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237Y1 -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237Y1
KR200404237Y1 KR20050023994U KR20050023994U KR200404237Y1 KR 200404237 Y1 KR200404237 Y1 KR 200404237Y1 KR 20050023994 U KR20050023994 U KR 20050023994U KR 20050023994 U KR20050023994 U KR 20050023994U KR 200404237 Y1 KR200404237 Y1 KR 200404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metal layer
light emitting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3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안창준
조재현
백상민
신정훈
홍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아이
Priority to KR20050023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237Y1/ko

Link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열류가 직접 방열판을 통해 배출되는 방열 특성이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LED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메탈층, LED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전극층과 메탈층 상에 형성되어 메탈층과 회로전극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되는 PCB, 절연층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와 회로전극층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간부분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솔더링층 및 다수의 솔더링층 상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히트 슬러그를 포함하고, 각각의 LED의 칩은 다수의 히트 슬러그 상에 본딩되고, 다수의 히트 슬러그의 각각이 공간부분에서 각각의 솔더링층을 거쳐 메탈층에 연결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열류가 열저항이 큰 절연층을 통해 방출되지 않고 직접 메탈층을 통해 방출됨으로써 방열 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이러한 방열 구조체의 형성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류의 병렬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Array structure for light emitted diode}
본 고안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電流) 경로와 열류(熱流) 경로가 분리되며, 열류가 직접 방열판을 통해 배출되어지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는 전기를 통해 주면 전자가 에너지 레벨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특정한 파장의 빛을 내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LED는 화합물 반도체(GaP, GaAs)의 종류에 따라 빛의 색이 다르게 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내는 LED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다수개를 어레이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하며,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0) 구조체의 구성 및 회로 결선 상태를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층으로서 동으로 구성되며 방열판의 역활을 수행하는 메탈층(110), 이 메탈층(110) 상에 마련된 절연층(120) 및 구리 배선층으로서 절연층(120) 상에 마련된 회로전극층(130)으로 구성되는 PC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PCB 상에는 다수개의 LED(140)이 결합된다.
PCB와 LED(140)의 결합 구조체에 있어서, PCB의 회로전극층(130)에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단선부 또는 개구부(131)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31)의 부분에 LED(140)이 설치된다. 한편, 이 개구부의 하부에는 절연층(120)이 노출된다.
즉, LED(140)의 칩은 도전성 히트 슬러그(150) 상에 본딩되고, 도전성 히트 슬러그(150)는 회로전극층(130)상에 솔더링된다. 또, 도전성 히트 슬러그(150)는 회로전극층(130) 중 LED의 (-)전극(142)과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전극(142)과 납땜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100)에 있어서, 전류는 회로전극층(130)을 통해 LED(140)의 (+)전극(141)으로 입력되고, LED 칩을 거쳐 (-)전극(142)을 통해 출력된다.
한편, LED칩에서 방출되는 열류는 히트 슬러그층(150), 회로전극층(130), 회로전극층(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142) 및 이 회로전극층(133) 하부의 절연층(120)을 경유하여 메탈층(110)으로 유입된 후 방출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열류가 절연층(120)을 경유하게 메탈층(110)으로 유입되므로, 절연층의 물질적 특성에 의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의 발열이 용이하게 방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열된 열류가 직접 메탈층을 통해 방출되게 하여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의 형성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류의 병렬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는 다수의 LED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메탈층, 상기 LED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전극층과 상기 메탈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메탈층과 상기 회로전극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되는 PCB,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와 상기 회로전극층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간부분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솔더링층 및 상기 다수의 솔더링층 상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히트 슬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LED의 칩은 상기 다수의 히트 슬러그 상에 각각 본딩되고, 상기 다수의 히트 슬러그의 각각이 상기 공간부분에서 각각의 상기 솔더링층을 거쳐 상기 메탈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본딩은 절연성 본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층은 Pb, 크림 솔더, Cu패이스트 중의 하나인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구부의 각각은 열전도성 재료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특성이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2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의 회로 결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조체(200)는 LED(140)의 칩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활을 하는 방열판인 메탈층(110), 이 메탈층(110) 상에 형성된 절연층(120) 및 이 절연층(1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LED(140)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전극층(130)으로 구성되는 PCB가 마련된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절연층(120)에는 소정 형상의 다수의 개구부(121)가 마련되며, 회로전극층(130)은 각각의 개구부(121) 이외의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개구부(121)의 하부에는 메탈층(110)이 노출된다.
한편, 각각의 개구부(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분 상에 LED(140)가 각각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LED(140)의 칩이 도전성 히트 슬러그(150) 상에 장착되고, 이 히트 슬러그(150)가 각각의 개구부(121) 내에 마련된 솔더링층(173)을 거쳐 메탈 코어층(110)에 솔더링된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각각의 히트 슬러그(150)와 LED(140)칩의 본딩은 절연성 본딩을 사용한다. 또한, 솔더링층(173)은 열전도성 재료로서, Pb, 크림 솔더, Cu패이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200)에 있어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의 전류의 구성은 회로전극층(130)과 제1의 납땜부(174)을 통해 LED(140)의 (+)전극(171)으로 입력되는 전류가 (-)전극(172)과 제2의 납땜부(175)을 통해 회로전극층(130)으로 입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각각의 LED(140)의 칩이 히트 슬러그(150) 상에 절연성 본딩됨에 따라, 전류가 히트 슬러그(150)와 솔더링층(173)을 경유하여 회로전극층(130)으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슬러그(150)가 회로 전극층과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히트 슬러그(150)와 솔더링층(173)을 경유하여 회로전극층(130)으로 유입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광을 출력하는 LED(140)에서 방출되는 열류는 절연성 본딩부분과 히트 슬러그(150), 솔더링층(173)을 경유하여, 직접 메탈층(110)으로 유입된 후 방출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LED(140)에서 발생되는 전류는 종래와 같이 병렬회로를 구성하지 않게 되며, 열류는 각각 히트 슬러그(150) 및 솔더링층(173)을 통해 직접 메탈층(110)으로 전송되므로, 종래 절연층(120)에서 발생했던 열저항 없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설명에 있어서 절연성 본딩 부분은 일반적인 실시에 있어서 적색 LED칩에 적용되고, 청색 또는 녹색 LED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통상의 LED제작에 있어서, 청색 또는 녹색 LED칩은 히트 슬러그와의 접촉부(기판)가 절연성으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의 각각의 개구부(121)를 열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Pb, 크림 솔더, Cu패이스트 등으로 매립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메탈 코어층(110) 상에 절연층(120)을 적층하고, 절연층(120)에 개구부(121)를 형성하며, 형성된 개구부(121)를 열전도성 재료로 매립하고, 회로전극층(130)을 적층하며, 개구부(121)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에 의하면, 열류가 열저항이 큰 절연층을 통해 방출되지 않고 직접 메탈코어층을 통해 방출되므로써 방열 특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이러한 방열 구조의 형성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류의 병렬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의 회로 결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메탈층, 120 : 절연층,
130 : 회로전극층 121 : 개구부,
140 : LED, 173 : 솔더링층.

Claims (4)

  1. 다수의 LED에서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메탈층, 상기 LED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전극층과 상기 메탈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메탈층과 상기 회로전극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되는 PCB,
    상기 절연층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와 상기 회로전극층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간부분에 각각 마련된 다수의 솔더링층 및
    상기 다수의 솔더링층 상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히트 슬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LED의 칩은 상기 다수의 히트 슬러그 상에 각각 본딩되고, 상기 다수의 히트 슬러그의 각각이 상기 공간부분에서 각각의 상기 솔더링층을 거쳐 상기 메탈층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은 절연성 본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층은 Pb, 크림 솔더, Cu패이스트 중의 하나인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구부의 각각은 열전도성 재료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KR20050023994U 2005-08-19 2005-08-19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KR200404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994U KR200404237Y1 (ko) 2005-08-19 2005-08-19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994U KR200404237Y1 (ko) 2005-08-19 2005-08-19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237Y1 true KR200404237Y1 (ko) 2005-12-20

Family

ID=4370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3994U KR200404237Y1 (ko) 2005-08-19 2005-08-19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2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97B1 (ko) * 2010-03-18 2011-08-09 기주산업(주) 개선된 열방출 특성을 갖는 메탈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US8633643B2 (en) 2009-11-30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package, LED package modul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ead lamp modu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78773B2 (en) 2011-12-23 2019-01-08 Inkte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rinted circuit 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3643B2 (en) 2009-11-30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package, LED package modul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ead lamp modu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55297B1 (ko) * 2010-03-18 2011-08-09 기주산업(주) 개선된 열방출 특성을 갖는 메탈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US10178773B2 (en) 2011-12-23 2019-01-08 Inktec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printed circuit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7777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ssembly
TWI431819B (zh) 紅綠藍(rgb)三原色熱隔離基板
US6498355B1 (en) High flux LED array
US7633154B2 (en) Encapsulation and methods thereof
US20100033976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for light emitting diode
JP5770006B2 (ja) 半導体発光装置
JP2012532441A (ja) 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
EP2188849B1 (en) Light emitting device
JP2007510297A (ja) 放熱板を有する発光ダイオードの構成
US20090045432A1 (en) Circuit board f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emitting unit using the same
JPH10321909A (ja) 半導体装置
KR20120026873A (ko) 발광 디바이스
KR20100117451A (ko) 방열홀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
KR101051488B1 (ko) 발광 다이오드 유닛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유닛
US9203007B2 (en)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KR200404237Y1 (ko) 발광다이오드용 어레이 구조체
KR20090017391A (ko) 발광 소자용 회로 기판 및 그 발광 유닛
JP2013201255A (ja) 配線基板装置、発光モジュール、照明装置および配線基板装置の製造方法
GB2480428A (en) PCB with metal core having extended heatsink bosses for mounting LEDs
KR200404236Y1 (ko) 방열 특성이 개선된 발광다이오드 구조체
KR101004929B1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모듈
CN106465537B (zh) 印刷电路板和包括该印刷电路板的光发射器件
KR101768908B1 (ko) 메탈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엘이디 패키지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040594A1 (en) Light emitting module
KR20130007473A (ko) 엘이디용 회로기판원판, 회로기판, 엘이디유닛, 조명기구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