬유와이어가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이 도로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용하여 도로 교통 흐름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이 되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에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게 되어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이라 함은 도로의 절개지 경사면이나 산지의 비탈면의 전방에 설치되어 경사면으로부터 도로로 낙하되는 낙석을 차단시켜 차량 통행을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설치되는 시설이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지금까지의 낙석방지시설에 의하면, 절개지에서 발생되는 낙석에 의한 도로의 파손 및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옹벽에 낙석방지시설이 설치되는 데, 이와 같은 산 절개지에서 대용량의 낙석이 발생될 경우, 처리할 수 있는 시설물이 약하여 낙석이 그대로 도로로 낙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도로의 통행이 전면 중지되어 교통 흐름에 악영향을 미치 며, 대형의 피해까지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낙석방지시설의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그 낙석방지시설에는 식생이 자랄 수 없게 됨은 물론, 비탈면에 설치시 비탈면에 완전한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우기시 또는 조그만한 충격에도 쉽게 비탈면에서 이탈되어 낙하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재질들은 자연환경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칸막이벽체의 배면에 비탈면에 대응되는 경사판이 설치되고, 칸막이벽체는 섬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낙석방지구를 설치하므로서, 경사판 및 섬유와이어가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이 도로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도로 교통 흐름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낙석방지구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이 되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에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게 되어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탈면과 인접한 도로변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기초블록과;
불규칙한 통공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 및 저면에는 다수의 섬유와이어가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설치되는 칸막이벽체와, 그 칸막이벽체의 배면에는 비탈면과 접촉되도록 배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구를 통해 칸막이벽체의 후면 및 저면의 섬유와이어와 결합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경사판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기초블록 상부의 안착홈에 끼움결합되며, 계단형상으로 다수 적층되는 낙석방지구와;
상기 낙석방지구에서 칸막이벽체를 연결하는 후면의 섬유와이어중 어느 하나의 섬유와이어에 걸림고정되어 낙석방지구를 낙석으로부터 지지하는 쏘일네일 및 그 쏘일네일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칸막이벽체의 배면에 비탈면에 대응되는 경사판이 설치되고, 칸막이벽체는 섬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낙석방지구를 계단형상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므로서,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이 도로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낙석방지구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일정기간이 지나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에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조립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결합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낙석방지시설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부에 안착홈(11)이 형성되는 기초블록(10)을 비탈면과 인접한 도로변에 설치한 다음, 그 안착홈(11)에는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을 방지하는 낙석방지구(20)를 계단형상으로 적층되게 설치한다.
이때, 기초블록(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낙석방지구(20)는 불규칙한 통공(2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 및 저면에는 다수의 섬유와이어(23a)(23b)(23c)가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설치되는 칸막이벽체(21)와, 그 칸막이벽체(21)의 배면에는 비탈면과 접촉되도록 배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구(27a)(27b)를 통해 칸막이벽체(21)의 후면 및 저면의 섬유와이어(23b)(23c)와 결합되며, 다수의 통공(26)이 형성되는 경사판(25)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어, 상기 낙석방지구(20)에서 칸막이벽체(21)를 연결하는 후면의 섬유와이어(23b)중 어느 하나의 섬유와이어(23b)에는 낙석방지구(20)를 낙석으로부터 지지하는 쏘일네일(30) 및 그 쏘일네일(30)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관(31)를 걸림고정하 여 이루어진다.
이때, 낙석방지구(20)를 이루는 칸막이벽체(21)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이 되어 비탈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부목재를 이용하도록 하고, 칸막이벽체(21)의 배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25) 역시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되는 목재로 형성하여 칸막이벽체(21) 및 경사판(25)의 통공(22)(26)을 통해 서식되는 식생과 함께 비탈면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시간이 흐를수록 비탈면에 완전히 정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에 의하면, 절개지 등의 비탈면에서 흘러내리는 낙석을 방지하여 도로의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석방지시설을 설치게 되면, 비탈면에서 흘러내리는 낙석 등이 기초블록(10)상에 다수 적층되게 설치된 칸막이벽체(21)에서 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섬유와이어(23a)에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어 낙석이 도로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칸막이벽체(21)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섬유와이어(23b)중 어느 하나의 섬유와이어(23b)에는 쏘일네일(30) 및 그 쏘일네일(30)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관(31)를 걸림고정하므로서, 낙석을 방지하는 낙석방지구(20)를 더욱 더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초블록(10) 상부에 설치되는 낙석방지구(20)에서 칸막이벽체(21)는 비탈면과 조화를 이루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부식될 수 있는 방부목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그 벽체(21)에는 불규칙한 통공(22)을 다수 형성하므로서, 통공 (22)을 통해 다수의 식생이 자연스럽게 서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칸막이벽체(21) 역시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이 되어 비탈면과 조화를 이루고 정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칸막이벽체(21)의 배면에서 비탈면과 접촉되도록 배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구(27a)(27b)를 통해 칸막이벽체(21)의 후면 및 저면의 섬유와이어(23b)(23c)와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판(25) 역시 비탈면과 조화를 이루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식될 수 있는 목재판넬을 이용하여 구성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부식되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서식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경사판(25)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26)을 통해 서식되는 식생과 함께 자연스럽게 비탈면과 조화를 이루고 정착할 수 있게 되어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칸막이벽체의 배면에 비탈면에 대응되는 경사판이 설치되고, 칸막이벽체는 섬유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낙석방지구를 계단형상으로 적층하여 설치하므로서,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에서 발생하는 낙석이 도로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도로 교통 흐름의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낙석방지구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일정기간이 지나면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재질을 사용하므로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토양에 자연스럽게 정착되고, 식생이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게 되어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탈면과 인접한 도로변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홈(11)이 형성되는 기초블록(10)과;
    불규칙한 통공(22)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 및 저면에는 다수의 섬유와이어(23a)(23b)(23c)가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설치되는 칸막이벽체(21)와, 그 칸막이벽체(21)의 배면에는 비탈면과 접촉되도록 배면 상,하부에 형성되는 걸림구(27a)(27b)를 통해 칸막이벽체(21)의 후면 및 저면의 섬유와이어(23b)(23c)와 결합되는 경사판(25)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기초블록(10) 상부의 안착홈(11)에 끼움결합되며, 계단형상으로 다수 적층되는 낙석방지구(20)와;
    상기 낙석방지구(20)에서 칸막이벽체(21)를 연결하는 후면의 섬유와이어(23b)중 어느 하나의 섬유와이어(23b)에 걸림고정되어 낙석방지구(20)를 낙석으로부터 지지하는 쏘일네일(30) 및 그 쏘일네일(30)의 외면을 감싸는 지지관(3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KR2020050029086U 2005-10-12 2005-10-12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KR200405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6U KR200405827Y1 (ko) 2005-10-12 2005-10-12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6U KR200405827Y1 (ko) 2005-10-12 2005-10-12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743A Division KR100585869B1 (ko) 2006-02-15 2006-02-15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27Y1 true KR200405827Y1 (ko) 2006-01-11

Family

ID=4175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86U KR200405827Y1 (ko) 2005-10-12 2005-10-12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307A (ko) * 2019-12-18 2019-12-26 허택인 옹벽이 일체화된 낙석방지책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307A (ko) * 2019-12-18 2019-12-26 허택인 옹벽이 일체화된 낙석방지책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96218B1 (ko) 2019-12-18 2020-04-01 허택인 옹벽이 일체화된 낙석방지책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865B2 (en)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05827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JP2006241966A (ja) 金属製箱状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製壁
KR101252693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방법
KR100585869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낙석방지시설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US20120187359A1 (en) Extendable Fence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JP3191835U (ja) 路面用排水溝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KR101519511B1 (ko) 쇼크리트 비탈면 식생보강용기 결합구조
RU91359U1 (ru) Деревянный забор
US5366190A (en) Repeater housing mounting unit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JP2010088321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JP2007255162A (ja) 仕切り壁用基礎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ブロックユニット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KR200403528Y1 (ko) 낙석방지책의 고정와이어 고정장치
US20120068135A1 (en) Grate wall
KR100582651B1 (ko) 건축물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
AU2013101245B4 (en) Fence plinth
JPH0617435A (ja) 法留めブロックの構造及び該法留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KR10050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JP2006028761A (ja) 木製フェンス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横ビーム
KR100466891B1 (ko) 건축단지용 비탈면 보호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