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335Y1 -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335Y1
KR200404335Y1 KR20-2005-0027272U KR20050027272U KR200404335Y1 KR 200404335 Y1 KR200404335 Y1 KR 200404335Y1 KR 20050027272 U KR20050027272 U KR 20050027272U KR 200404335 Y1 KR200404335 Y1 KR 200404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bsorbing
cylindrical body
housing
bulb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성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성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성조명
Priority to KR20-2005-0027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3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21V19/006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spring-mounted contact plate in a bayonet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구를 견고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전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VIBRATION ABSORPTION APPARATUS FOR LIGHT LAMP}
본 고안은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구를 견고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전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명램프용 실링장치로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등록개번호 제20-0241802호(등록일자 ; 2002년 07월 27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의 등록개번호 제20-0241802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명램프용 실링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전구(100)를 취부하는 케이스(10)의 형상은 내측 외주면에 반사갓(11)이 구비되고, 중앙에는 조립구멍(14)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 일측에는 체결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구멍(14)에는 상부가 트여지게 형성되고, 저면에는 고정수단(70)에 의해 상기 체결구멍(13)에 결합되는 고정구멍(21)이 형성되며, 주연부에 단속턱(23)이 형성된 지지관(20)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20)은 케이스(10)의 내측부에 위치되는 전구(100)를 견고하게 케이스(1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 및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지지관(2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상부는 호퍼형상을 이루며,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수납실(24)이 형성되며, 하판 중앙에는 전구(100)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조립구멍(14)에 호퍼형상의 지지관(20)을 안착시킨 후 고정수단(70)을 통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0)의 내측에는 상부에 전구(100)가 체결되는 소켓(41)이 설치된 지지부재(40)가 위치된다.
상기 지지관(20)의 상부 중심에 위치하는 지지부재(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는 끼움구멍(50)이 형성되고, 주름부(51)가 형성된 완충부재(52)가 상기 지지부재(4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주름부(51)는 소켓부(4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몸체를 여러번 절곡시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52)는 몸체에 주름부(5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열에 강한 열경화성 실리콘재를 적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부재(40)의 상부에는 하부에 삽입홈(6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전구(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이드(62)가 형성된 실링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60)는 전구(100)가 상기 지지부재(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41)에 설치될 경우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61)을 지지부재(40)의 상부측 단부에 삽입한 후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62)를 전구(10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케이스(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나 물기가 전구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램프용 실링장치는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10)내부로 습기나 또는 물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교량 등의 가로등 또는 투광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없어 진동에 의해 소켓으로부터 전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켓으로부터 전구가 이탈됨에 따라 빈번하게 전구가 파손됨과 동시에, 전구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구를 견고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전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 또는 투광기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가장자리에 원형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소켓을 수용해서 지지하는 하우징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중앙에 소켓이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관통공을 이루는 보스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개의 연결편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보스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원통체를 가진 제1 진동흡수부재와,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전구의 기단부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의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하는 제1 원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제1 원통체의 기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개의 연결편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1 원통체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제2 원통체를 가진 제2 진동흡수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해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의 제2 원통체의 선단부에 당접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위치이탈 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는 전구(20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부호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가장자리에 원형형상의 플랜지부(204)가 형성되며 소켓(206)을 수용해서 지지하는 하우징(200)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중앙에 소켓(206)이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관통공(212a)을 이루는 보스(2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보스(212)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연결편(214)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보스(212)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원통체(216)를 가진 제1 진동흡수부재(210)와,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전구(202)의 기단부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206)의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하는 제1 원통체(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하우징(200)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제1 원통체(222)의 기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개의 연결편(224)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1 원통체(222)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제2 원통체(226)를 가진 제2 진동흡수부재(220)와,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해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선단부에 당접되어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위치이탈 방지부재(2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진동흡수부재(210,220)는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합성고무를 포함한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204a는 도시하지 않은 전등커버를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플랜지부(204)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204b는 전구보호커버(240)의 선회를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플랜지부(20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토퍼이고, 260은 상기 전구(202) 또는 전구(232)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이드 와이어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구(202)의 기단부를 소켓(206)에 나합시켜서 결합하여 상기 전구(202)를 소켓(20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1 원통체(222)에 형성된 관통공(222a)의 선단부(도 3에서 좌측)에서 상기 관통공(222a) 내로 소켓(206)쪽을 밀어넣으면, 상기 전구(202)의 기단부가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1 원통체(222)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원통체(222)의 내측 기단부가 상기 소켓(206)의 선단부 외주면(상기 전구(202)가 결합되는 쪽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한다.
다음에,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의 보스(212)에 형성된 관통공(212a) 내에 상기 소켓(206)의 기단부 외주면(상기 전구(202)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 외주면)을 밀어넣어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와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켜서 상기 보스(212)에 형성된 관통공(212a) 내에 상기 소켓(206)을 견고하게 파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 및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에 의해 상기 소켓(206)을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 및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를 순차적을 밀어넣으면,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의 원통체(216)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는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선단부에 당접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해서 한쌍의 위치이탈 방지부재(208)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진동흡수부재(210,220)의 원통체(216,226)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를 견고하게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의 원통체(216)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견고하게 밀착고정해도 되며, 또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재를 개재하여 밀착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진동흡수부재(210,220)의 원통체(216,226)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를 견고하게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1 원통체(222)에 의해 상기 전구(202)의 기단부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하고 있으므로, 본 고안의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교량이나 진동이 심한 타워 등의 투광기 또는 가로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진동에 의해 상기 전구(202)가 상기 소켓(206)으로부터 떨어질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전구의 수명을 장수명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등 또는 투광기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사용해서 오스램 램프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사용해서 오스램 램프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232)의 기단부를 소켓(206)에 나합시켜서 결합하여 상기 전구(232)를 소켓(20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1 원통체(222)에 형성된 관통공(222a)의 선단부(도 5에서 좌측)에서 상기 관통공(222a) 내로 소켓(206)의 우측을 밀어넣으면, 상기 전구(232)의 기단부 외주면을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1 원통체(222)에 의해 견고하게 파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원통체(222)의 내측 기단부가 상기 소켓(206)의 선단부 외주면(상기 전구(202)가 결합되는 쪽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파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의 보스(212)에 형성된 관통공(212a) 내에 상기 소켓(206)의 기단부 외주면(상기 전구(202)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 외주면)을 밀어넣어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와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켜서 상기 보스(212)에 형성된 관통공(212a) 내에 상기 소켓(206)을 견고하게 파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 및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에 의해 상기 소켓(206)을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 및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를 순차적을 밀어넣으면,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의 원통체(216)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선단부에 당접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해서 한쌍의 위치이탈 방지부재(208)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가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부(204)에는 상기 전구 보호커버(240)가 씌워지고, 상기 전구 보호커버(2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물형상의 클램퍼(250)에 의해 상기 전구 보호커버(240)를 덮고 있고, 상기 클램퍼(250)의 클릭(250a)이 상기 플랜지부(204)에 형성된 관통공(204a)에 끼워진 후, 상기 클램퍼(2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클램퍼(250)의 클릭(250a)이 상기 하우징(200)의 플랜지부(204)에 위치고정되어 상기 전구 보호커버(240)가 상기 하우징(200)의 플랜지부(20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에 의하면, 전구를 견고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전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로등 또는 투광기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명램프의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을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를 사용해서 오스램 램프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하우징 202:전구
204:플랜지부 204a:관통공
204b:스토퍼 206:소켓
208:이탈방지부재 210:제1 진동흡수부재
212:보스 212a:관통공
214:연결편 214a:관통공
216:원통체 220:제2 진동흡수부재
222:제1 원통체 222a:관통공
224:연결편 224a:관통공
226:제2 원통체 230:지지부재
232:전구 240:전구 보호커버
250:클램퍼 250a:클릭
260:리이드 와이어

Claims (2)

  1. 전구(20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부 가장자리에 원형형상의 플랜지부(204)가 형성되며 소켓(206)을 수용해서 지지하는 하우징(200)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중앙에 소켓(206)이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관통공(212a)을 이루는 보스(2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보스(212)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개의 연결편(214)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보스(212)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원통체(216)를 가진 제1 진동흡수부재(210)와,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전구(202)의 기단부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소켓(206)의 외주면을 파지해서 위치고정하는 제1 원통체(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진동흡수부재(210)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하우징(200) 내주면에 당접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제1 원통체(222)의 기단부 외주면으로부터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뻗은 다수개의 연결편(224)을 개재하여 일정 간격 떨어져서 상기 제1 원통체(222)에 대해 동심원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길이가 짧은 제2 원통체(226)를 가진 제2 진동흡수부재(220)와,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해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제2 원통체(226)의 선단부에 당접되어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상기 제2 진동흡수부재(220)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한쌍의 위치이탈 방지부재(208)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흡수부재(210,220)는 실리콘 고무,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KR20-2005-0027272U 2005-09-22 2005-09-22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KR200404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272U KR200404335Y1 (ko) 2005-09-22 2005-09-22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272U KR200404335Y1 (ko) 2005-09-22 2005-09-22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335Y1 true KR200404335Y1 (ko) 2005-12-21

Family

ID=4370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272U KR200404335Y1 (ko) 2005-09-22 2005-09-22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3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202B1 (ko) * 2007-07-11 2008-07-14 윤목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KR100881785B1 (ko) * 2007-02-09 2009-02-03 김재학 조명등용 방진소켓
WO2014088626A1 (en) * 2012-12-04 2014-06-12 Vision Motor Sport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ably positioning a light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785B1 (ko) * 2007-02-09 2009-02-03 김재학 조명등용 방진소켓
KR100846202B1 (ko) * 2007-07-11 2008-07-14 윤목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WO2014088626A1 (en) * 2012-12-04 2014-06-12 Vision Motor Sport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ably positioning a lighting device
US8960976B2 (en) 2012-12-04 2015-02-24 Vision Motor Sports, Inc.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ably positioning a ligh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952B2 (ja) 交通信号灯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取替える方法
RU2014102108A (ru) Светодиодная свечеобразная колба и светодиодная свечеобразная лампа
ES2262546T3 (es) Lampara de faro.
KR200404335Y1 (ko)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NO972646L (no) Innbygnings-lysarmatur
KR20080005009U (ko) 엘이디를 사용하는 매입등용 하우징
KR20090111892A (ko) 진동방지용 소켓
KR200483081Y1 (ko) 전등 커버 고정구
CN105114869A (zh) 一种led灯
KR100387957B1 (ko) 매입형 조명등기구
NO20052126L (no) Delvis innbygd lysarmatur med konsentrert lysstrale
KR200466429Y1 (ko) 형광등기구용 반사갓
KR200233729Y1 (ko) 조명등용 커버 결합구조
EP2833058B1 (en) A mounting assembly for lighting devices,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and circuit board
JP2016110955A (ja) 照明装置
KR200456295Y1 (ko) 엘이디 조명등용 엘이디 램프의 고정장치
FI118138B (fi) Valaisimen suojus
CN212377842U (zh) 一种建筑用泛光照明灯具安装结构
CN211716518U (zh) 灯具防水结构以及照明灯具
ES2292221T3 (es) Lampara.
KR200368476Y1 (ko) 작업등
JP2004146214A (ja) 埋込型照明器具
JP2010146856A (ja) 照明器具
JP2021150092A5 (ko)
KR101322304B1 (ko) 피엘 램프를 이용하는 방수 작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830

Effective date: 200707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04

Effective date: 200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