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60Y1 -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60Y1
KR200405460Y1 KR2020050029534U KR20050029534U KR200405460Y1 KR 200405460 Y1 KR200405460 Y1 KR 200405460Y1 KR 2020050029534 U KR2020050029534 U KR 2020050029534U KR 20050029534 U KR20050029534 U KR 20050029534U KR 200405460 Y1 KR200405460 Y1 KR 200405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opening
inner plug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봉
Original Assignee
권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봉 filed Critical 권기봉
Priority to KR2020050029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암나사가(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상기 속마개(10)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겉마개(20)가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내외측 단부에 각각 분리방지턱(12)(22)을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내,외주연에는 닫을 때에는 상호 맞물리고 여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되면서 공회전하는 래칫톱니부(15)(25)를 상하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톱니부(15)(25)사이는 상하로 상호 이탈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부(30)를 형성하므로서; 속마개와 겉마개는 단일의 래칫구조에 의해 열기방지 기능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을 갖게 됨은 물론, 용기 마개를 닫을 때에 겉마개를 어느 정도 가압하여 지지하는 힘만으로 겉마개와 속마개를 동시 회전 개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겉마개와 속마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맞물리고 그 상하면이 밀착되어야만 하는 작동상의 불편함을 배제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이격을 위한 별도 구성이 배제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부주의와 호기심에 의한 용기 개방은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개방작동은 원활하도록 제공하게 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열기방지, 용기, 마개, 열림 방지, 래칫,

Description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A VESSEL STOPPER HAVING FUNCTION FOR OPENING PRE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개방 작동 전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속마개 12,22: 분리 방지턱
15,25: 래칫 톱니부 16,26: 톱니
20: 겉마개
본 고안은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푸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게 열지 못하도록 열림 방지 기능을 부가하므로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내용물의 안전성을 요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경각심을 부여하는 열림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용기 마개는 용기의 주입부와 마개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합하므로 개폐하도록 사용하였다.
이러한 용기 마개는 어린이들이 쉽게 돌려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푸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부주의와 호기심 등으로 열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용기 마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가 다수 개시된 바 있다.
이중 등록실용신안 제385310호에서는 암사가가 형성된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겉마개가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외측 단부에 각각 분리방지턱을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의 외경과 겉마개의 내경에는 등간격으로 상호 대응되는 래칫톱니, 상기 속마개의 상면과 겉마개의 저면에는 방사상으로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대응 형성한 구조에 의해 열림 방지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용기 마개를 닫을 때에는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의 래칫톱니가 맞물려 가능하게 되고, 용기 마개를 열을 때에는 상기 래칫톱니는 슬라이드되어 헛돌게 되기 때문에 상기 겉마개를 가압하여 겉마개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속마개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맞물리면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용기 마개를 열을 때와 닫을 때 각각 다른 구조인 속마개와 겉마개의 래칫톱니, 걸림돌기와 걸림홈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용기를 열을 때에는 상기 겉마개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속마개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될 때까지 가압하여야 하므로 그 가압작동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상기 겉마개와 속마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대응되게 맞추어야 그 삽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작업성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겉마개의 내면으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탄력적으로 이격시키는 보스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는 더욱 복잡해 질 수 밖에 없음은 물론 용기 마개의 개방을 위해 겉마개를 가압시 상기 보스는 벌어져 압착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오랜 사용으로 그 기능을 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겉마개와 속마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호 맞물리게 되어 결국 열림방지 기능을 갖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 속마개와 겉마개의 내외주면에 상하로 대응 형성된 단일의 래칫구조에 의해 열기방지 기능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을 갖게 됨은 물론, 용기 마개를 닫을 때에 겉마개를 어느 정도 가압하여 지지하는 힘만으로 겉마개와 속마개를 동시 회전 개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겉마개와 속마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맞물리고 그 상하면이 밀착되어야만 하는 작동상의 불편함을 배제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이격을 위한 별도 구성이 배제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부주의와 호기심에 의한 용기 개방은 방지하면 서 사용자의 개방작동은 원활하도록 제공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암사가가 형성된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겉마개가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내외측 단부에 각각 분리 방지턱을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의 내,외주연에는 닫을 때에는 상호 맞물리고 여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되면서 공회전하는 래칫 톱니부를 상하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하고,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의 래칫 톱니부 사이는 상하로 상호 이탈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 공간부를 형성한 용기 마개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사가(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상기 속마개(10)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겉마개(20)가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내외측 단부에 각각 분리방지턱(12)(22)을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는 닫는 경우에는 상호 맞물려 동시에 작동하고 여는 경우에는 겉마개를 가압하여 상호 지지 상태로만 작동하도록 하는 열림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10)의 외주연과 겉마개(20)의 내주연에는 닫을 때에는 상호 맞물리고 여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되면서 공회전하도록 톱니(16)(26)를 형성한 래칫톱니부(15)(25)를 상하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톱니부(15)(25)사이는 상하로 상호 이탈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 공간 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 톱니부(15)(25)는 속마개 톱니(16)의 피치(P)보다 겉마개 톱니(26)의 피치(P')를 더 크게 형성하여 이룬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속마개와 겉마개의 내,외주면에 상하로 대응 형성된 단일의 래칫구조에 의해 열기방지 기능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사용자가 용기 마개를 여닫는 작동도 원활하고 제공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용기 마개를 닫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겉마개(2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겉마개(20)와 속마개(10)의 대응된 래칫톱니부(15)(25)의 톱니(16)(26)가 상호 맞물리면서 겉마개(20)와 속마개(10)가 동시에 회전하여 마개를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용기 마개를 여는 경우에는 두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어린이들이 부주의 호기심으로 상기 용기 마개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겉마개(2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겉마개(20)와 속마개(10)의 대응된 래칫 톱니부(15)(25)의 톱니(16)(26)가 상호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겉마개(20)가 작동공간부(30)에서 상승되어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마개는 개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용기 마개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겉마개(20)를 가압한 상태로 회전하므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겉마개(20)와 속마개(10)의 대응된 래칫톱니부(15)(25)의 톱니(16)(26)가 상호 슬라이딩되어 겉마개(20)가 상승하는 것을 겉마개(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억제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겉마개(20)와 속마개(10)의 톱니(16)(26)가 상호 지지되어 동시에 회전하면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겉마개(20)는 속마개(10)와 상호 래칫 톱니부(15)(25)가 상하로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작동 없이 단순히 겉마개(20)의 래칫 톱니부(25)가 속마개(10)의 래칫 톱니부(15)에서 슬라이딩 상승하려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로만 가압하여 회전하므로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작동이 원활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 톱니부(15)(25)에서 속마개 톱니(16)의 피치(P)보다 겉마개 톱니(26)의 피치(P')를 더 크게 형성하므로 상기 겉마개(20)의 래칫 톱니부(25)가 속마개(10)의 래칫 톱니부(15)에 완전 삽입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단순히 겉마개(20)를 회전하여 래칫 톱니부(25)가 속마개(10)의 래칫 톱니부(15)에서 슬라이딩 되는 작동이 더욱 원활하여 열기 방지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됨은 물론 겉마개(20)를 가압 회전하는 경우에도 적은 가압력으로 겉마개(20)와 속마개(10)의 래칫 톱니부(15)(25)가 밀착 지지되기 때문에 그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속마개와 겉마개의 내외주면에 상하로 대응 형성된 단일의 래칫구조에 의해 열기방지 기능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그 구조 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을 갖게 됨은 물론, 용기 마개를 닫을 때에 겉마개를 어느 정도 가압하여 지지하는 힘만으로 겉마개와 속마개를 동시 회전 개방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겉마개와 속마개의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맞물리고 그 상하면이 밀착되어야만 하는 작동상의 불편함을 배제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의 이격을 위한 별도 구성이 배제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부주의와 호기심에 의한 용기 개방은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개방작동은 원활하도록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암사가(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상기 속마개(10)에 회동가능케 결합된 겉마개(20)가 상호 이탈 방지하도록 내외측 단부에 각각 분리방지턱(12)(22)을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는 닫는 경우에는 상호 맞물려 동시에 작동하고 여는 경우에는 겉마개를 가압하여 상호 지지 상태로만 작동하도록 하는 열림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10)의 외주연과 겉마개(20)의 내주연에는 닫을 때에는 상호 맞물리고 여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되면서 공회전하도록 톱니(16)(26)를 형성한 래칫톱니부(15)(25)를 상하로 대응되게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톱니부(15)(25)사이는 상하로 상호 이탈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래칫 톱니부(15)(25)는 속마개 톱니(16)의 피치(P)보다 겉마개 톱니(26)의 피치(P')를 더 크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20050029534U 2005-10-18 2005-10-18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0405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34U KR200405460Y1 (ko) 2005-10-18 2005-10-18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534U KR200405460Y1 (ko) 2005-10-18 2005-10-18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60Y1 true KR200405460Y1 (ko) 2006-01-11

Family

ID=4175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534U KR200405460Y1 (ko) 2005-10-18 2005-10-18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9259A (zh) * 2011-04-14 2013-12-18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用于容器的密封装置
USD1014251S1 (en) 2019-06-03 2024-02-1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D1023755S1 (en) 2019-06-03 2024-04-2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9259A (zh) * 2011-04-14 2013-12-18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用于容器的密封装置
CN103459259B (zh) * 2011-04-14 2016-02-10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用于容器的密封装置及其组件
USD1014251S1 (en) 2019-06-03 2024-02-1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D1023755S1 (en) 2019-06-03 2024-04-2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US4807768A (en) Child resistant dispensing closure
KR200486058Y1 (ko) 다중 걸림구조를 가진 용기용 마개
US20150014269A1 (en) Senior friendly child resistant closure
KR200405460Y1 (ko) 열림 방지 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KR20120045267A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JP2007008553A (ja) 容器のキャップ
KR100580810B1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KR100913599B1 (ko) 위조방지용 마개
KR200385310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JP6635898B2 (ja) 安全キャップ
KR200385311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9990012295U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JP7202072B2 (ja) 封止装置
KR200445674Y1 (ko) 안전마개
KR200405461Y1 (ko) 액체 세제용 용기의 캡구조
KR200363554Y1 (ko) 용기마개 구조체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JP2019026304A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CN220077220U (zh) 储物瓶盖及包装瓶
JP2004149198A (ja) 計量可能な安全蓋体と該蓋体を装着した液体容器
KR200155212Y1 (ko) 용기 마개의 열림방지 구조
RU2791233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паковоч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