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757Y1 - 배관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배관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57Y1
KR200403757Y1 KR20-2005-0025783U KR20050025783U KR200403757Y1 KR 200403757 Y1 KR200403757 Y1 KR 200403757Y1 KR 20050025783 U KR20050025783 U KR 20050025783U KR 200403757 Y1 KR200403757 Y1 KR 200403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clamp
fixture
bo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20-2005-0025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연패드를 구비하여 배관파이프 내부로 냉/온수 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시에 소음이나 진동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클램프에 의해 지지바에 배관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의 단순함에 따른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굴곡된 설치면이 형성된 설치장소에서도 배관파이프의 설치가 일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양측에 외향플랜지(111)가 각각 연장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덮개(110)와, 상기 상부덮개(110)와 볼트체결되는 외향플랜지(121)가 양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하부덮개(120)와, 상기 하부덮개(120)의 하단외측면에 일측이 용착고정되고 외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돌기(131)가 돌설되며 내측에 장공(132)이 통공된 높낮이 체결부(13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와;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체결부(130) 외측면에 돌설된 스토퍼돌기(131)에 체결되는 스토퍼홈(211)이 내측면에 다수개 요입형성되고 일측에 플랜지(212)가 연장되며 상기 높낮이 체결부(130)와 볼트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하단측에 구비된 절연패드(220)와, 상기 절연패드(220)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및 절연패드(220)와 볼트결합되고 일측에 절곡된 걸이편(231)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32)를 갖는 상부클램프(200)와;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타측 플랜지(232)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311)가 상측단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하단에 절곡된 체결편(312)을 갖는 하부클램프(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배관파이프가 내삽고정되는 배관파이프 고정체가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에 의해 바닥면에 설치된 지주바에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볼팅에 의한 천공작업 없이도 배관파이프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클램프에 구비된 절연패드에 의해 배관파이프 내부로 유체(流體)의 흐름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배관파이프 고정체의 하단측에 구비된 높낮이 체결부의 스토퍼돌기와 상부클램프의 스토퍼홈에 의해 배관파이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 예컨대,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설치면에 설치고정되더라도 배관파이프의 수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배관파이프 고정구{SUPPORTTING TOOL FOR PIPELINE}
본 고안은 건물의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바에 배관파이프를 고정하여 지지함에 있어서, 지지바로부터 배관파이프의 설치높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 용이하고 지주바에 타공하지 않고 바로 클램프에 의해 배관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비된 절연패드에 의해 소음방지 및 진동이 방지되어 배관파이프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배관파이프 내부로 냉/온수 등과 같은 내용물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축시에 보일러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냉/온수 등이 지나가는 관로인 배관파이프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수단으로는 파이프 슈(pipe shoe), 파이프 지지구(pipe support), 또는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등으로 지칭되는 배관파이프 고정구가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 배관파이프 고정구 또는 홀더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반원관 형상의 하부덮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부덮개를 연결하여 주는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덮개 상에 하부 덮개와 대응되게 결합되는 반원관 형상의 상부덮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는 일체로 되고, 하부덮개와 상부덮개는 별도의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를 대향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덮개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 사이에는 파이프가 관통 설치되며, 파이프와 각 덮개의 사이에는 덮개와 파이프 간의 열교환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패드(insulator pad)가 개입되어 결로(結露)를 방지함과 함께 파이프를 압박하여 파이프가 상/하부덮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절연패드는 러버(rubber)로 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홀더는 구조물로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조물 상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금속재 가이더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단이 각각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더는 구조물과 용접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구조물과는 이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관파이프 고정구 또는 홀더는, 상/하부 덮개에 의해 배관파이프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들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배관파이프가 건물의 바닥면 등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지지바)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상/하부 덮개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바로 연결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배관파이프 내부로 냉/온수 등과 같은 물질이 지나갈 경우에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가이더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 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하부 덮개간에 볼트공을 통공하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배관파이프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지지바)에 볼트공을 타공하는 작업이 어려워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인 지지바에 고정되는 상/하부 덮개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예컨대 건물의 바닥면 또는 건물보의 표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엔, 배관파이프의 설치위치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지 않고 굴곡되게 설치됨으로써 배관파이프의 내부를 지나가는 냉/온수 등과 같은 유체(流體)물질의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배관파이프 고정구 또는 배관파이프 지지구 또는 배관파이프 지지홀더 등이 안출되고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관파이프를 고정하는 배관파이프 고정구 또는 홀더가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절연패드를 구비하여 배관파이프 내부로 냉/온수 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시에 소음이나 진동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클램프에 의해 지지바에 배관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 설치작업의 단순함에 따른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굴곡된 설치면이 형성된 설치장소에서도 배관파이프의 설치가 일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양측에 외향플랜지가 각각 연장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볼트체결되는 외향플랜지가 양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하부덮개와, 상기 하부덮개의 하단외측면에 일측이 용착고정되고 외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돌기가 돌설되며 내측에 장공이 통공된 높낮이 체결부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파이프고정체와;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의 체결부 외측면에 돌설된 스토퍼돌기에 체결되는 스토퍼홈이 내측면에 다수개 요입형성되고 일측에 플랜지가 연장되며 상기 높낮이 체결부와 볼트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플랜지 하단측에 구비된 절연패드와, 상기 절연패드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의 플랜지 및 절연패드와 볼트결합되고 일측에 절곡된 걸이편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갖는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클램프의 타측 플랜지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가 상측단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하단에 절곡된 체결편을 갖는 하부클램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파이프고정체의 상부덮개와 하부덮개의 내측에는 절연재가 더 내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빈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배관파이프가 내삽고정되는 배관파이프 고정체가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에 의해 'ㄷ'자 형상의 지지바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볼팅에 의한 천공작업 없이도 배관파이프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클램프에 구비된 절연패드에 의해 배관파이프 내부로 유체(流體)의 흐름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배관파이프 고정체의 하단측에 구비된 높낮이 체결부의 스토퍼돌기와 상부클램프의 스토퍼홈에 의해 배관파이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 예컨대,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설치면에 설치고정 되더라도 배관파이프의 수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양측에 외향플랜지(111)가 각각 연장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덮개(110)와, 상기 상부덮개(110)와 볼트체결되는 외향플랜지(121)가 양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하부덮개(120)와, 상기 하부덮개(120)의 하단외측면에 일측이 용착고정되고 외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돌기(131)가 돌설되며 내측에 장공(132)이 통공된 높낮이 체결부(13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와,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체결부(130) 외측면에 돌설된 스토퍼돌기(131)에 체결되는 스토퍼홈(211)이 내측면에 다수개 요입형성되고 일측에 플랜지(212)가 연장되며 상기 높낮이 체결부(130)와 볼트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하단측에 구비된 절연패드(220)와, 상기 절연패드(220)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및 절연패드(220)와 볼트결합되고 일측에 절곡된 걸이편(231)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32)를 갖는 상부클램프(200)와,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타측 플랜지(232)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311)가 상측단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하단에 절곡된 체결편(312)을 갖는 하부클램프(300)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B는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를 나타낸 것이며, 미설명 부호 N은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한 볼트결합 이외에 필요에 따라 또 다른 결합수단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절연패드(220)는,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에 끼움 고정되는 배관파이프 내부측으로 유체(流體)가 흐를 때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하시키기 위해 경질의 고무재질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차음 및 차동 효과를 갖는 재질이면 어느것이든지 관계없다.
또한,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의 내측에는 절연재(140)가 더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절연재(140)에 의해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배관파이프(P)의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관파이프(P)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와 배관파이프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현상은 물론 부식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바(400)에 상기 상부클램프(200)와 하부클램프(300)가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적어도 1개 이상의 배관파이프(P)를 고정지지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바(400)에 배관파이프(P)가 끼움 고정된 배관파이프 고정체(1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이 상호간에 볼트결합된 상부클램프(200)와 하부클램프(300)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배관파이프(P)의 고정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바(400)에 배관파이프(P)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상부클램프(200)와 하부클램프(300)를 지지바(400)에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볼트체결하면 되는 바, 이때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걸이편(231)과 하부클램프(300)의 체결편(312)을 지지바(400)의 일측에 걸어져 체결한 다음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상부클램프(200)와 하부클램프(300)를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걸이편(231)과 하부클램프(300)의 체결편(312)이 상기 지지바(400)의 일측단에 걸어지게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클램프(200)와 하부클램프(300)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400)에 체결된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플랜지(212) 상단 일측에 연장된 결합홈(210)의 일면 스토퍼홈(211)에 설치하고자 하는 배판파이프(P)를 적절한 위치에 오도록 상기 하부덮개(120)의 높낮이 체결부(130)를 위치시켜 높낮이 체결부(130)의 외측면에 돌설된 스토퍼돌기(131)를 상기 결합부(210)의 스토퍼홈(211)에 끼운 다음, 볼트(B)와 너트(N)를 상기 높낮이체결부(130)의 장공(132)으로부터 인입시켜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하부덮개(120)를 상부클램프(20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부클램프(200)에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하부덮개(120)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하부덮개(120)의 내측에 배관파이프(P)를 위치시키고 상부덮개(110)를 하부덮개(120)의 외측으로 포설하여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를 보트체결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40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배관파이프(P)를 설치한다.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120)의 하단측에 구성된 높낮이 체결부(130)의 스토퍼돌기(132)와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결합부(210)에 형성된 스토퍼홈(211)에 의해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파이프(P)의 설치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예를들어 건물의 신축시에 배관파이프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이나 천정 보 또는 벽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굴곡지더라도 배관파이프를 수평지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의하면, 배관파이프가 내삽고정되는 배관파이프 고정체가 상부클램프와 하부클램프에 의해 지주바에 체결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볼팅에 의한 천공작업 없이도 배관파이프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클램프에 구비된 절연패드에 의해 배관파이프 내부로 유체(流體)의 흐름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배관파이프 고정체의 하단측에 구비된 높낮이 체결부의 스토퍼돌기와 상부클램프의 스토퍼홈에 의해 배관파이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 예컨대,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설치면에 설치고정되더라도 배관파이프의 수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의해 배관파이프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배관파이프 고정구에 의해 설치되는 배관파이프의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관파이프 고정체 110 : 상부덮개
111, 121, 212, 232, 311 : 플랜지 120 : 하부덮개
130 : 높낮이체결부 131 : 스토퍼돌기
132 : 장공 200 : 상부클램프
210 : 결합부 211 : 스토퍼홈
220 : 절연패드 231 : 걸이편
300 : 하부클램프 312 : 체결편

Claims (2)

  1. 양측에 외향플랜지(111)가 각각 연장형성된 반원형상의 상부덮개(110)와, 상기 상부덮개(110)와 볼트체결되는 외향플랜지(121)가 양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하부덮개(120)와, 상기 하부덮개(120)의 하단외측면에 일측이 용착고정되고 외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돌기(131)가 돌설되며 내측에 장공(132)이 통공된 높낮이 체결부(13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와;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체결부(130) 외측면에 돌설된 스토퍼돌기(131)에 체결되는 스토퍼홈(211)이 내측면에 다수개 요입형성되고 일측에 플랜지(212)가 연장되며 상기 높낮이 체결부(130)와 볼트결합되는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하단측에 구비된 절연패드(220)와, 상기 절연패드(220)의 하단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210)의 플랜지(212) 및 절연패드(220)와 볼트결합되고 일측에 절곡된 걸이편(231)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32)를 갖는 상부클램프(200)와;
    상기 상부클램프(200)의 타측 플랜지(232)에 볼트결합되는 외향플랜지(311)가 상측단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하단에 절곡된 체결편(312)을 갖는 하부클램프(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파이프 고정체(100)의 상부덮개(110)와 하부덮개(120)의 내측에는 절연재(140)가 더 내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고정구.
KR20-2005-0025783U 2005-09-07 2005-09-07 배관파이프 고정구 KR200403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83U KR200403757Y1 (ko) 2005-09-07 2005-09-07 배관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783U KR200403757Y1 (ko) 2005-09-07 2005-09-07 배관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57Y1 true KR200403757Y1 (ko) 2005-12-14

Family

ID=4370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783U KR200403757Y1 (ko) 2005-09-07 2005-09-07 배관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09B1 (ko) 2006-04-19 2007-10-01 한이금속주식회사 난방용 라디에이터 받침구
KR100918096B1 (ko) 2007-09-14 2009-09-22 고려피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US11570851B2 (en) 2014-02-17 2023-01-31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isolation cla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09B1 (ko) 2006-04-19 2007-10-01 한이금속주식회사 난방용 라디에이터 받침구
KR100918096B1 (ko) 2007-09-14 2009-09-22 고려피팅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US11570851B2 (en) 2014-02-17 2023-01-31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 isolation c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679Y1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장치
US9206927B2 (en) Utility conduit suppor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US9834914B2 (en) Modular plumb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252071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403757Y1 (ko) 배관파이프 고정구
KR200440778Y1 (ko) 내진패드가 구비된 배관용 지지구
KR200403758Y1 (ko) 절연패드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고정구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JP7179467B2 (ja) 電気絶縁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固定具
JP2008248519A (ja) メータ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及びメータユニット組付体
KR200447084Y1 (ko) 배관 고정 장치
KR20140003489U (ko)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KR20060104739A (ko)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KR20190000492U (ko) 배관 고정 장치
JP3150922U (ja) 空調室内機のドレンアップ配管
JP2022160192A (ja) 排水管の支持構造の施工方法、その施工方法で施工された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で使用される支持金物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KR200362351Y1 (ko) 건축용 배관 파이프의 지지장치
KR100936461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JP4002665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200158707Y1 (ko) 파이프 지지장치
KR100930123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가스 계량기 배관용 클램프
KR10101227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100000247U (ko) 덕트 고정용 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