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49Y1 - 프레스펀칭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49Y1
KR200405449Y1 KR2020050029367U KR20050029367U KR200405449Y1 KR 200405449 Y1 KR200405449 Y1 KR 200405449Y1 KR 2020050029367 U KR2020050029367 U KR 2020050029367U KR 20050029367 U KR20050029367 U KR 20050029367U KR 200405449 Y1 KR200405449 Y1 KR 200405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hole
air
retainer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선
Original Assignee
(주) 부광테크
최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광테크, 최동선 filed Critical (주) 부광테크
Priority to KR2020050029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펀치홀이 형성되고, 이 펀치홀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작업 대상체를 가압하여 타발하는 펀치와; 펀치를 수용하며, 펀치의 펀치홀과 연통되도록 그 둘레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리네이너홀이 형성된 펀치 리테이너와; 펀치 리테이너의 리테니어홀에 결합되어, 펀치의 중공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펀치의 하단이 안착되며, 펀치의 타발로 발생된 스크랩이 상기 공기공급기에서 공급된 공기에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다이부시를 구비하는 프레스 펀칭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프레스 펀칭장치에 따르면, 타발시 발생되는 스크랩을 제거하여, 금형 및 패널 파손 등의 제품불량을 줄이며, 펀칭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피어스, 타발, 프레스, 펀치, 스크랩

Description

프레스펀칭장치{Press punching tool}
도 1은 종래의 스프링을 이용한 프레스펀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펀칭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스펀칭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펀치 리테이너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2에 도시된 공기공급기와 리테이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프레스 펀칭장치 110...펀치
111...펀치홀 112...중공부
113...스크류 플러그 120...펀치 리테이너
121...리테이너 홀 130...공기 공급기
140...다이부시 141...통공
150...오링 160...상형부
S...스크랩
본 고안은 프레스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펀치를 이용하여 작업대상체를 타발하는 프레스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펀치장치는 펀치(punch)라는 상판과 다이(Die)라는 하판 사이에 패널 혹은 제품을 넣고 가압하여 타발하는 장치로서, 자동차금형, 반도체금형 및 전자금형등 피어스를 요하는 공정에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프레스펀치의 경우 연속적인 타발에 따른 정전기 현상 및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타발시 발생된 스크랩의 취출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취출되지 못한 스크랩은 펀치 혹은 다이에 누적되어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 펀치 단면에 부착된 스크랩이 제품과 함께 찍혀 금형 및 패널을 파손시키는 등 제품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펀칭주변에 미세하게 잔존하는 스크랩은 금형의 정밀성을 떨어뜨려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둘째, 미취출 된 스크랩에 의한 장치의 마모 및 고장유발로 펀칭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셋째, 미취출 된 스크랩의 간섭현상으로 펀칭작업시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최근에는 스프링을 이용한 스크랩제거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
도 1은 종래의 스프링을 이용한 프레스펀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레스펀칭장치(10)는 펀치(1)와 다이부시(2)와 펀 치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3) 및 스프링(3) 하단과 연결된 핀(5)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스펀치(10)는, 펀치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3)의 탄성작용으로 핀(5)이 스크랩(S)을 밀어 다이부시(2) 하부의 통공(4)으로 스크랩(S)을 배출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크랩제거방법으로는, 핀(3)이 닿지 못하는 미세한 스크랩(S)의 제거가 힘들다. 또한 지속적인 타발작업으로 스프링(3)의 탄성복원력이 저하되어, 잦은 스프링(3) 및 장비의 교체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펀칭장치에 간단한 조작으로 금형 및 패널 파손등의 제품불량을 줄이고, 나아가 펀칭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더불어 안전사고 및 설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프레스펀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레스 펀칭장치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펀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홀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작업 대상체를 타발하는 펀치와; 상기 펀치를 수용하며, 상기 펀치의 펀치홀과 연통되도록 그 둘레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리네이너홀이 형성된 펀치 리테이너와; 상기 펀치 리테이너의 리테니 어홀에 결합되어, 상기 펀치의 중공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펀치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펀치의 타발로 발생된 스크랩이 상기 공기공급기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다이부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펀치 중공부로 공급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펀치 중공부 상단에 스크류 플러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공급기와 상기 리테이너홀의 결합부위 및 리테이너 하단부와 펀치의 결합부위에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기는, 공기공급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테이너 홀 중 선택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기는, 상기 리테이너홀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부시는, 통공일단에 스크랩 호스를 연결하여, 원하는 장소로 스크랩을 이동 및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펀칭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스 펀칭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펀치 리테이너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2에 도시된 공기공급기와 리테이너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프레스 펀칭장치(100)는 펀치의 상부를 이루며 펀치와 함께 하강하는 상형부(160)와 작업 대상체를 타발하는 펀치(110)와, 펀치를 수용하는 펀치 리테이너(120)와, 펀치(1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130)및 펀치(110)의 하단이 안착되며 하부에 통공(141)이 형성된 다이부시(140)를 구비한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펀치(110)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펀치홀(111)과 이 펀치홀(111)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의 중공부(112)가 형성된다. 타발작업을 위해 상기 펀치(110)가 하사점에 도달하면, 상기 펀치홀(111)로 유입된 공기는 펀치(110)의 중공부(112)로 이동하여 펀치(110)하단에 붙은 스크랩(S)을 밀어낸다. 공기에 의해 밀려난 스크랩(S)은 다이부시(140) 하부의 통공(14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다이부시(140) 주변부에 누적된 스크랩(S)은 물론 상기 펀치(110) 주변부의 미세한 스크랩(S)까지도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펀치(110)의 중공부(112) 상단에 스크류 플러그(113)를 더 구비하면, 펀치(110)의 중공부(112)로 공급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펀치 리테이너(120)는 상기 펀치(110)를 수용하며, 상기 펀치(110)의 펀치홀(111)과 연통되도록 그 둘레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리네이너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리테이너(120)는 타발시 펀치(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또한 펀치(110) 내부로 공기를 전달하는 통로의 기능을 한다.
또한, 공기공급기는(130) 상기 리테이너홀에 결합되어 상기 펀치(110)의 중공부(112)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공기공급기(130)는, 펀치(110)가 하사점에 도달될 때, 공기를 리테이너홀로 공급한다. 공급된 공기는 펀치홀(111)을 통과하여 펀치(110)의 중공부(112)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기(130)가 펀치(110)의 하사점 도달시 작동되는 원리는 펀치장치(100) 상단부의 하측면에 장착된 고정바가 다이부시(140)를 포함하는 펀치장치(100) 하단부의 상면에 장착된 레버를 누르는 원리에 의하며, 본 기술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에도 하사점 측정에 따라, 공기공급기(130)를 작동할 수 있는 원리이면 공지된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홀과 공기공급기(130)의 결합부위와, 리테이너(120) 하단부와 펀치(110)의 결합부위에 오링(150)을 삽입하면 공기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기(130)는 상기 리테이너(120)에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홀 중 선택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리테이너홀에 공기공급기(130)를 결합하 고, 나머지 홀을 폐쇄하여 공기공급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기(130)를 리테이너홀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고,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기(130)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면, 탈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펀치(111)에 붙은 스크랩(S)의 밀착력이 강할 경우, 다수의 공기공급기(130)을 작동시키고, 상대적으로 탈거가 용이한 스크랩(S)은 소수의 공기공급기(120)를 작동시킴으로서, 펀칭장치(100)운용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30)를 선택 작동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밸브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펀치(110)가 안착되는 다이부시(120)에는 통공(141)이 형성되며, 펀치(110)의 중공부(112)로부터 전달된 공기압에 의해 밀려난 스크랩(S)은 통공(141)으로 토출된다.
더불어, 다이부시(140)하부의 통공(141)에 스크랩 호스를 연결하면 취출된 스크랩(S)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랩(S)의 재활용 또한 용이하다.
본 고안의 프레스 펀칭장치에 따르면, 펀치 내부의 중공부에 공기를 유입하여, 스크랩을 취출함으로서 펀치 혹은 다이부시에 밀착된 스크랩에 의한 금형 및 패널파손의 문제를 예방하며, 특히 미세한 스크랩까지 제거함으로서 정밀한 금형의 제작이 가능해져,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나아가 펀칭장치의 마모 및 스크랩에 의한 고장을 막아, 펀칭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미취출된 스 크랩의 간섭현상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설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Claims (6)

  1.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펀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홀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작업 대상체를 타발하는 펀치와;
    상기 펀치를 수용하며, 상기 펀치홀과 연통되도록 그 둘레부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리네이너홀이 형성된 펀치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니어홀에 결합되어, 상기 펀치의 중공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및
    상기 펀치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펀치의 타발로 발생된 스크랩이 상기 공기공급기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통공이 형성된 다이부시를 구비하는 프레스 펀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중공부로 공급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펀치 중공부 상단에 스크류 플러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펀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공급기와 상기 리테이너홀의 결합부위 및 리테이너 하단부와 펀치의 결합부위에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 레스 펀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기는, 공기공급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테이너 홀 중 선택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펀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기는, 상기 리테이너홀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펀칭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부시는, 원하는 장소로 스크랩을 이동 및 저장하기 위해 통공 일단에 스크랩 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펀칭장치.
KR2020050029367U 2005-10-14 2005-10-14 프레스펀칭장치 KR200405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67U KR200405449Y1 (ko) 2005-10-14 2005-10-14 프레스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67U KR200405449Y1 (ko) 2005-10-14 2005-10-14 프레스펀칭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197A Division KR100674695B1 (ko) 2005-10-14 2005-10-14 프레스펀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49Y1 true KR200405449Y1 (ko) 2006-01-11

Family

ID=4175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67U KR200405449Y1 (ko) 2005-10-14 2005-10-14 프레스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355A (ko) * 2017-05-19 2017-05-26 아신유니텍 (주) 소형 자동차 부품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 및 그에 의한 소형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방법
CN113441509A (zh) * 2021-07-07 2021-09-28 格力电器(郑州)有限公司 一种废料自动分离装置
WO2021210760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스크랩 제거가 용이한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355A (ko) * 2017-05-19 2017-05-26 아신유니텍 (주) 소형 자동차 부품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 및 그에 의한 소형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195543B1 (ko) * 2017-05-19 2020-12-28 아신유니텍 (주) 소형 자동차 부품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 금형 및 그에 의한 소형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방법
WO2021210760A1 (ko) * 2020-04-17 2021-10-21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스크랩 제거가 용이한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KR20210128612A (ko) * 2020-04-17 2021-10-27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KR102364561B1 (ko) * 2020-04-17 2022-02-18 주식회사 동호에이텍 반도체 리드프레임 타발용 금형
CN113441509A (zh) * 2021-07-07 2021-09-28 格力电器(郑州)有限公司 一种废料自动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695B1 (ko) 프레스펀칭장치
JP4349762B2 (ja) 上型装置
US7159426B1 (en) Quick change assembly for hydroforming punches
US6442830B1 (en) Fastener installation assembly
KR200405449Y1 (ko) 프레스펀칭장치
US4257292A (en) Piercing units
KR20210033226A (ko) 프레스펀칭장치
US20100313725A1 (en) Puncher
KR20120009328A (ko) 플레이트 천공장치
CN214263514U (zh) 具有小空间使用的卸料机构的薄板工件冲压模具结构
CN211331187U (zh) 一种用于螺栓大头部内孔成型的热锻冲床
JP4822403B2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タッピング加工方法
JP3647483B2 (ja) パンチ金型
JP4804809B2 (ja) 成形金型
JP4273779B2 (ja) パンチプレス装置
CN205147096U (zh) 一种后桥方板落料-冲孔-压印复合模具
JP2002282963A (ja) パンチ金型
CN219520224U (zh) 五金冲压模内冲压机构
CN216027483U (zh) 适用于金属件刻印用模具调节结构
RU2019343C1 (ru) Штамп для вырубки
JPH10305326A (ja) 打抜き加工用上金型
CN211888759U (zh) 一种用于保护冲压模具的装置
CN218656318U (zh) 一种模具的切换机构及冲压模具
JPH11320000A (ja) プレス装置
KR19980064698U (ko) 펀치의 교환이 용이한 구조의 프레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