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391Y1 - 콧속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콧속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391Y1
KR200404391Y1 KR20-2005-0024243U KR20050024243U KR200404391Y1 KR 200404391 Y1 KR200404391 Y1 KR 200404391Y1 KR 20050024243 U KR20050024243 U KR 20050024243U KR 200404391 Y1 KR200404391 Y1 KR 200404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purifier
air purifier
nostr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학
Original Assignee
윤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학 filed Critical 윤주학
Priority to KR20-2005-0024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콧속에 장치하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비강의 가장 협소한 부분인 비역으로부터 외비공 입구까지 비전정(코안뜰)의 형상에 맞는 공기정화 필터가 내장되고 공간 통로를 갖춘 타원형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호기(날숨) 시에는 공간 통로를 이용하고 흡기 시에는 공기정화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공기정화기로서,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공기 중의 미세분진, 미생물, 항산화물, 꽃가루, 매연, 진드기, 유해가스 및 악취 등을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고 다양한 향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콧속 공기정화기{Air filter in the nose}
본 고안은 콧속에 삽입 장치하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정화용 필터가 비강의 입구인 비전정의 구조에 맞추어 상부의 외경보다 하부의 외경이 큰 타원형 원통의 형태를 갖추며, 내부에는 상하로 타원형의 공간통로가 형성되고 공간통로의 하부에는 공기정화 필터를 지지하는 부재가 부착되며 그 부재의 하부 외측에는 공간통로를 밀폐하는 얇은 고무막이 일부 접착방식으로 부재에 접착되어 있어, 호기 호흡시에는 고무막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통로로 공기가 방출되고 흡기 호흡시에는 고무막이 공간통로를 밀폐하고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하여 정화되어 체내에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와 유해물질의 유입차단을 목적으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도구로는 마스크나 콧속에 삽입하는 형태가 있는데, 마스크의 경우에는 일반용은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특수용은 작업장에서나 사용될 수 있을 뿐이며 마스크가 근본적으로 얼굴을 가리고 미관을 해치는 한편, 종래의 코마개는 비강 속으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주안을 두었기 때문에 비전정의 형태와 비점막 보호, 자연스러운 호흡 보장, 비강의 발성 공명기능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원기둥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비강의 비전정 부근에 이물감을 주고, 통증을 유발하고, 피부점막을 손상시키고 비모와 피지선 및 한선의 기능을 억제하며, 호흡을 부자연스럽게 하여 호흡량 감소에 따른 피로를 유발시키고 비강의 중요한 통로인 비전정을 밀폐시킴으로써 음성을 변조(코 막힌 음성)시키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갈수록 증가하는 매연, 분진, 미생물 그리고 기타 유해물질 등의 위협에 효과적인 대응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정화용 필터가 비강의 입구인 비전정의 구조에 맞추어 상부의 외경보다 하부의 외경이 큰 타원형 원통의 형태를 갖추며, 그 내부에는 비강의 가장 협소한 통로인 비역의 단면적과 비슷한 크기의 타원형의 공간통로가 형성되고 공간통로의 하부에는 필터를 지지하는 부재가 부착되며 그 부재의 하부 외측에는 공간통로를 밀폐하는 얇은 고무막이 일부 접착방식으로 부재에 접착되어 있어, 흡기 호흡시에는 고무막이 공간통로를 밀폐하고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하여 정화되어 체내에 흡입되도록 하면서 공기의 정화가 불필요한 호기 호흡시에는 고무막이 개방되어 비역의 단면적과 비슷한 공간통로로 공기가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호기 호흡을 매우 편리하게 한다.
공기정화기에 내장된 필터는 요망하는 정화능력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그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삽입된 공기정화기에 의한 비전정 내의 피부점막, 비모, 피지선 및 한선의 기능 억제를 최소화함은 물론 중앙의 공간통로와 더불어 비전정의 주요 기능 중의 하나인 발성 공명을 원활히 해준다.
또한 필터의 신축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외피는 부드럽고 흡습성을 갖춘 피부친화성 재료로 라운드형의 외형과 그물망이나 돌기 형태의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삽입에 따른 불편을 덜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공기정화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비중격 말단부인 비교에 걸칠 수 있는 연결 부재를 갖추거나 영구자석을 부착한다.
본 고안의 공기정화 필터가 내장된 콧속 공기정화기는 비강의 입구인 비전정에 삽입되는 상부의 외경보다 하부의 외경이 크고 내부에는 상하로 타원형의 공간통로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의 타원형 원통의 형태를 갖추고 내부 공간통로의 하부에는 공기정화 필터를 지지하는 부재가 부착되며 그 부재의 하부 외측에는 공간통로를 밀폐하는 얇은 고무막이 일부 접착방식으로 부재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콧속 공기정화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콧속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공기정화기(이하 "정화기"라 한다) 중 우측 콧구멍에 삽입되는 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 3, 4, 5는 각각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 2,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정화 필터(7)가 내장된 정화기(6)는 콧속의 비전정(nasal vestibule)(1)의 형태에 적합하게 콧속에 먼저 삽입되는 상부의 외경(바깥 지름)은 작고 하부의 외경은 크며, 호기(날숨) 호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지도록 정화기 내부의 상하로 관통하는 호기 호흡용 공간통로(10)의 타원형 단면적은 비강(콧속)에서 가장 좁은 통로인 비역(limen nasi)(2)의 단면적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하고, 공간통로(10)의 하부에는 격자무늬로 된 타원형 지지부(8)가 횡으로 부착되고 그 외측에는 공간통로(10)를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의 방독면 코틀막과 같은 재질의 얇은 고무막(9)이 부착된다. 고무막(9)은 정화기를 콧속에 삽입했을 때에 콧등(15)을 향하는 타원형 지지부의 상부 틀에 일부접착방식으로 부착되어 호기 호흡시에는 도 7b와 같이 지지부 틀에 상부가 접착된 고무막(9)이 외측으로 충분히 개방되지만 흡기(들숨) 호흡시에는 도 7a와 같이 고무막(9)이 공간 통로를 밀폐하므로 외부의 공기는 필터(7)를 통과하여 정화된 상태로 체내에 흡입된다.
공기의 흐름에서 보면 본 정화기(6)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정화기(6)의 길이 곧 필터(7)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과형 공기정화기의 필터두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는 공기정화의 범위와 질적 수준 등 정화능력과 관련되는 반면에, 본 정화기(6)의 횡 방향이 되는 필터(7)의 두께는 통상적인 여과형 공기정화기의 필터의 면적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는 공기정화용량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본 정화기가 인체의 콧속에 삽입되어 호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바는 점을 고려할 때에 정화기(6)의 상하 길이는 흡기 호흡시 필터(7)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능력 범위 내에서 필터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정화기에 의해 비전정(1) 내의 피부점막, 비모(코털), 피지선 및 한선 등의 생리적 기능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코의 발성 공명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며, 정화기의 두께는 호기 호흡시 이용되는 공간통로(10)의 단면적과 직접 관련되므로 역시 흡기 호흡시의 공기정화용량을 고려하면서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호기 호흡이 원활하고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화기의 용도에 따라 오염물질여과에 적합한 종류와 규격의 필터가 표면필터 또는 심층필터의 단일 또는 복합형태 등으로 본 정화기의 재료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정화기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호기 호흡의 공간통로를 확보해 주고 고무막을 지탱해 주는 기능을 하는 타원형의 지지부 틀(8)은 외측에 부착된 고무막(9)이 흡기 호흡시에 정화기의 공간통로로 빨려들어감이 없이 통로를 완전 밀폐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격자(11)의 강도와 간격 그리고 고무막(9)과의 밀착이 유지되어야 하는 한편, 타원형의 지지부 틀(8)이 견고하게 부착되기 위해 필터(7)와 접착되는 면은 도 10과 같이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호기 호흡시의 공기 방출 흐름에 저항을 주지않도록 필터(7)와 접착되는 부분이 최소한으로 돌출되면서 라운드형이 되고 지지부의 격자(11)는 가늘어야 한다.
내부공기의 방출은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공기의 진입은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무막(9)은, 흡기 호흡시에는 외부공기가 공간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타원형 지지부 틀(8)에 밀착될 수 있고, 호기 호흡시에는 최대한 개방됨으로써 공기의 방출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않도록 고무막(9)의 상부 일부분만이 지지부 틀(8)에 접착고정되어야 하며,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외부 공기에 의한 오염이나 손상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또한 흡기 호흡시 필터 내에 진입한 외부공기가 충분히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도중에 정화기의 측방이나 내부의 공간통로로 누출되지 않도록 공기정화에 필요한 최소 길이만큼 비전정의 피부와 접촉되는 정화기의 외피를 그물망이나 돌기 형태로 된 무해하고 흡습성과 통기성을 갖춘 피부친화성 재료로 감싸주며 공간통로의 지지부의 타원형 틀(8)로부터 그 길이만큼의 필터를 부재로 감싸준다.
호기 호흡시에 정화기의 저항으로 인해 불편하거나 정화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역(2) 방향의 정화기 말단을 유선형으로 하며, 흡기 호흡시 외부 공기의 진입 면적을 최대로 하고 정화기 노출에 따른 미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화기 하부의 표면이 공간통로를 향해 포물선의 형태가 되고 정화기와 피부와의 접촉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정화기의 외부형태를 라운드형으로 형성한다.
양측 비전정의 간격을 이루는 비중격(nasal septum)(3)의 좁은 부분(12)과 비익(콧날개)(4)의 볼록한 부분의 형태에 맞추어 정화기가 형성되고 필터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정화기는 적절히 고정되지만,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비중격(3)의 하부 말단인 비교(nasal columella)(5)를 중심으로 좌우의 정화기를 연결하거나 좌우 각각으로 비익(콧날개)(4)에 고정할 수 있는 탄성체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좌우 정화기가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비중격(3) 쪽에 접촉되는 정화기 몸체의 측면에 영구자석을 부착 또는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쪽 정화기를 연결하거나 각각으로 비익(4)에 고정하는 부재의 말단에 호리병 형태의 미세한 홈을 형성하고 거기에 약물질과 향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코막힘을 해소하고 기분을 전환하거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등 건강 증진과 특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아무런 고정부재 없이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정화기 몸체의 하부 지지부 틀 주변에 향기를 함유하는 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다.
본 정화기의 기본원리를 이용하면서 본 정화기의 형태와는 반대로 중심부에 필터를 충전하고 호기 호흡용 공간을 필터의 외부 둘레에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비전정 피부와 접촉되는 외피는 그물망 형태로 하고 외피와 내부 필터를 지지하는 부재를 형성하고 고무막은 몇 개로 나누어져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콧속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집진 효율이 탁월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미세분진, 미생물, 꽃가루, 항산화물, 매연, 진드기, 유해가스 및 악취 등을 여과할 수 있어 이들로 인한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의 콧속 공기정화기는 비전정 구조에 적합하고 호기와 흡기 호흡통로를 구분하고 공간통로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길이가 짧고 라운드형의 피부친화성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정화기 삽입 이후에도 비전정 내의 비모, 피지선과 한선의 기능을 유지시켜 주고 피부점막의 손상을 감소시켜 주며, 호흡이 용이하여 폐의 부담과 피로가 적고 삽입에 따른 불편감이나 이물감이 해소되어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콧속 공기정화기는 비전정의 주요 기능 중의 하나인 발성 공명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종래의 코마개나 마스크 착용시의 발성변조(코막힌 음성)를 방지할 수 있어 정상적인 대화가 가능하며,공기정화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마스크와 같이 얼굴을 가리거나 정화기의 노출에 의한 미관 저해와 코의 변형 우려가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콧속 공기정화기는 연결 부재와 소형 부착물 그리고 몸체에 다양한 약물질과 향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코막힘을 해소하고 기분을 전환하거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콧속 공기정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콧속 공기정화기의 평면도
도 3은 콧속 공기정화기의 정면도
도 4는 콧속 공기정화기의 우측면도
도 5는 콧속 공기정화기의 배면도
도 6은 콧속 공기정화기의 절단선 AA의 단면도
도 7a는 콧속 공기정화기의 절단선 BB의 단면도 및 흡기 호흡시의 공기 흐 름도
도 7b는 호기 호흡 시의 공기 흐름도
도 8은 콧속에 장치된 공기정화기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콧속에 장치된 공기정화기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지지부 주변의 확대도

Claims (10)

  1. 공기정화 필터로 형성된 콧속 삽입용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비전정(nasal vestibule)의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공기정화 필터가 내장되고 콧속에 먼저 삽입되는 상부의 외경은 작고 하부의 외경은 큰 타원형 단면의 원통체로서 내부의 상하로 관통하는 타원형 단면의 공간통로의 단면적은 비역(limen nasi)의 단면적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되고 공간통로의 하부에는 격자무늬로 된 타원형 지지부가 횡으로 부착되며, 그 외측에는 호기 호흡시에는 개방되고 흡기 호흡시에는 공간통로를 밀폐하는 방독면 코틀막과 같은 재질의 얇은 고무막이 정화기를 콧속에 삽입했을 때에 콧등을 향하는 타원형 지지부의 상부 틀에 일부접착방식으로 부착되며, 타원형의 지지부 틀은 흡기 호흡시에 고무막이 정화기의 공간통로로 빨려들어가지 않고 통로를 완전 밀폐하도록 격자의 강도와 간격 그리고 고무막과의 밀착이 유지되며, 호기 호흡시 공기의 방출 흐름에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지지부의 격자가 가늘고 필터와 부착되는 형 단면형태의 타원형 지지부 틀은 최소한으로 돌출되면서 라운드형이 되고, 고무막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외부의 오염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되고 공기정화기의 상하 방향의 필터의 길이와 횡방향의 두께는 공기정화의 질적 수준 및 정화능력을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짧게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화기의 측면이나 내부의 공간통로로 누출되지 않도록 측면에는 공기정화에 필요한 최소 길이만큼 비전정의 피부와 접촉되는 정화기의 외피를 그물망이나 돌기 형태로 된 무해하고 흡습성과 통기성을 갖춘 피부친화성 재료로 감싸주며, 내측에는 공간통로의 지지부의 타원형 틀로부터 공기정화에 필요한 최소 길이만큼의 필터를 부재로 감싸주며. 정화기의 비역 방향 말단은 유선형이고 정화기 하부의 표면은 공간통로를 향해 포물선의 곡면형태이고 정화기의 전체적인 외부형태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며, 비중격(nasal septum)의 좁은 부분과 비익(콧날개)의 볼록한 부분의 형태에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속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정화기의 필터와 공간통로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중심부에 필터가 충전되고 호기 호흡용 공간통로가 필터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고 정화기의 하부와 상부에서 격자무늬 타원형 지지부 틀이 필터와 정화기 외피를 지지하며 하부의 지지부 틀에 부착된 고무막은 수 개로 나누어지고 비전정 피부와 접촉되는 외피는 그물망 형태인 콧속 공기정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좌우의 공기정화기를 연결하는 부재를 갖춘 콧속 공기정화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좌우의 공기정화기를 각각으로 비익과 고정하는 부재를 갖춘 콧속 공기정화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부재의 말단부분에 약물질이나 향기를 저장 함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콧속 공기정화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터 내에 약물질이나 향기를 함유하는 콧속 공기정화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터가 표면 필터인 콧속 공기정화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터가 심층필터인 콧속 공기정화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터가 다중으로 형성된 콧속 공기정화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 없이 공기정화기 몸체의 측면 비중격 접촉 부분에 영구자석이 내장된 콧속 공기정화기
KR20-2005-0024243U 2005-08-23 2005-08-23 콧속 공기정화기 KR200404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243U KR200404391Y1 (ko) 2005-08-23 2005-08-23 콧속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243U KR200404391Y1 (ko) 2005-08-23 2005-08-23 콧속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391Y1 true KR200404391Y1 (ko) 2005-12-22

Family

ID=3900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243U KR200404391Y1 (ko) 2005-08-23 2005-08-23 콧속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3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735B2 (en) Nose filter
US4549543A (en) Air filtering face mask
US20170065838A1 (en) Filtering facemask holder
KR102583240B1 (ko) 비강 장치
RU2007125634A (ru) Дыха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TWI552784B (zh) 具過濾匣的鼻罩式呼吸防護具
US20040211425A1 (en) Nasal mask
KR101505648B1 (ko) 코 마스크
CN210044718U (zh) 鼻塞式呼吸器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CN111346313A (zh) 一种可拆卸的消毒逆止阀及其在口罩上的应用
JP2002345985A (ja) 鼻呼吸マスク
KR200285213Y1 (ko) 삽입형 간이 마스크 장치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US20050034722A1 (en) Cough-a-lizer
KR200404391Y1 (ko) 콧속 공기정화기
KR20040107333A (ko)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CN212368374U (zh) 一种呼吸式防雾、杀菌、防交叉感染多功能口罩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JP6770223B1 (ja) 鼻孔マスク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KR102104886B1 (ko)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JP2021184781A (ja) 鼻孔マスク
WO2019232914A1 (zh) 易排出呼出气体的防护面罩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