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460Y1 - 보풀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풀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460Y1
KR200404460Y1 KR20-2005-0024689U KR20050024689U KR200404460Y1 KR 200404460 Y1 KR200404460 Y1 KR 200404460Y1 KR 20050024689 U KR20050024689 U KR 20050024689U KR 200404460 Y1 KR200404460 Y1 KR 200404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ff
support shaft
bobbin
be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20-2005-0024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04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flyer typ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24Flyer or like arrangements
    • D01H7/26Flyer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털실을 이용하여 보풀을 제조함에 있어서 털실을 최종적으로 권취하는 보빈에 분리된 보풀 잔재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보풀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풀제조장치 { Apparatus for making nap }
본 고안은 보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털실을 이용하여 보풀을 제조함에 있어서 털실을 최종적으로 권취하는 보빈에 분리된 보풀 잔재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보풀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풀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풀제조장치는 심사(1)와 부사(2)를 밸트(3)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4)로 공급하여 나선상의 꼬임줄이 형성되게 하고, 그 꼬임줄을 하부에 배치되는 바인딩사(5)와 함께 가이드관(6)으로 진입시켜 하단에 플라이어(7)를 갖는 중공스핀들(8)을 밸트(9)에 의해 회전시켜 최종 꼬임줄이 이송롤러(10)에 의해 맨 하부에 있는 회전상의 보빈(11)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플라이어(7)와 이송롤러(10)의 사이에 별도의 보풀성형구(20)를 고정 설치하되, 보풀성형구(20)는, 선단이 만곡의 곡률로 확장되는 형태의 안치공(21)과, 그 안치공(21)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22)(22')으로 된 몸체(23)와, 상기 안치공(21)에 삽입되는 성형구(3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성형구(30)는 선단이 만곡의 곡률로 확장되는 상광하협상의 성형면(31)을 갖는 금속재 링으로 형성하되, 상기한 성형구(30)는 거친면을 갖는 석재블럭으로 형성하여 이에 의해 보풀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성형구(30)에 의해 자연스러운 보풀이 인위적으로 형성된 보풀모사를 대량으로 완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성형구(30)의 교체 사용에 의해 직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 및 보풀량을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한 종래의 보풀제조장치는, 전체적인 흐름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지게 때문에 상기 보풀성형구에 의해 발생되는 보풀의 잔재 또는 먼지 등이 아래로 떨어져, 최종 생산품인 보빈에 권취되는 털실뭉치에 달라붙게 되어 제품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4), 가이드관(6), 플라이어(7), 중공스핀들(8) 등 그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보풀성형구가 고정되어 있어서 청소하기가 곤란하며, 보풀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최종 생산품인 보빈에 권취되는 털실뭉치에 보풀 잔재 또는 먼지 등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보풀성형구의 청소가 용이하며, 보풀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실의 꼬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풀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보풀제조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에 의해 회전하고 중공의 형상을 갖는 플라이어와; 상기 플라이어를 감싸면서 장착되는 하부보빈과; 상기 플라이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보풀의 형성하는 보풀성형구와; 상기 보풀성형구에 의해 형성된 털실을 상부에서 권취하는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이어는, 원통형상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벨트접촉부와; 상기 중공관의 상부를 감싸면서 양측에 구멍이 형성된 분기부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분기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인접하게 두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중공관을 관통하여 나오는 제1실과 상기 하부보빈에 감겨있는 제2실이 각각 통과한다.
또한, 상기 보풀성형구는 제1지지축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추가 장착되며, 상기 추는 받침부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보풀성형구와 상기 상부보빈 사이에는 털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제2지지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지지축 또는 제2지지축에는 승강장치 장착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지지축 또는 제2지지축에 장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원통 형상의 수직하우징과; 상기 수직하우징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성형구 및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모터(미도시)와 벨트(200)와 플라이어(300)와 하부보빈(110)과 보풀성형구(400)와 가이드부재(500)와 상부보빈(700)과 승강장치(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라이어(3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풀제조장치의 맨 아래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벨트(200)에 의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벨트(200)에 의해 상기 플라이어(30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플라이어(300)는 원통형상의 중공관(310)과; 상기 중공관(310)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벨트(200)와 접촉하는 원통형상의 벨트접촉부(320)와; 상기 중공관(310)의 상부를 감싸면서 양측에 구멍(332)이 형성된 분기부(330)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분기부(3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인접하게 관통공(342)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수평판(34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라이어(300)는 벨트(200)에 의해 회전하고, 중공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벨트접촉부(32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보빈(11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보빈지지판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보빈지지판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보빈(110)이 상기 중공관(310)을 감싸면서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보빈(110)은 중공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2실(115)이 감겨져 있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제2실(115)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장착되어 있어, 전체적인 형상이 90도 회전된 'H'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보풀성형구(400)는 상기 플라이어(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보풀(120)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공(412)이 형성된 몸체(410)와, 상기 안치공(412)에 장착되고 석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중앙관통공(422)이 형성된 성형부(420)와, 상기 몸체(410)에 형성된 장공(4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부(420)의 중앙관통공(422)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풀성형구(400)는 가로로 길게 장착되는 제1지지축(460)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450)에 볼트 등의 일반적인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대(450)와 상기 보풀성형구(400)의 장공(414)을 체결한다.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상기 제1지지축(460)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풀성형구(40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어, 상기 보풀성형구(400)의 성형부(420) 등에 묻어 있는 보풀의 잔재 또는 먼지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축(460)에는 다수의 지지대(450)가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대(450)에는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450)의 하부에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45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452)는 받침부(45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추(452)에 의해 상기 보풀성형구(400)에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추(452)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보풀성형구(400)를 들었다가 내려놓을 때 상기 추(452)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신속히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풀성형구(400)를 올렸다 내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추(452)가 상기 받침부(454)에 지지되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보풀성형구(400)와 상기 상부보빈(700) 사이에서 제1실(100)과 제2실을 가이드하면서 하나로 뭉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일단에 구멍에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제2지지축(550)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보빈(700)은 상기 보풀성형구(400)에 의해 형성된 보풀이 형성된 털실을 최종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보빈(700)과 상기 가이드부재(500) 사이에는 롤(미도시)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보빈(700)에 의해 털실이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도 4에서 제1지지축(46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2지지축(550)에도 동일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상기 제1지지축(460) 또는/및 제2지지축(55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지지축(460) 또는/및 제2지지축(550)을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상기 제1지지축(460) 또는/및 제2지지축(550)에 장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원통 형상의 수직하우징(610)과; 상기 수직하우징(610)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축(620)과; 상기 수직축(620)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보풀제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먼저, 제1실(100)을 상기 플라이어(300)의 하부 즉, 상기 중공관(310)의 하부로 집어넣어 상기 중공관(310)을 관통하여 상기 분기부(330)에 형성된 구멍(332)을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분기부(330)의 구멍(332)을 통해 나온 제1실(100)은 다시 상기 수평판(340)의 관통공(342)을 통과하고, 상기 보풀성형구(400)의 성형부(420)의 중앙관통공(422)을 관통하여 위로 올라간다.
한편, 상기 하부보빈(110)에 감겨있는 상기 제2실(115)은 상기 수평판(340)의 다른 관통공(342)을 통과하여 상기 보풀성형구(400)의 성형부(420)의 중앙관통공(422)을 관통하여 위로 올라간다.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은 상기 가이드부재(500)를 통과하면서 하나로 뭉쳐지고, 이는 상기 상부보빈(700)에 의해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보빈(7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은 각각 상승하면서 상기 성형부(420)와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부(420)는 석재로 이루어졌는바, 상기 성형부(420)에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이 접촉하면서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에 각각 보풀(120)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판(340)의 관통공(3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부(420)의 중앙관통공(422)의 외주보다 더 외곽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플라이어(300)가 상기 벨트(20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판(340)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평판(340)의 관통공(342)을 관통하는 제1실(100)과 제2실(100)은 회전하면서 서로 꼬이게 되고 동시에 상기 성형부(420)와 접촉하게 되며, 접촉부위에 마찰이 발생하여 결국 보풀(120)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보빈(700)의 회전량을 일정하게하고 상기 벨트(200)를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면,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의 꼬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꼬임형상을 갖는 털실을 생산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크게 하면, 상기 플라이어(300)가 빨리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은 빨리 꼬이게 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작게 하면, 상기 플라이어(300)가 천천히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실(100)과 제2실(115)은 천천히 꼬이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500) 또는 상기 보풀성형구(400)를 상기 승강장치(600)를 이용하여 승강시키는데, 이는 상기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축(620)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수직축(620)과 나사산에 의해 치합되어 있는 상기 수직하우징(61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결국 상기 가이드부재(500) 또는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성형구(400)의 승강에 따라 털실과 성형부(420)의 접촉면을 나타낸 상태도로써, 도 5(a)는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상승한 상태이고, 도 5(b)는 보풀성형구(400)가 하강한 상태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일정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보풀성형구(400)를 상기 승강장치(600)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제1실(100)과 상기 성형부(420)의 접촉면이 많아져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상승된 상태보다 상기 제1실(100)에 보풀(120)을 많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500)의 승강에 따라 털실과 성형부(420)의 접촉면을 나타낸 상태도로써, 도 6(a)는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하강한 상태이고, 도 6(b)는 가이드부재(500)가 상승한 상태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풀성형구(400)가 일정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00)를 상기 승강장치(600)를 이용하여 상승시키면, 상기 제1실(100)과 상기 성형부(420)의 접촉면이 많아져 상기 가이드부재(500)가 하강된 상태보다 상기 제1실(100)에 보풀(120)을 많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풀성형구(400)와 가이드부재(500)를 상기 승강장치(600)를 이용하여 각각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실(100) 및 제2실(115)의 보풀량을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인 보풀제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보풀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래에서 위로 털실을 제조하여 권취함으로써, 상부보빈에 권취되는 최종 생산품에 보풀 잔재 또는 먼지 등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플라이어를, 중공관과 벨트접촉부와 분기부와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고 하나의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바 그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하부보빈을 장착하고 이를 수평판의 관통공을 통하도록 함으로써, 제1실과 제2실이 서로 꼬이도록 할 수 있고,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여 실의 꼬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꼬임 형상의 실을 제조할 수 있다.
셋째, 지지대에 추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추의 무게에 의해 보풀성형구가 상하로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승강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보풀성형구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승강시켜 털실에 형성되는 보풀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풀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성형구 및 승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풀성형구의 승강에 따라 털실과 성형부의 접촉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승강에 따라 털실과 성형부의 접촉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털실의 꼬임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실, 110 : 하부보빈,
115 : 제2실, 120 : 보풀,
200 : 벨트, 300 : 플라이어,
310 : 중공관, 320 : 벨트접촉부,
330 : 분기부, 332 : 구멍,
340 : 수평판, 342 : 관통공,
400 : 보풀성형구, 410 : 몸체,
412 : 안치공, 414 : 장공,
420 : 성형부, 422 : 중앙관통공,
450 : 지지대, 452 : 추,
454 : 받침부, 460 : 제1지지축,
500 : 가이드부재, 550 : 제2지지축,
600 : 승강장치, 610 : 수직하우징,
620 : 수직축, 700 : 상부보빈.

Claims (4)

  1. 모터와;
    상기 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에 의해 회전하고 중공의 형상을 갖는 플라이어와;
    상기 플라이어를 감싸면서 장착되는 하부보빈과;
    상기 플라이어의 상부에 배치되어 보풀의 형성하는 보풀성형구와;
    상기 보풀성형구에 의해 형성된 털실을 상부에서 권취하는 상부보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어는,
    원통형상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의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벨트접촉부와;
    상기 중공관의 상부를 감싸면서 양측에 구멍이 형성된 분기부와;
    원판형상으로 상기 분기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외주면에 인접하게 두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중공관을 관통하여 나오는 제1실과 상기 하부보빈에 감겨있는 제2실이 각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풀성형구는 제1지지축을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추가 장착되며,
    상기 추는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풀성형구와 상기 보빈 사이에는 털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제2지지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지지축 또는 제2지지축에는 승강장치 장착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지지축 또는 제2지지축에 장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원통 형상의 수직하우징과;
    상기 수직하우징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동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제조장치.
KR20-2005-0024689U 2005-08-26 2005-08-26 보풀제조장치 KR200404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89U KR200404460Y1 (ko) 2005-08-26 2005-08-26 보풀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89U KR200404460Y1 (ko) 2005-08-26 2005-08-26 보풀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460Y1 true KR200404460Y1 (ko) 2005-12-23

Family

ID=3900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89U KR200404460Y1 (ko) 2005-08-26 2005-08-26 보풀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4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93B1 (ko) 2005-11-14 2006-12-15 (주)덕계텍스타일 화학 성형사의 보풀 형성장치
KR101695602B1 (ko) * 2016-09-07 2017-01-11 백종국 기모 간격 조정 기능을 갖는 기모장치
KR101726565B1 (ko) * 2016-08-30 2017-04-13 이규창 화학 섬유사 기모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93B1 (ko) 2005-11-14 2006-12-15 (주)덕계텍스타일 화학 성형사의 보풀 형성장치
KR101726565B1 (ko) * 2016-08-30 2017-04-13 이규창 화학 섬유사 기모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695602B1 (ko) * 2016-09-07 2017-01-11 백종국 기모 간격 조정 기능을 갖는 기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460Y1 (ko) 보풀제조장치
KR200404459Y1 (ko) 보풀제조장치
CN107473004A (zh) 一种生产包芯纱的自动络筒机
CN117139143A (zh) 一种用于3d打印的金属粉末制造筛分装置
CN219025447U (zh) 一种床垫弹簧加工用自动穿簧机钢丝架
CN208899065U (zh) 一种倍捻机导纱装置
CN101988227A (zh) 立式氨纶整经机的人字筘自动升降装置
CN111137740A (zh) 一种提升式缆线架
CN212270376U (zh) 一种编织机线筒固定装置
CN209922605U (zh) 一种双向调节电缆架
CN208948543U (zh) 一种大拉梅花收线紧密排线装置
CN114180405A (zh) 一种漆包线生产线
CN207986354U (zh) 一种放线盘
CN207646341U (zh) 一种自动缫丝机新茧防空斗装置
CN208250533U (zh) 一种储纬器绕纱装置
CN207918147U (zh) 一种机械类上料装置
CN110453387A (zh) 一种缝纫机用放线装置
CN217577738U (zh) 一种内芯线放置工装
CN214779945U (zh) 一种镀银尼龙长丝卷绕成形自动化设备
CN217733395U (zh) 一种新型雪尼尔回转座
CN218403137U (zh) 一种摇盘机直接成线装置
JP2552563B2 (ja) 精穀装置
CN219971441U (zh) 一种纺织纱线用络纱机
CN111908248B (zh) 一种精准导向的纺织用放线架
CN209323089U (zh) 一种喷水纺织机的锭架自定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