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465B1 -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465B1
KR102408465B1 KR1020220035472A KR20220035472A KR102408465B1 KR 102408465 B1 KR102408465 B1 KR 102408465B1 KR 1020220035472 A KR1020220035472 A KR 1020220035472A KR 20220035472 A KR20220035472 A KR 20220035472A KR 102408465 B1 KR102408465 B1 KR 10240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b
stack
stack assembly
insertion hole
sampl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좋은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좋은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좋은기계
Priority to KR102022003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1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eans for automatically ejecting the stored art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봉 자동 공급장치로서 개별 포장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을 자동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Apparatus for auto-supply swab for specimen collection}
본 발명은 면봉 자동 공급장치로서 개별 포장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을 자동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의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질병을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강검진은 피검사자로부터 핼액이나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한 후, 채취된 검체에 대해 생화학검사, 면역혈청검사, 혈액학검사 등을 다양하게 실시하여 현재 피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2009년에 공기 전염에 의해 전염속도가 빠르고 치사율이 매우 높은 신종 인플루엔자(신종 플루)가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였고,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감염자가 발생하여 다수의 사망자가 보고됨에 따라 신종 플루의 감염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가 전국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이루어졌다.
최근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지활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감염자의 비말이 호흡기나 눈, 코 또는 입의 점막으로 침투할 때 전염되는데 감염되면 약 2~14일의 잠목기를 거친 뒤 발열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성 호흡기 질환의 감염 의심환자에 대한 확진검사는 의료진이 개인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기도, 상기도 2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하기도 검체인 가래는 별도의 통에 담고, 상기도는 내부의 점막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고통을 주지 않게 잘 휘어지는 긴 면봉을 비강에 삽입해 콧ㅎ물 등 분비물을 코 취쪽 내벽의 점막으로부터 채취하게 된다.
실제로 비강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부분인 비강의 내부 벽에 닿도록 검체 채취용 면봉을 코에 깊숙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분비물이 눈에 보일 정도로 충분한 양을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체 채취용 면봉(10)은 굴곡진 비강 내벽까지 이르기 위해 도 1과 같이 검체 채취부(11)와 손잡이(13) 사이에 얇고 긴 휨부(12)를 구성함으로써, 휨부(12)가 휘어지면서 검체 채취부(11)가 굴곡진 비강까지 이를 수 있다.
검체 채취용 면봉(10)은 하나씩 개별 포장되는데, 기계에서 대량 생산된 면봉(10)은 긴 휨부(12) 때문에 서로 얽혀 일일이 개별포장하는데 수작업이 필요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제20-1992-0007916호, "연봉 포장 보조구"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8457호, "검체 채취용 면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검체 채취용 면봉(10)을 자동을 개별 포장할 수 있는 면봉 공급기(100)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는 판 형태의 몸체에 소정 간격마다 관통공(133)이 천공된 베이스(130); 상기 관통공(133)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30) 상부에서 슬라이드 왕복 운동하는 판 형태의 런 플레이트(120); 상기 관통공(133)과 동일한 간격으로 면봉 삽입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형성된 스택 조립체(A); 및 상기 런 플레이트(120)를 스택 조립체(110)와 베이스(130) 사이에서 슬라이드 왕복 구동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택 조립체(A)는 소정 개수의 스택(110)이 연속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택(110)은 육면체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면에는 면봉(10)의 평단면의 반 형태인 면봉 홈(111)이 형성됨으로써, 2개의 스택(110)이 체결되어 스택(110) 사이에 면봉 삽입구(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는 면봉(10)의 휨부(12)와 손잡이(13)만 삽입되고,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는 스택 조립체(A)의 앞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택 조립체(A)의 전면에는 노출된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가 통과하는 통공이 구비된 체결구가 체결되어 각 스택(110)을 체결, 고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가이드 봉(1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123)은 베이스(13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싱(135)에 삽입되어 런 플레이트(120)의 슬라이드 왕복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택 조립체(A)에 면봉(10)을 자동 공급하는 충전 스택(140);을 더 구성하되, 상기 충전 스택(140)은 수직 면봉 삽입구(147)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면봉 삽입구(147)와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가 일치되도록 충전 스택(140)을 스택 조립체(A)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포장지에 검체 채취용 면봉(10)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검체 채취용 면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가 스택에 쌓인 면봉을 포장지에 하나씩 분배 포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충전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충전 스택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면봉 공급기에 충전 스택을 체결하여 면봉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충전 스택에 면봉을 충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개수의 스택(110)이 연속 체결된 스택 조립체(A), 런 플레이트(120) 및 베이스(130)로 구성된다.
스택 조립체(A)는 도 4에 도시한 스택(110)이 연속 체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스택(110)은 도 4와 같이, 육면체 형태의 몸체 양측 면에 면봉 홈(111)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스택(110)의 양측 면에 형성된 면봉 홈(111)은 검체 채취용 면봉(10)의 평단면에서 축 방향으로 반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스택(11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택(110)을 측방향으로 여러 개 결합하여 스택 조립체(A)가 구성되는데, 각각의 스택(110)이 접하는 부분에는 어느 한 스택(110)의 면봉 홈(111)과 이웃한 다른 스택(110)의 면봉 홈(111)이 결합되어 도 2 및 도 3과 같이 면봉(10)의 평단면 형태인 면봉 삽입구(113)가 형형성된다.
여러 개의 스택(110)을 체결하여 스택 조립체(A)를 구성하면 원하는 크기의 스택 조립체(A)를 현장 상황에 맞도록 체결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변경작업도 수월하다.
스택 조립체(A)의 전면 상, 하부에 각각 상부 체결구(114)와 하부 체결구(116)가 체결되고, 스택 조립체(A)의 후면에는 백 플레이트(118)가 체결됨으로써, 스택 조립체(A)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체결구(114, 116)에는 각각 면봉 삽입구(113)가 연장된 형태로 통공(115, 117)이 형성된다.
스택 조립체(A)의 각 면봉 삽입구(113)에 면봉(10)을 삽입하여 적층 보관하는데, 면봉(10)은 도 1과 같이 선단부에 검체 채취부(11)가 형성된다.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는 많은 섬유들이 뭉쳐 구성되는데, 면봉(10)을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삽입하면 면봉(10)의 손잡이(13)와 휨부(12)는 스택 조립체(A) 내부로 삽입되고,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는 스택 조립체(A)의 전방으로 노출되는데, 이 노출된 검체 채취부(11)는 상, 하부 체결구(114, 116)를 통해 이후 설명하는 하부의 런 플레이트(120)로 공급된다.
검체 채취부(11)가 스택 조립체(A)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스택(110)과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과 서로 마찰하면서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삽입된 면봉(10)이 마찰력에 의해 하부의 런 플레이트로 낙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는 스택 조립체(A)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스택 조립체(A)의 하부에는 런 플레이트(120)가 접하여 구성된다.
런 플레이트(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에는 스택 조립쳉의 면봉 삽입구(113)들과 같은 간격으로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로드 체결구(122)가 형성되고, 런 플레이트(120)의 타측에는 봉 형태의 가이드 봉(123)이 형성된다.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하부에는 판 형태의 베이스(130)가 런 플레이트(120)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30)에는 백 플레이트(118)의 면봉 삽입구(113) 및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공(133)이 형성되고, 베이스(130)의 일측에는 액추에이터(134)가 고정된 지지구(132)가 형성되고, 베이스(130)의 타측에는 가이드 부싱(135)이 구비된 고정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30)에는 입벽 형태로 한 쌍의 고정구(131)가 형성되는데 스택 조립체(A)는 상기 고정구(131)에 접하도록 체결됨으로써, 런 플레이트(120)의 슬라이드 왕복 운동에도 스택 조립체(A)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34)는 런 플레이트(120)의 로드 체결구(122)와 체결되고, 런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봉(123)은 고정구(131)의 가이드 부싱(135)에 삽입된다.
액추에이터(134)가 구동할 때 런 플레이트(120)는 스택 조립체(A)와 베이스(130) 사이에서 슬라이드 왕복 운동하는데, 런 플레이트(120)의 가이드 봉(123)이 베이스(130)의 고정구(131)에 형성된 가이드 부싱(135)에 삽입된 상태로 런 플레이트(120)가 왕복 슬라이드 운동하므로 런 플레이트(12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왕복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130)의 하부에는 홈(21)이 연속으로 형성된 포장지(20)가 위치하는데, 포장지(20)의 홈(21) 간격은 베이스(130)의 관통공(133)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면봉 공급기(100)가 포장지(20)의 홈(21)에 검체 채취용 면봉(10)을 자동으로 삽입 안착시켜 포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액추에이터(134)가 구동하기 전에는 도 6과 같이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은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와 일치하는 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적층된 면봉(10)이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에 낙하하여 삽입된 상태이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34)가 구동하면 액추에이터(134)의 로드가 돌출하며 런 플레이트(120)를 가이드 부싱(135)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런 플레이트(120)가 가이드 부싱(135)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도 7과 같이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이 베이스(130)의 관통공(133)과 일치하게 되고,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에 위치한 면봉(10)이 베이스(130)의 관통공(133)으로 낙하하면서 관통공(133)을 통과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포장지(20)의 홈(21)으로 낙하, 삽입된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34)의 로드가 실린더로 삽입되면서 런 플레이트(120)가 도 6의 위치로 복귀 즉,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33) 위치와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이 일치하게 된다.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33) 위치와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이 일치하는 순간 도 6과 같이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적층 보관된 면봉(10)이 낙하하여 런 플레이트(120)의 관통공(121)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며 베이스(130) 하부에서 수평 이동하는 포장지(20)의 홈(21)에 면봉(10)이 연속 삽입되고, 이후의 공정을 통해 포장지(20)의 홈(21)이 밀폐되어 포장이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봉 공급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택 조립체(A)에 면봉을 간단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스택 조립체(A)의 면봉(10)이 거의 소진될 때 작업자는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면봉(10)을 넣어 충전하여야 한다. 그런데 면봉(10)의 휘청거리는 휨부(12) 때문에 스택 조립체(A)의 좁은 면봉 삽입구(113)에 면봉(10)을 차곡차곡 넣기가 매우 힘들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택 조립체(A)의 좁은 면봉 삽입구(113)에 빠르고 간편하게 면봉(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충전 스택(140)이 구성된다.
충전 스택(4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41a)와 제2 몸체(141b)가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제1, 2 몸체(141a, 141b)의 접하는 면에는 면봉 홈(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제1, 2 몸체(141a, 141b)가 체결되면 몸체의 상부에 면봉 삽입구(147)가 형성된다. 상기 면봉 삽입구(147)는 몸체의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충전 스택(140)을 이용하여 면봉 공급기(100)에 면봉(10)을 공급할 때 면봉 공급기(100)의 스택 조립체(A)에 충전 스택(140)을 체결, 고정함으로써, 충전 스택(140)의 면봉(10)이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체결 장치는 도 10과 같이 충전 스택(140)의 몸체 하부 면에 핀 홈(143)이 형성되고, 도 8과 같이 스택 조립체(A)에 상향 돌출되어 충전 스택(140)의 핀 홈(143)에 삽입되는 핀(145)이 형성된다.
평단면이 다각 형태로 스택 조립체(A)의 핀(145)을 형성하고, 핀(145)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충전 스택(140)의 핀 홈(143)을 형성하면, 핀(145)을 핀 홈(143)에 삽입, 체결하였을 때 충전 스택(140)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과 같이 스택 조립체(A)의 각 스택(110)의 상부에 충전 스택(110)의 폭만큼 이격된 한 쌍의 고정 돌기(146)를 형성함으로써, 도 11과 같이 한 쌍의 고정 돌기(146)가 충전 스택(140)의 양측에 밀착되어 충전 스택(14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내부에 면봉(10)이 충전된 충전 스택(140)을 도 11과 같이 스택 조립체(A)에 상부에 체결하면, 중력에 의해 충전 스택(140) 내부에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던 면봉(10)이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로 삽입되므로 간편하게 충전된다.
도 12는 충전 스택(140)에 면봉(10)을 자동으로 충전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152)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충전 스택(140)의 면봉 삽입구(147)가 일치되도록 위치한 후 컨베이어(151)를 통해 가이드(152)로 면봉(10)을 연속 공급한다.
깔때기 형태의 가이드(152)에 이른 면봉(10)은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충전 스택(140)의 면봉 삽입구(147)로 삽입되어 충전된다.
이때, 충전 스택(140)의 몸체에 형성된 확인 창(144)을 통해 충전 스택(140)에 면봉(10)이 얼마나 충전되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와 같이 자동으로 충전된 충전 스택(140)을 도 11과 같이 스택 조립체(A)에 결합하면 간편하게 면봉(10)을 스택 조립체(A)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늘고 긴 휨부(12)가 형성된 검체 채취용 면봉(10)을 포장지(20)로 자동 연속 공급함으로써, 인건비비와 포장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A : 스택 조립체
10 : 면봉
11 : 검체 채취부
12 : 휨부
13 : 손잡이
20 : 포장지
21 : 홈
100 : 면봉 공급기
110 : 스택
111 : 면봉 홈
112 : 체결공
113 : 면봉 삽입구
114 : 상부 체결구
115 : 통공
116 : 하부 체결구
117 : 통공
118 : 백 플레이트
120 : 런 플레이트
121 : 관통공
122 : 로드 체결구
123 : 가이드 봉
130 : 베이스
131 : 고정구
132 : 지지구
133 : 관통공
134 : 액추에이터
135 : 가이드 부싱
140 : 충전 스택
141a : 제1 몸체
141b : 제2 몸체
142 : 면봉 홈
143 : 핀 홈
144 : 확인 창
145 : 핀
146 : 고정돌기
147 : 면봉 삽입구
151 : 컨베이어
152 : 가이드
153 : 홀더

Claims (7)

  1. 판 형태의 몸체에 소정 간격마다 관통공(133)이 천공된 베이스(130);
    상기 관통공(133)과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30) 상부에서 슬라이드 왕복 운동하는 판 형태의 런 플레이트(120);
    상기 관통공(133)과 동일한 간격으로 면봉 삽입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형성된 스택 조립체(A); 및
    상기 런 플레이트(120)를 스택 조립체(110)와 베이스(130) 사이에서 슬라이드 왕복 구동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조립체(A)는 소정 개수의 스택(110)이 연속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110)은 육면체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면에는 면봉(10)의 평단면의 반 형태인 면봉 홈(111)이 형성됨으로써, 2개의 스택(110)이 체결되어 스택(110) 사이에 면봉 삽입구(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는 면봉(10)의 휨부(12)와 손잡이(13)만 삽입되고,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는 스택 조립체(A)의 앞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조립체(A)의 전면에는 노출된 면봉(10)의 검체 채취부(11)가 통과하는 통공이 구비된 체결구가 체결되어 각 스택(110)을 체결, 고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가이드 봉(12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봉(123)은 베이스(13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싱(135)에 삽입되어 런 플레이트(120)의 슬라이드 왕복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조립체(A)에 면봉(10)을 자동 공급하는 충전 스택(140);을 더 구성하되, 상기 충전 스택(140)은,
    수직 면봉 삽입구(147)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면봉 삽입구(147)와 스택 조립체(A)의 면봉 삽입구(113)가 일치되도록 충전 스택(140)을 스택 조립체(A)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KR1020220035472A 2022-03-22 2022-03-22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KR10240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72A KR102408465B1 (ko) 2022-03-22 2022-03-22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472A KR102408465B1 (ko) 2022-03-22 2022-03-22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465B1 true KR102408465B1 (ko) 2022-06-13

Family

ID=8198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72A KR102408465B1 (ko) 2022-03-22 2022-03-22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3583A (zh) * 2022-08-02 2022-09-02 浙大城市学院 核酸检测咽拭子分拆递送机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916Y1 (ko) 1990-05-23 1992-10-22 유응준 면봉 포장 보조구
KR960020011U (ko) * 1994-12-15 1996-07-18 최계돈 면봉 자동 제조기의 포장상자 반입/반출장치
KR200403883Y1 (ko) * 2005-09-14 2005-12-14 박봉섭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KR20180123307A (ko) * 2017-05-08 2018-11-16 주은희 개별 포장용 면봉 제조장치
KR20190097522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희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KR20200013749A (ko) * 2018-02-12 2020-02-07 주은희 면봉 이송 장치
KR102078202B1 (ko) * 2019-06-10 2020-02-17 이유미 개별 포장형 면봉 제조장치
KR20220002842A (ko) * 2020-02-13 2022-01-07 주은희 면봉 포장시트 접합장치
KR20220008457A (ko) 2020-07-14 2022-01-21 김한영 검체 채취용 면봉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916Y1 (ko) 1990-05-23 1992-10-22 유응준 면봉 포장 보조구
KR960020011U (ko) * 1994-12-15 1996-07-18 최계돈 면봉 자동 제조기의 포장상자 반입/반출장치
KR200403883Y1 (ko) * 2005-09-14 2005-12-14 박봉섭 샘플 채취봉과 그 제작장치
KR20180123307A (ko) * 2017-05-08 2018-11-16 주은희 개별 포장용 면봉 제조장치
KR20190097522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희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KR20200013749A (ko) * 2018-02-12 2020-02-07 주은희 면봉 이송 장치
KR102078202B1 (ko) * 2019-06-10 2020-02-17 이유미 개별 포장형 면봉 제조장치
KR20220002842A (ko) * 2020-02-13 2022-01-07 주은희 면봉 포장시트 접합장치
KR20220008457A (ko) 2020-07-14 2022-01-21 김한영 검체 채취용 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3583A (zh) * 2022-08-02 2022-09-02 浙大城市学院 核酸检测咽拭子分拆递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990B2 (en) Vacuum assisted lancing system with depth controller and method for blood extraction with minimal pain
KR102408465B1 (ko) 검체 채취용 면봉 자동 공급장치
US20140171832A1 (en) Vacuum assisted lancing system with elective vacuum release and method for blood extraction with minimal pain
US20120101406A1 (en) Biaxial test head
CN116477183A (zh) 一种具备防交叉污染隔离功能的血样采集箱
CN109124554A (zh) 妇科检查给药取样一体装置
CN109174223A (zh) 医学试剂调配与整合设备
CN212724448U (zh) 一种集成了动作评估功能的显微操作练习装置
CN219516366U (zh) 一种病原体的采样装置
CN202063921U (zh) 一种全自动血培养仪
CN212316111U (zh) 一种含菌材料划线机构
CN218358860U (zh) 一种兽医检测用实验装置
CN212174954U (zh) 一种含菌材料划线部件
CN200951113Y (zh) 一种防止患者舌后坠的装置
CN214142352U (zh) 一种兽医微生物鉴定试剂板
CN213886263U (zh) 一种心内科采血用试剂瓶固定架
CN209630289U (zh) 整形科专用切口术后引流装置
CN214667768U (zh) 一种高效的毛发样本提取装置
CN211443166U (zh) 一种安全性好的医学检测用试管转运箱
CN108773561A (zh) 一种妇科炎症检测用pcr试剂盒
CN220496421U (zh) 夹持机构及真空采血管放置架
CN113462540A (zh) 一种含菌材料划线机构
CN215084152U (zh) 一种烧伤护理用消毒上药装置
CN217744478U (zh) 一种肛肠吻合器用弯头钉
CN209758288U (zh) 一种检验科标本递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