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883Y1 -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83Y1
KR200403883Y1 KR20-2005-0026508U KR20050026508U KR200403883Y1 KR 200403883 Y1 KR200403883 Y1 KR 200403883Y1 KR 20050026508 U KR20050026508 U KR 20050026508U KR 200403883 Y1 KR200403883 Y1 KR 200403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ick
roller
spong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섭
Original Assignee
박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섭 filed Critical 박봉섭
Priority to KR20-2005-0026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72Devices not actuated by pressure difference
    • G01N2001/149Capillaries; Spon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는, 돌기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스틱과, 스틱의 선단에 공간을 두고 일정 두께의 쿳션을 갖도록 감싸아 열 가압되어 부착되는 흡수봉이 형성되며, 이러한 샘플 채취봉의 제작장치는 스틱을 미는 푸쉬부재, 스틱을 안내하는 가이드판부재, 스펀지를 이동시키는 롤러부재, 2겹으로 분리하는 분리안내부재, 가열 압축하는 금형부재로 압축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는 이동된 2겹의 롤 스펀지 사이에 스틱을 가이드판부재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 후, 상,하부 금형으로 가열 융착하여 샘플 채취봉이 자동 제작되도록 한 것으로, 시약의 테스터나 샘플의 채취에 대한 사용 편의성 및 위생성 그리고 대량 생산 및 원가 절감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 Sample Sand Picking and Manufacturing device of it }
본 고안은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는 이동된 2겹의 롤 스펀지 사이에 스틱을 가이드판부재를 이용 공급되도록 한 후, 상,하부 금형으로 열 가압하여 샘플 채취봉을 자동 제작되도록 한 것으로, 시약의 테스터나 샘플 채취시 사용 편의성 및 위생성, 그리고 대량 생산과,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로 면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면봉(2)은 나무나 플라스틱을 스틱(4)으로 이용된다. 이 스틱(4)은 일단이나 양단에 솜을 감아 봉(6)를 형성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면봉(2)은 신변의 청결 또는 병원에서 신체의 상처 난 곳을 소독하는데 이용되고, 그리고 시료의 채취 용도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면봉(2)은 하나씩 사람의 손에 의하여 제작됨에 따라 위생관리가 소홀할 우려가 있고 생산성이 떨어져 제품 경쟁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틱이 나무일 경우 주된 원가 상승 요인이 되며, 플라스틱으로 할 경우 강도가 약해 휘어지거나 봉이 빠지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 2a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채취봉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채취봉(8)은 얇은 두께의 스펀지를 재단하여 스틱(4)을 감싼 후 끝마감 처리를 본드 등의 접착제(10)를 이용하여 스펀지봉(11)을 형성하고 있어 환자의 환부 치료나 샘플 채취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신뢰성이 떨어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특히 스틱과 스펀지의 부착을 위해 본드 등의 접착제를 각각 사용함에 따라 제작면에서도 생산성이 떨어지고 본드 등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된 2겹의 롤 스펀지 사이에 스틱을 가이드판부재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 후, 상,하부 금형으로 열 가압하여 샘플 채취봉을 자동 제작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 편의성 및 위생성, 그리고 대량 생산과,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돌기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스틱과, 스틱의 선단에 공간을 두고 일정 두께의 쿳션을 갖도록 감싸아 가열 압축되어 부착되는 흡수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제작장치는
베이스판의 일측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전,후진하게 설치되어 스틱을 밀게 되는 푸쉬부재와; 스틱이 여러 칸에 나뉘어 저장되고, 하단의 1열부터 배출되게 푸쉬부재의 전진측에 설치된 수납통부재와; 스틱의 배출 후를 안내하고, 병렬로 다수개 위치되도록 설치 형성된 가이드판부재와; 가이드판부재의 양측에 회동장치로 회전하여 롤스펀지를 일정 구간씩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롤러부재와; 롤러부재 일측에 이동하는 롤스펀지를 분리하여 틈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배출을 안내하게 설치된 분리안내부재와, 가이드판부재로 안내되어 롤 스펀지 사이에 위치되는 스틱이 승강장치에 의해 누름지지대와 동시 작동하여 샘플 채취봉을 상,하에서 가열 압축하게 설치된 금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푸쉬부재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전,후진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상에 설치되는 푸쉬몸체의 전진측을 향해 일정 간격과 길이로 다수 설치된 푸쉬바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통부재는 정육면체 형태로 바닥판 상에 4면으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후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스틱을 수용하게 내부가 분할 설치된 격판과, 상기 격판으로 나뉘어 형성된 수납공간의 전,후 측판의 하단부분을 관통시킨 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스틱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단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부재는 롤 스펀지를 일측에서 공급하게 제1상부롤러와 제1하부롤러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1회전기어와, 타측의 제1하부롤러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체인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는 인입롤러부와, 상기 인입롤러부의 타측에 채취봉과 롤 스펀지를 배출하게 제2상부롤러와 제2하부롤러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2회전기어와, 타측의 제1하부롤러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체인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면서 제2회전기어측에서 연장되는 제2하부롤러의 회전축에 일방향 피니언기어를 설치한 배출롤러부와,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치합하는 랙기어를 설치하여 유압으로 왕복 운동하게 설치한 제1복동실린더로 구비된 회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안내부재는 인입롤러부측에 설치되는 롤 스펀지를 상,하로 분리하는 2겹분리대와, 2겹분리대의 타측인 배출롤러부의 외측에 배출되는 롤 스펀지를 안내하게 설치된 스펀지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겹분리대는 롤 스펀지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입롤러부의 내측에 상부 스펀지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 가이드핀과, 하부 스펀지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 가이드핀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핀의 간격 유지하게 설치된 측면가이더로 구성된다.
상기 스펀지 가이더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와, 이 지지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측면 가이더로 구성된다.
상기 금형부재는 가이드판부재의 전방 하부받침대 상에 히팅되도록 하부측 봉헤드를 형성하여 설치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상부받침대 저부에 히팅되도록 상부측 봉헤드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이 승강하도록 상측에 설치된 제2복동실린더와 연동하여 가이드판부재 상의 스틱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대가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가이드부로 구비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제작방법은
롤 스펀지 2겹을 롤러부재에 의해 일정 구간 이동시켜 2겹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S10)와,
수납통부재의 스틱을 푸쉬부재가 밀어내는 단계(S20)와,
스틱이 가이드판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분리된 상,하 스펀지 사이에 위치되는 단계(S30)와,
누름지지대에 의하여 스틱의 중간이 눌리어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의 합형으로 스틱를 개재한 스펀지가 가열 압축되는 단계(S40)와,
상부 금형과 누름지지대의 상승과 동시에 푸쉬부재의 후퇴가 이루어지는 단계(S50)와,
스틱에 스펀지가 일정 형태로 부착된 상태로 롤러부재에 의하여 이동하여 배출측으로 배출되는 단계(S60)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샘플 채취봉(20)은 돌기라인(L)이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스틱(21)과, 스틱(21)의 선단 내부에 공간을 두고 일정 두께의 쿳션을 갖도록 감싸아 가열 압축으로 부착되는 흡수봉(22)이 형성된다.
상기한 스틱(21)은 일정 길이와 직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어느 정도 강성을 유지하고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그리고 스틱(21)은 프라스틱 소재로도 형성된다. 또 스틱(21) 대신에 소변 검사 등 테스터 용도로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테스터지(21-1)로도 제작된다.
그리고 스틱(21)은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라인(L)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있다. 상기 돌기라인(L)은 금형으로 가열 압축시 미미하게 녹으면서 스펀지와 스틱(21)간에 융착됨에 따라 흡수봉(22)의 형성을 견고하게 한다.
흡수봉(22)은 일정 두께를 갖는 스펀지로 형성되며, 스펀지가 가지고 있는 성질에 따라 샘플의 흡수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어 시료의 샘플 채취를 편리하게 한다.
그리고 흡수봉(22)은 스틱(21)의 선단에 일정 형상으로 부착되도록 가열 압축하는 금형에 의해 융착되어 제작된다. 흡수봉(22)의 모양은 도면에 도시된 것 외에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디자인되어 제공됨은 당연하다. 또, 흡수봉(22)은 스틱(21)의 선단에 공간을 두고 가열 압축으로 부착되고 있어 환부와의 접촉시 감촉을 부드럽게 한다.
또. 흡수봉(22)이 유해한 접착제의 사용 없이 열원에 의해 가열 압축되어 부착됨에 따라 부착이 견고하고 부착면이 부드럽게 마감 처리되는 등 상품성이 향상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유해성이 없는 안전한 채취봉을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수납통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 8은 도 5의 금형부재의 합형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의 금형부재의 합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5의 샘플 채취봉의 출고전 제작 완료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5에 의한 샘플 채취봉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는 푸쉬부재(30), 수납통부재(40), 가이드판부재(50), 롤러부재(60), 분리안내부재(70), 금형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는 콘트롤러 박스(도시생략)에 의해 통상의 제어기술로 구동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이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푸쉬부재(30)는 베이스판(31)상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2)에 의하여 전,후진하게 설치되어 스틱(21)을 밀게 구성된다.
상기 푸쉬부재(30)는 가이드레일(32)과, 가이드레일(32)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전,후진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33)와, 액츄에이터(33)상에 설치되는 푸쉬몸체(34)의 전진 측을 향해 일정 간격과 길이로 다수 설치된 푸쉬바(35)로 구성된다.
액츄에이터(33)는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전진하거나 후퇴 작동하게 된다. 푸쉬몸체(34)는 기기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며, 여기에 설치되는 푸쉬바(35)는 다수 설치되며, 일정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되더라도 휨이 없는 것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통부재(40)는 스틱(20)이 여러 칸에 나뉘어 저장되고, 하단의 1열부터 배출되게 푸쉬부재(30)의 전진 측에 설치된다.
수납통부재(40)는 정육면체 형태로 바닥판 상에 4면으로 형성되는 측판(41)과, 상기 측판(41)의 전,후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스틱(21)을 수용하게 내부가 분할 설치된 격판(42)과, 상기 격판(42)으로 나뉘어 형성된 수납공간의 전,후 측판(41)의 하단부분을 관통시킨 통공(43)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수납통부재(40)는 스틱(21)의 수납을 위해 상부는 오픈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틱(21)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호퍼(도시생략)와 연결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측판(41)중 전,후측에 위치되는 측판(41)의 하단에 통공(43)을 관통시켜 형성하여 스틱(21)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푸쉬바(35)의 진입과 후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판부재(50)는 스틱(21)의 배출 후를 안내하고, 병렬로 다수개 위치되도록 설치 형성된다. 가이드판부재(50)는 스틱(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단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51)은 단면 형상은 반원형태로 스틱(21)이 가이드홈(51)에 위치되더라도 일정부분 상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부재(60)는 가이드판부재(50)의 양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회동장치(61)로 회전하여 롤스펀지(62)를 일정 구간씩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부재(60)는 롤 스펀지(62)를 일측에서 공급하게 설치된 인입롤러부(63)와, 인입롤러부(63)의 타측에 채취봉(20)과 스펀지(62)를 배출하게 설치되면서 체인(64)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설치된 배출롤러부(65)와, 배출롤러부(65)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일방향 회전기어(66)와 치합하는 랙기어(61-1)를 설치하여 유압으로 왕복 운동하게 설치한 제1복동실린더(61-2)로 구비된 회동장치(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입롤러부(63)는 롤 스펀지(62)를 일측에서 공급하게 제1상부롤러(63-1)와 제1하부롤러(63-2)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1회전기어(63-3)와, 타측의 제1하부롤러(63-2)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체인 스프로켓(63-4)으로 구성된다.
배출롤러부(65)는 인입롤러부(63)의 타측에 채취봉(20)과 롤 스펀지(62)를 배출하게 제2상부롤러(65-1)와 제2하부롤러(65-2)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2회전기어(65-3)와, 타측의 제2하부롤러(65-2)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체인 스프로켓(65-4)으로 구성되면서 제2회전기어(65-3)측에서 연장되는 제2하부롤러(65-2)의 회전축에 일방향 피니언기어(66)를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일방향 피니언기어(66)는 회동장치(61)의 랙기어(61-1)와 치합되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설치되고 있어, 랙기어(61-1)의 왕복 운동시 제1,2하부롤러(63-2)(65-2)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분리안내부재(70)는 롤러부재(60) 일측에 이동하는 롤스펀지(62)를 분리하여 틈새공간(71)이 형성되도록 하고 배출을 안내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리안내부재(70)는 인입롤러부(63)측에 설치되는 롤 스펀지(62)를 상,하로 분리하는 2겹분리대(72)와, 2겹분리대(72)의 타측인 배출롤러부(65)의 외측에 배출되는 롤 스펀지(62)를 안내하게 스펀지 가이더(73)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2겹분리대(72)는 롤 스펀지(62)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입롤러부(63)의 내측에 상부 스펀지(62-1)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 가이드핀(72-1)과, 하부 스펀지(62-2)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 가이드핀(72-2)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핀(72-1)(72-2)의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된 측면가이더(72-3)로 구성된다.
상기 스펀지 가이더(73)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73-1)와, 이 지지바(73-1)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측면 가이더(73-2)로 구성된다.
상기 금형부재(80)는 가이드판부재(50)로 안내되어 롤 스펀지(62) 사이에 위치되는 스틱(21)이 승강장치(81)에 의해 누름지지대(82)와 동시 작동하여 샘플 채취봉(20)을 상,하에서 가열 압축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스틱(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라인(L)은 금형부재(80)에 의하여 가열 압축시 미미하게 녹으면서 스펀지와 기밀하게 융착됨에 따라 흡수봉(22)하고 스틱(21)간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금형부재(80)는 가이드판부재(50)의 전방 하부받침대 상에 히팅되도록 하부측 봉헤드(83-1)를 형성하여 설치된 하부금형(83)과, 상기 하부금형(83)의 상측에 상부받침대 저부에 히팅되도록 상부측 봉헤드(84-1)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부금형(84)과, 상기 상부금형(84)이 승강하도록 상측에 설치된 제2복동실린더(85)와 연동하여 가이드판부재(50)상의 스틱(20)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대(82)가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가이드부(86)로 구비된 승강장치(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샘플 채취봉(20)을 제작함에 있어 수납통부재(40)에 공급되는 스틱(21)을 플라스틱으로 하거나 종이인 테스터지(21-1)로 하는 경우에 관계없이 공급 재료를 바꾸워 채워주면 되기 때문에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준비가 완료된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는 채취봉 제작을 위해 일정 형태로 준비된 롤 스펀지(62) 2겹을 롤러부재(60)에 의해 일정 구간 이동시켜 2겹으로 분리되도록 한다.(S10) 즉, 인입롤러부(63)에서 2겹분리대(72)를 거쳐 상,하부 금형(84)(83)사이를 지나 배출롤러부(65)를 배출되도록 세팅한다.
그리고 나서 회동장치(61)와 승강장치(81)는 에어압력으로 구동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이들의 작동이 상호 연동되고 있음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푸쉬부재(30)에서 가이드 레일(32) 위를 이동한 푸쉬몸체(34)가 전진하면 푸쉬바(35)가 수납통부재(40)의 통공(43)을 통해 진입하여 격판(42)사이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던 스틱(20)을 밀어내게 된다.(S20)
수납통부재(40)의 통공(43)을 통해 배출되는 스틱(21)은 가이드판부재(50)의 가이드홈(51)을 이동하여 2겹 분리대(72)로 분리된 상,하부 스펀지(62-1)(62-2) 사이의 틈새 공간(71)에 일정 길이 진입한 상태에 있게 된다.(S30) 이때 상,하부 스펀지(62-1)(62-2) 사이에 위치되고 있는 스틱(21)의 선단은 상,하 금형에 형성된 봉헤드(83-1)에 압축되도록 위치되게 된다.
이후, 승강장치(81)의 제2복동실린더(85)의 작동과 승강가이드부(86)에 의하여 누름지지대(82)가 하강하여 가이드홈(51)에 위치된 스틱(21)의 중간을 누르게 되어 하부금형(83)의 봉헤드(83-1)에 정확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하부 금형(83)과 상부 금형(84)의 합형으로 스틱(21)이 삽입된 스펀지(62)를 봉헤드(83-1)(84-1) 형태로 가열 압축하여 돌기라인(L)이 녹으면서 스펀지와 융착됨에 따라 흡수봉(22)의 부착 형성을 완료하게 된다.(S40)
상기 금형부재(80)가 가열 압축 작동을 완료하면 승강장치(81)와 승강가이드부(86)의 연동으로 상부 금형(84)이 하부 금형(83)으로부터 이형되고, 동시에 누름지지대(82)도의 상승됨은 물론 액츄에이터(33)가 작동하여 가이드레일(32)을 따라 후퇴하여 푸쉬바(35)가 수납통부재(40)의 통공(43)을 빠져 나오게 된다.(S50)
그리고 상기 단계(S50)후 회동장치(61)의 제1왕복실린더(61-2)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는 랙기어(61-1)가 일방향 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켜 체인(64)으로 연결된 제1,2하부롤러(63-2)(65-2)를 회전시켜 스틱(20)이 부착된 흡수봉(22)이 스펀지(62)에 부착된 상태로 배출롤러부(65)에 의하여 이동되어 배출측으로 배출된다.(S60) 이에 따라 스펀지(62)에서 떼어내 소독 처리와 포장 후 출고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틱과 흡수봉으로 형성된 샘플 채취봉과 더불어, 푸쉬부재, 수납통부재, 가이드판부재, 롤러부재, 분리안내부재, 금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샘플 채취봉의 자동 생산 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래 수공 생산이 자동 생산 공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원가가 절감되어 제품 경쟁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틱의 선단에 스펀지로 형성되는 흡수봉이 유해한 본드나 접착제에 의존하지 않고 가열 압축시 돌기라인 녹으면서 부착됨에 따라 무해한 채취봉의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흡수봉내에 공간을 두고 부착되기 때문에 환부와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사용감이 향상된다.
다섯째, 흡수봉의 쿳션이 일정하여 균일한 시료나 시약의 테스터와, 그리고 샘플의 채취를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로 면봉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채취봉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취봉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수납통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펀지 사이에 스틱이 위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의 2겹 분리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의 샘플 채취봉의 출고전 제작 완료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5에 의한 샘플 채취봉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샘플 채취봉 21:스틱
21-1:테스터지 22:흡수봉
30:푸쉬부재 32:가이드레일
33:액츄에이터 34:푸쉬몸체
35:푸쉬바 40:수납통부재
41:측판 42:격판
43:통공 50:가이드판부재
51:가이드홈 60:롤러부재
61:회동장치 61-1:랙기어
61-2:제1복동실린더 62:롤스펀지
63:인입롤러부 64:체인
65:배출롤러부 66:일방향 회전기어
70:분리안내부재 71:틈새공간
72:2겹분리대 73:스펀지 가이더
80:금형부재 81:승강장치
82:누름지지대 83:하부금형
84:상부금형 85:제2복동실린더
86:승강가이드부

Claims (11)

  1. 돌기라인이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스틱과, 스틱의 선단에 공간을 두고 일정 두께의 쿳션을 갖도록 감쌓아 가열 압축되어 부착되는 흡수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틱은 테스터를 위해 종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3. 베이스판의 일측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전,후진하게 설치되어 스틱을 밀게 되는 푸쉬부재와; 스틱이 여러 칸에 나뉘어 저장되고, 하단의 1열부터 배출되게 푸쉬부재의 전진측에 설치된 수납통부재와; 스틱의 배출 후를 안내하고, 병렬로 다수개 위치되도록 설치 형성된 가이드판부재와; 가이드판부재의 양측에 회동장치로 회전하여 롤스펀지를 일정 구간씩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롤러부재와; 롤러부재 일측에 이동하는 롤스펀지를 분리하여 틈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배출을 안내하게 설치된 분리안내부재와, 가이드판부재로 안내되어 롤 스펀지 사이에 위치되는 스틱이 승강장치에 의해 누름지지대와 동시 작동하여 샘플 채취봉을 상,하에서 가열 압축하게 설치된 금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조립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전,후진하게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상에 설치되는 푸쉬몸체의 전진측을 향해 일정 간격과 길이로 다수 설치된 푸쉬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부재는 정육면체 형태로 바닥판 상에 4면으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전,후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스틱을 수용하게 내부가 분할 설치된 격판과, 상기 격판으로 나뉘어 형성된 수납공간의 전,후 측판의 하단부분을 관통시킨 통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스틱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양단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롤 스펀지를 일측에서 공급하게 제1상부롤러와 제1하부롤러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1회전기어와, 타측의 제1하부롤러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체인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는 인입롤러부와, 상기 인입롤러부의 타측에 채취봉과 롤 스펀지를 배출하게 제2상부롤러와 제2하부롤러로 배치되고, 일측 회전축 각각에 설치되어 회전을 동일하게 하는 제2회전기어와, 타측의 제1하부롤러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체인 스프로켓으로 구성되면서 제2회전기어측에서 연장되는 제2하부롤러의 회전축에 일방향 피니언기어를 설치한 배출롤러부와, 상기 일방향 회전기어와 치합하는 랙기어를 설치하여 유압으로 왕복 운동하게 설치한 제1복동실린더로 구비된 회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리안내부재는 인입롤러부측에 설치되는 롤 스펀지를 상,하로 분리하는 2겹분리대와, 2겹분리대의 타측인 배출롤러부의 외측에 배출되는 롤 스펀지를 안내하게 설치된 스펀지 가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겹 분리대는 롤 스펀지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인입롤러부의 내측에 상부 스펀지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 가이드핀과, 하부 스펀지를 안내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 가이드핀과, 상기 상,하부 가이드핀의 간격 유지하게 설치된 측면가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가이더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바와, 이 지지바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측면 가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재는 가이드판부재의 전방 하부받침대 상에 히팅되도록 하부측 봉헤드를 형성하여 설치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상부받침대 저부에 히팅되도록 상부측 봉헤드를 형성하여 설치된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이 승강하도록 상측에 설치된 제2복동실린더와 연동하여 가이드판부재 상의 스틱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지지대가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가이드부로 구비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채취봉 제작장치.
KR20-2005-0026508U 2005-09-14 2005-09-14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KR200403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508U KR200403883Y1 (ko) 2005-09-14 2005-09-14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508U KR200403883Y1 (ko) 2005-09-14 2005-09-14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83Y1 true KR200403883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508U KR200403883Y1 (ko) 2005-09-14 2005-09-14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65B1 (ko) * 2022-03-22 2022-06-13 주식회사 더좋은기계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KR20230019627A (ko) 2021-08-02 2023-02-09 (주)에프바이오 채취스틱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27A (ko) 2021-08-02 2023-02-09 (주)에프바이오 채취스틱 제조장치
KR102408465B1 (ko) * 2022-03-22 2022-06-13 주식회사 더좋은기계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883Y1 (ko)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CN114796725A (zh) 一种仿人手拔拽式麻醉科针管环保消毒处理设备
KR20120062045A (ko) 라미네이트 튜브 성형 절단장치
CN117067470A (zh) 一种预成型流延膜的制备设备及其工艺
CN216442732U (zh) 一种胶合板高效涂胶装置
CN114179372B (zh) 一种制备苍耳口罩的生产设备
CN210970107U (zh) 一种裁切效果好的塑料袋膜卷裁切装置
CN112959078B (zh) 一种用于彩钢瓦生产的设备
CN212948262U (zh) 一种乒乓球板材加工用压紧设备
CN212388244U (zh) 一种口罩布料裁切设备
KR100842874B1 (ko) 솜 제조장치
CN210337091U (zh) 一种传输装置
CN209937709U (zh) 一种用于涂布成型的内膜压膜装置
CN108852770B (zh) 含中药刺激的多种按摩方式集成化的医疗肩部按摩设备
TWM611766U (zh) 可彎曲的紙質水煙管的製作裝置
KR200466012Y1 (ko) 퍼프컷팅장치
CN216634499U (zh) 一种湿巾生产用剪切机
CN220761645U (zh) 一种液压摆式剪板机
CN215243267U (zh) 一种包装编织袋出料收集装置
CN219342673U (zh) 一种医用敷贴原材料生产裁剪装置
CN211496362U (zh) 一种可吸收缝合线用的绕线装置
CN217937392U (zh) 一种鞋底生产用粘合设备
CN210504886U (zh) 一种柠檬味的接装纸生产用盘卷装置
CN217752913U (zh) 一种毛巾压缩机
CN114672986A (zh) 一种多糖长效保湿无纺布生产工艺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