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405Y1 - 의자용 허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허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405Y1
KR200404405Y1 KR20-2005-0027322U KR20050027322U KR200404405Y1 KR 200404405 Y1 KR200404405 Y1 KR 200404405Y1 KR 20050027322 U KR20050027322 U KR 20050027322U KR 200404405 Y1 KR200404405 Y1 KR 200404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waist
projection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수
Original Assignee
부호체어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호체어원(주) filed Critical 부호체어원(주)
Priority to KR20-2005-0027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4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허리받침대의 상호 대향하는 복수개 위치에 각각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지지대 중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와 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다른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를 스프링을 개입시켜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지지대와 회전 부재의 중공부로 축핀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돌기와 돌기가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후퇴하고 돌기와 홈이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전진하도록 하여 허리받침대가 회전되도록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몸을 움직임에 따라 허리받침대도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허리받침대{Waist supporting unit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받침대가 전/후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하 유동되도록 하되 등판과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기 위하여 허리가 위치되는 부분에 쿠션을 돌출시켜서 허리를 받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허리받침은 돌출위치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 20-2004-0036481호에 허리받침대를 등받이와 결합된 지지대에 나사결합시켜 조절손잡이를 돌려서 전/후진하도록 하는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후진 가능한 의자의 경우 허리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한 후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허리 받침대의 각은 그대로인데 비하여 등받이는 좌판 연결부위를 주심으로 기울어지므로 허리 받침대의 상부와 등받이 사이가 벌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는 허리받침에 닿게 되나 등은 등받이에 닿지않게 되고 등이 등받이에 닿을 경우에 허리가 너무 돌출되므로 착석이 매우 불편하였고, 이런 자세를 오래 유지할 경우 사용자의 몸에 무리가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허리받침대가 전/후 이동되면서 상/하 유동 되도록 하되 등판과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편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허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상호 대향하는 복수개 위치에 각각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지지대 중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와 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다른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를 스프링을 개입시켜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지지대와 회전 부재의 중공부로 축핀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돌기와 돌기가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후퇴하고 돌기와 홈이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전진하도록 하여 허리받침대가 회전되도록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에 있다.
또한, 상기한 등받이에는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중공부로는 핸들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핸들과 나사결합되어 전후진 하는 조절부에 돌기와 홈이 형성된 지지대를 설치하여, 허리받침대가 전/후진함과 아울러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등받이와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및 도 3b는 회전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받침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등받이(10)에 고정되는 가이드(20), 상기 가이드(20)의 중공부(22)로 삽입되어 중공부(22) 내부에서 공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핸들(30), 상기 핸들(30)과 나사결합되고 가이드(20)의 레일(미도시)과 맞물리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핸들(30)의 회전에 따라 레일을 타고 전후진하는 조절부(40), 상기 조절부(40)에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허리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허리받침대(50)와 조절부(40)의 결합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한 조절부(40)의 허리받침대(50) 측 종단에는 내주에 중공부(42)가 형성되고 양측종단에는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돌기(44)와 홈(45)이 배열 형성된 지지대(48)가 수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허리받침대(50)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대(48)의 길이보다 다소 이격되게 복수개의 다른 지지대(5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2)에는 내주에 고정 돌기(56)가 돌출형성된 중공부(5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조절부(40)의 돌기(44)와 홈(45)에 대응되는 다른 돌기(64)와 홈(65)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중공부(58)의 고정돌기(56)와 맞물리는 다른 고정 돌기(66)가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 부재(60)가 상기 조절부(40)의 지지대(48)와 허리받침대(50)의 지지대(52)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60)에는 지지대(48)의 중공부(42)와 대응되는 다른 중공부(62)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62)의 외향 종단으로는 스프링(70)이 삽입되는 삽입홈(69)이 더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대(48)와 회전 부재(60) 및 지지대(52)의 중공부(42)(62)와 중공부(58)를 동심 상으로 배치한 후, 중공부(42)(62)와 중공부(58)의 내주로 축핀(80)을 삽입하고, 상기 축핀(80)의 양측 외주로는 스프링(70)을 삽입하여 삽입홈(69)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축핀(80)은 지지대(52)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체결수단(90)과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허리받침대(50)를 회전시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44)와 돌기(64)가 맞닿을 때는 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회전 부재(60)가 후퇴하게 되고, 허리받침대(50)를 미세하게 더 돌릴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70)이 신장되면서 돌기(44)와 홈(65)이 맞물리게 되어 상기 허리받침대(50)는 돌기(44)(64)와 홈(45)(65)의 각만큼 단계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석한 채로 몸을 뒤고 젖히면 상기한 허리받침대는 등받이와 함께 뒤로 밀려나면서 허리받침대의 각이 몸의 젖혀짐 정도에 따라 회전되므로, 의자의 착석자세가 편안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등받이와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및 도 3b는 회전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등받이 20 : 가이드
30 : 핸들 40 : 조절부
50 : 허리받침대 48 : 지지대
60 : 회전부재 44, 64 : 돌기
45, 65 : 홈 70 : 스프링
80 : 축핀 90 : 체결수단

Claims (2)

  1. 허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상호 대향하는 복수개 위치에 각각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허리받침대와 등받이의 지지대 중 일측에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와 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다른 중공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를 스프링을 개입시켜 전/후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지지대와 회전 부재의 중공부로 축핀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돌기와 돌기가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후퇴하고 돌기와 홈이 맞닿을 때는 회전 부재가 전진하도록 하여 허리받침대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등받이에는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중공부로는 핸들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핸들과 나사결합되어 전후진하는 조절부의 종단에 수평으로 지지대를 형성하고 그 양종단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상기한 등받이와 허리받침대의 지지대, 회전 부재 및 스프링의 내부로 축핀을 삽입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2005-0027322U 2005-09-22 2005-09-22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0404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22U KR200404405Y1 (ko) 2005-09-22 2005-09-22 의자용 허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22U KR200404405Y1 (ko) 2005-09-22 2005-09-22 의자용 허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405Y1 true KR200404405Y1 (ko) 2005-12-22

Family

ID=3900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22U KR200404405Y1 (ko) 2005-09-22 2005-09-22 의자용 허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4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7536B2 (ja) 椅子
US7370910B2 (en) Chair with a writing tablet
KR101355473B1 (ko) 회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100106677A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145803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0440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190135813A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10609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385118Y1 (ko)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레인지 조절장치
CN108294516A (zh) 一种办公椅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JP4383907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7307537B2 (ja) 椅子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JP5177719B1 (ja) 角度調整具
JP2007151738A (ja) 椅子
KR200422115Y1 (ko) 수평회동 가능한 의자용 팔걸이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KR200382955Y1 (ko) 의자의 등받이 연결구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CN220458982U (zh) 一种座椅扶手
JP4387805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EP2908695B1 (en) Tension adjust device for a chair and chair
KR1022848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CN212815290U (zh) 会议椅及其靠背倾仰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