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202B1 -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 Google Patents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202B1
KR100846202B1 KR1020070069551A KR20070069551A KR100846202B1 KR 100846202 B1 KR100846202 B1 KR 100846202B1 KR 1020070069551 A KR1020070069551 A KR 1020070069551A KR 20070069551 A KR20070069551 A KR 20070069551A KR 100846202 B1 KR100846202 B1 KR 10084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ducational
picture frame
garment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목
Original Assignee
윤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목 filed Critical 윤목
Priority to KR102007006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은, 의복(100)의 일 부위에서 똑딱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탈부착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 부재(30); 상기 결합 부재(30)를 통하여 의복(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구(23)를 구비한 액자(20); 형상 내지 표면에 문자, 그림, 숫자, 도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컨텐츠(31)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23)를 통해 상기 액자(20)에 인입됨으로 액자(20)의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 노출되는 교육 부재(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에 따르면, 의복에서 탈부착 가능한 액자를 이용하여 교육 부재를 액자 내에 수용함으로 교육 부재에 의한 교육 내용으로 시각적 발달을 추구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물건의 체결 및 부착에 대한 학습 능력, 공간 지각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의복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액자 틀 자체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여 액자 내에 다양한 두께를 가진 교육 부재가 원활하게 수용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CLOTHES FOR EDUCATING INFANT HAVING EDUCATING MATERIAL THROUGH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에 완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주변에 별도의 장식물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가 끈에 의하여 의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교육 부재 50: 끈
20: 액자 51: 연결 고리
21,30: 결합 부재 100: 의복
31: 교육 컨텐츠 110: 수용부
40: 장식 부착부재
본 발명은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부모, 조모, 교사 등의 유아 교육 대상자가 착용하는 의복에 유아의 지능 및 감각 발달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가 수록된 교육 부재를 탈부착 가능한 액자에 의하여 구비함으로써 유아가 직접 액자 및 교육 부재를 만지고 보며 액자 내에 교육 부재를 넣었다 뺐다 하는 과정에서 유아 교육 대상자와 마주보고 학습이 이루어짐으로 학습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유아 교육 대상자와 친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대략 0~36개월의 신생아, 베이비, 크롤러, 토들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각 시기별 성장에 따라 신체ㅇ 운동 발달, 정서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각 분야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발달을 위하여 현대의 부모는 다양한 교육 자료를 유아에게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전통적인 이론에 의하면, 보고 만지고 듣고 냄새를 맡는 등의 오감을 통하여 유아의 지능발달이 가능하고, 교육 자료 중 색상 내지 모양이 있는 것에 더욱 민감한 관심을 보이며, 3세 이전에 받은 자극의 질과 양에 따라 유아 의 진보속도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의 화이트(White) 박사의 실험 내용에 따르면, '아기는 저절로 성장하는가 아니면 환경 및 주변 사람들에 의하여 좌우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생아를 2 그룹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1 그룹은 생후 6일부터 36일 동안 간호사가 무늬 없는 흰 간호복을 입고 유아를 대하였고, 2 그룹은 간호사가 칼라와 무늬가 있는 셔츠를 입고 수유 후 고개를 숙여 유아가 바라보게 하였다.
그 결과, 2 그룹에 속한 유아는 1 그룹에 속한 유아보다 활발한 움직임을 보임과 동시에 사물을 잡기 위해 손을 뻗히는 속도가 2개월 정도 빨리 이루어졌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 학습 이론은 이미 많은 부모가 깨닫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장난감과 스티커, 캐릭터 등에 의하여 유아가 밝고 화려하며 다양한 색채를 인지하고(시각 학습), 딸랑이 등을 통해 소리를 인지하며(청각 학습), 만지고 비비면서 감촉을 인지하면서(촉각 학습) 학습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의 유아용 장난감 등의 놀이 학습 기구는 유아의 부모가 먼저 사용법을 유아에게 보여줘 유아의 관심을 유발한 다음, 유아가 스스로 놀이 학습 기구를 가지고 놀도록 되어 있다. 물론, 부모 등의 교육 제공 대상자가 유아와 함께 이러한 놀이 학습 기구를 가지고 놀 수도 있으나 근본적으로 부모 및 유아의 시선이 놀이 기구에 집중되도록 이루어져 결국 유아 자신이 놀이 기구를 붙잡고 부모는 옆에서 유아의 놀이 상황을 지켜보면서 호응을 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퇴근 후의 아빠가 유아와 함께 자주 못 놀아 주는 것 때문에 엄마의 불만이 많다고 하는데, 이는 직장 생활에 지친 아빠가 일정 시간동안 유아의 놀이 시에 관심과 호응을 가지며 같이 놀아줄 때 체력 소모가 증가하고 쉽사리 피로감을 느껴 그냥 놀이 기구를 유아에게 건네주고 유아가 알아서 놀도록 방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유아는 본능적으로 부모의 품에 안기거나 부모의 체온을 느끼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찾으려 하는데 이렇게 부모와 분리되어 있는 놀이 기구는 부모의 체온을 직접적으로 느끼면서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즉, 종래의 다양한 놀이기구는 특정 감각을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지는 몰라도 유아가 부모와 시선을 맞추면서 부모의 존재와 따스한 부모의 품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인성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역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 404353호, 404354호, 404355호, 404357호인 "유아 교육용 의복"은 엠보싱 수단, 칠판, 시계, 주판, 놀이 카드 부착 블록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부모 등의 의복에 놀이 수단을 제공하여 유아가 부모의 체온과 시선을 느끼면서 학습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부모의 의복에 놀이 기구를 부착하여 새로운 놀이 및 교육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식으로서, 유아의 의복에 거꾸로 놀이 수단을 부착하는 의복으로 이루어진 미국특허 제 5,957,692호에 비하여 진보성을 인정받았다.
이에 부응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 등록실용신안보다 차별화되고 진보한 방식으로 부모의 의복에 놀이 수단을 부착하는 기술을 제공하려 한다.
특히, 유아의 공간 지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의복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액자 틀 내에 교육 부재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복에서 탈부착 가능한 액자를 이용하여 교육 부재를 액자 내에 수용함으로 교육 부재에 의한 교육 내용으로 시각적 발달을 추구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물건의 체결 및 부착에 대한 학습 능력, 공간 지각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 틀 자체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여 액자 내에 교육 부재가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가 구비된 의복 주변에 액자와 관련된 장식 부착물을 추가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TV, 모니터와 같이 보이도록 하는 시각적인 학습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액자를 의복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끈과 같은 별도의 부재로 인하여 의복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물을 의복에 장착하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은, 의복(100)의 일 부위에서 똑딱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탈부착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 부재(30); 상기 결합 부재(30)를 통하여 의복(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구(23)를 구비한 액자(20); 형상 내지 표면에 문자, 그림, 숫자, 도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컨텐츠(31)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23)를 통해 상기 액자(20)에 인입됨으로 액자(20)의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 노출되는 교육 부재(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20)의 개방구(23) 주변 프레임 연장 라인에는 초탄성 P.U가 유연성 재질의 보호층에 코팅된 상태로 이루어진 완충부재(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의복(100)의 상부 둘레 일정 길이를 따라 형성된 수용부(110) 및, 상기 수용부(110) 내에서부터 수용부(110)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액자(20)를 걸고 있는 끈(50)과, 상기 끈(50)의 길이 조절 및 해제 기능을 가지는 연결고리(51)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 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복은 의복(100)의 정면 부위 내지 기타 부위 중 어느 한 부위(도 1에서는 정면 부위)에 액자(20)가 부착되어 있고, 액자(20) 내에 교육 부재(10)가 수용되어 외부로 식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20)는 공지의 액자 형태와 마찬가지로 폐곡면(도 1에서는 사각 면)을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의 내측, 즉 액자(20)의 중앙 부위에는 노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 측에 개방구(23)를 구비하여 이에 교육부재(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육 부재(10)는 액자(20) 내에 수용이 되어 액자(20)의 중앙 부위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진 카드 형태 내지 액자(20)의 형상에 알맞은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유아의 학습 발달을 위한 목적의 다양한 교육 컨텐츠가 수록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교육 컨텐츠는 문자, 숫자, 그림, 도형, 색상 조합, 캐릭터 등으로 구비되어 유아의 시각 발달과 지능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교육 부재(10) 상에서 평면 내지 입체적인 형태를 가질 수가 있다.
도면에서는 의복(100)이 상의로서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의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자(20)가 부착되는 의복(100)의 부위, 구체적으로는 액자(20)의 프레임 대응 부위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액자(프레임)의 후면에도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결합 부재(30)는 결합력을 발휘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2에서는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추 어셈블리, 지퍼, 똑딱이 단추, 후크, 자석 등과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여러 결합 수단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의복(100)에 형성된 결합 부재(30)의 내측 부위에는 여백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교육 부재(10)가 액자(20)에 수용되지 않았을 때에도 활용, 즉 유아에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역시 탈부착이 가능한 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자(20)는 프레임만을 구비하여 프레임의 내측 부위인 중앙 부위가 개방(오픈) 구조로 이루어짐으로 내부에 위치한 교육 부재(10)를 유아가 직접 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부위에 투명 커버(22)를 장착하여 내부에 있는 교육 부재(10)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액자(20)는 일정 두께의 측 부위는 구비하도록 하여 교육 부재(10)가 수용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에 완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20)는 상술하였듯이 측 부위의 두께를 보장하여 적정 두께의 교육 부재(10)를 수용할 수 있으나, 가령 액자(20)의 측 부위 두께보다 교육 부재(10)의 두께가 얇을 경우 교육 부재(10)가 액자(20) 내에서 덜렁거려 적절한 고정 상태를 가지지 못하거나, 아니면 액자(20)의 측 부위 두께보다 교육 부재(10)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교육 부재(10)가 아예 수용되지 못하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교육 부재(10)의 두께가 각각 다르다면 액자(20) 측 부위의 두께를 특정 수치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는 문제로 남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20)는 개방구(23) 주변 부위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된 부위, 즉 개방구(23) 주변의 양측 프레임을 따라 연장된 부위에는 매끄럽고 곡률진 형상을 가진 완충 부재(25)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 부재(25)는 개방구(23)를 중심으로 액자(20)의 측 부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 젤 타입의 소재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를 보호하는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초탄성 P.U(Poly Urethane. 일명 하이퍼 젤)로 제작이 되어 이를 보호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연성 보호층이 외부에 코팅되어 있는 것이 내구성 보존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 부재(25)는 평상시, 즉 교육 부재(10)가 수용되기 이전에는 볼 록한 형태로 있어 액자(20)의 개방구(23)를 납작하게 밀착시키고 있다가 교육 부재(10)가 수용될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팽창되는 성질을 가져 교육 부재(10)의 수용 여부 내지 교육 부재(10)의 일정 범위 내 두께에 따라 개방구(23)의 너비를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교육 부재(10)는 특정 범위 이내의 두께 변형이 자유롭게 되어 액자(20) 내에서 보다 타이트하고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주변에 별도의 장식 부착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자(20)는 주변에 별도의 장식 부착부재(40)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마치 TV 내지 컴퓨터의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액자(20) 주변의 의복(100) 부위에 안테나 내지 조작버튼을 구비한 조작 수신기 내지 조작 패널과 같은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장식 부착부재(40)가 고정식 내지 상기 설명한 결합 부재를 이용한 탈부착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 부착부재(40)는 유아에게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TV 내지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사물 개념을 인지하도록 하는 학습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상태 이외의 다양한 변형된 상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가 끈에 의하여 의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액자(20)가 의복(10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의복(100)에 구비될 수 있는 개념과 달리, 끈(50)을 이용하여 의복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복(100)의 상 부위 둘레를 따라 일정 길이로 내측에 스페이스를 구비한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110)의 스페이스에 끈(50)이 수용이 되며, 끈(50)은 연결 고리(51)를 통해 체결 및 해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액자(20)의 상단 프레임 부위에는 끈(50)을 수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마련함과 동시에 개방구(23)를 측 부위 일 측에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 실내공간에서 액자를 벽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흔히 사용되는 못과 같은 패스너에 액자를 거는 방식과 달리, 스트링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 액자를 걸어 마치 고급 그림 내지 액자를 미술관 등의 벽체에 부착한 방식에서 추론한 것으로, 유아에게 액자(20)가 끈(50)을 통해 의복에 부착될 수 있다는 공각 지각 개념을 학습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고리(51)는 공지의 끈 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끈(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끈(50)을 풀어 의복(100)에서 해제하도록 할 수가 있고, 수용부(110)는 도 5에서는 밀폐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만 도시되어 있으나, 수용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의복과 맞닿는 부위에 벨크로 테이프를 형성하여, 벨 크로 테이프의 결합 및 해제에 따라 개방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용부가 밀폐식이 아니라 개방 가능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끈(50)이 의복(100)에서 빠졌을 때 수용부(110) 내에 다시금 장착하기 쉽도록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에 따르면,
1) 의복에서 탈부착 가능한 액자를 이용하여 교육 부재를 액자 내에 수용함으로 교육 부재에 의한 교육 내용으로 시각적 발달을 추구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물건의 체결 및 부착에 대한 학습 능력, 공간 지각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의복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액자 틀 자체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여 액자 내에 다양한 두께를 가진 교육 부재가 원활하게 수용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3) 액자가 구비된 의복 주변에 액자와 관련된 장식 부착물을 추가로 구성하 여 전체적으로 TV, 모니터와 같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사물 인지 능력 내지 시각적인 학습 효과를 배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끈과 같은 별도의 부재로 인하여 액자를 의복에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자를 의복에 장착하는 다양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공간 지각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으로서,
    의복의 일 부위에서 똑딱이 단추, 벨크로 테이프, 지퍼, 자석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탈부착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 부재;
    상기 결합 부재를 통하여 의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둘레를 따라 프레임이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에는 개방 부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구를 구비한 액자;
    형상 내지 표면에 문자, 그림, 숫자, 도형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컨텐츠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액자에 인입됨으로 액자의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 노출되는 교육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의 개방구 주변 프레임 연장 라인에는 초탄성 P.U가 유연성 재질의 보호층에 코팅된 상태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주변의 의복 부위에는 안테나, 조작버튼, 수신기 형상을 가진 장 식 부착부재가 추가로 부착되어 상기 액자와 장식 부착부재 전체가 TV 내지 모니터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4.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의복의 상부 둘레 일정 길이를 따라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내에서부터 수용부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액자를 걸고 있는 끈과, 상기 끈의 길이 조절 및 해제 기능을 가지는 연결고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 측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하여 탈부착 방식으로 개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KR1020070069551A 2007-07-11 2007-07-11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KR10084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51A KR100846202B1 (ko) 2007-07-11 2007-07-11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51A KR100846202B1 (ko) 2007-07-11 2007-07-11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202B1 true KR100846202B1 (ko) 2008-07-14

Family

ID=3982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51A KR100846202B1 (ko) 2007-07-11 2007-07-11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71A (ko) * 2018-07-13 2020-01-22 김철규 이미지 연출을 위한 교체식 장식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45U (ko) * 1989-07-21 1991-03-15
KR200404353Y1 (ko) * 2005-10-10 2005-12-21 윤목 유아 교육용 의복
KR200404335Y1 (ko) * 2005-09-22 2005-12-21 주식회사 화성조명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45U (ko) * 1989-07-21 1991-03-15
KR200404335Y1 (ko) * 2005-09-22 2005-12-21 주식회사 화성조명 조명램프용 진동흡수장치
KR200404353Y1 (ko) * 2005-10-10 2005-12-21 윤목 유아 교육용 의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471A (ko) * 2018-07-13 2020-01-22 김철규 이미지 연출을 위한 교체식 장식패널
KR102196476B1 (ko) * 2018-07-13 2020-12-29 김철규 이미지 연출을 위한 교체식 장식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290B2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US4723323A (en) Child&#39;s activity bib
US4710979A (en) Mother&#39;s apron or bib with detachable multicolored two-dimensional infant toys to aid supervised baby play
US5398345A (en) Combination apertured garment pocket and object
US4729751A (en) Doll with attachment means
US5646913A (en) Teaching clock with removable repositionable pieces for representing different periods of time
EP2690979B1 (en) Method for designing a garment
US20070130813A1 (en) Photo wrist band
US20020108162A1 (en) Learning bib
US20120325881A1 (en) Interactive Reversible Wearable Activity Center for Babies and Toddlers
Streri et al. The development of haptic abilities in very young infants: From perception to cognition
US20070172802A1 (en) Portable early learning sensory toy set for babies and infants
CN101427852A (zh) 用于幼儿教育的衣物
EP2056274A1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US4979921A (en) Shoulder-supported guardian angel doll
US20070054593A1 (en) Therapeutic to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846202B1 (ko) 액자를 통해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 의복
KR200404353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KR100834997B1 (ko) 베이스 패널에 의하여 교육 부재를 구비하는 유아 교육용의복
KR200404357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WO2008098882A2 (en) Stimulator for brain, senses and skills development
KR200404354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US6755660B1 (en) Manipulative teaching aid
US20130125286A1 (en) Interactive Garment System
US20110165543A1 (en) Diaper with graphic illustration/text/image directed to parents/caregivers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infant, toddler or ch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