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635Y1 - flowerpot for dwarf tree - Google Patents

flowerpot for dwarf tr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635Y1
KR200403635Y1 KR20-2005-0026119U KR20050026119U KR200403635Y1 KR 200403635 Y1 KR200403635 Y1 KR 200403635Y1 KR 20050026119 U KR20050026119 U KR 20050026119U KR 200403635 Y1 KR200403635 Y1 KR 200403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sai
lid
pot
potted plant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1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20-2005-0026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6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6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종래의 분재용 화분이 상단면이 넓어서 쉽게 수분이 증발할 뿐 아니라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서 나온 개량형 화분도 분갈이를 할 때 분재의 뿌리를 다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면에 투각에 의해 통기공을 형성하여 공기가 잘 통과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외관도 수려하게 만들며 분재가 자라는 것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할 뿐아니라 분재를 넣고 뺄 수 있는 삽입공의 단면은 경사를 형성하여 분갈이를 위하여 분재를 뺄 때 뿌리가 다치지 않도록 한다. As a conventional potted plant pot has a wide top surface, moisture is easily evaporated, and an improved potted plant to improve this tends to injure the root of the bonsai when it is divided.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ventilation hole on the top surface to not only allow air to pass well, but also to make the appearance beautiful and to see the bonsai grow, as well as to add and remove bonsai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forms a slope so that the roots are not injured when the bonsai is pulled out for splitting.

Description

분재용 화분{flowerpot for dwarf tree}Flowerpot for dwarf tree

본 고안은 분갈이가용이하고 통풍이 잘되는 분재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분재를 심는 것과 나중에 뿌리 및 잎이 다치지 않게 분재를 넣고 빼는게 가능하며 통기성이 좋은 분재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that is easy to use and ventilated. It is possible to plant bonsai and to later add and remove bonsai so that the roots and leaves are not injured, and a potable potted plant for ventilation.

분재란 작은 분(盆)에 키 낮은 나무를 심어 그 노거목의 특징과 정취를 축소시켜 가꾼것을 말하는데 관상을 위하여 화분에 심어서 줄기나 가지를 운치있게 다듬거나 변형시켜 가꾼 나무 등을 말한다. Bonsai refers to a tree planted with a small tree in order to reduce the characteristics and mood of the old tree, and to change it by planting it in a flower pot for ornamental purposes.

분갈이란 화분에 있는 흙을 새로운 것으로 갈아주는 것을 말하는데 일반 잡목은 1년에 1번씩 봄철에 새로운 산모래 등으로 분갈이를 하게 된다. Splitting refers to changing soil in pots with new ones. General crops are divided once a year into new mountain sand.

분갈이를 하는 이유는 작은 화분에서 분재를 키우게 되면 배양토의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흙으로 갈아심어야 하는 것이며 이때는 화분안에 가득히 자란 뿌리를 잘 파내어 옮겨 심음으로써 신진대사를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ason for splitting is to grow bonsai in a small flower pot, so the strength of the culture soil is reduced, so you have to grind it in a new soil. At this time, you will be able to promote metabolism by digging and moving the roots full of pots.

도1은 이러한 분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분을 도시하는데, 이러한 화분들은 윗 부분이 완전히 노출되어 있어 물을 주고 채광이 잘 되는 곳에 놓아두면 수분이 금방 말라 버려 물을 자주 공급해주거나 별도의 수분공급부재를 설치하거나 수분증발 방지부재를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Figure 1 shows the pots commonly used in this bonsai, these pots are completely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ing and placed in a well-lit place where moisture quickly dries water often supplies or separate water supply member Must be installed or a moisture evaporation prevention member must be used.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자기형의 분재용 화분이 나온적이 있으나 이러한 도자기 형의 화분은 수분이 쉽게 마르지는 않지만 햇빛이 비치지 않고 통기도 잘 되지 않아 오히려 분재의 뿌리를 썩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분갈이를 위해서 분재를 화분에서 분리해 낼 때 분재의 잎이나 뿌리가 도자기의 입구에 걸려 손상되는 일이 많았다.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ceramic potted pots have been introduced, but these potted pots do not dry easily, but do not shine well and are not well ventilated. When the bonsai was separated from the pots, the leaves or roots of the bonsai were often damaged by the porcelain entranc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분에 공급한 수분이 쉽게 마르지 않게 하면서도 통기성을 개선하여 화분에 심은 분재의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는 분재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for potted plants to prevent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potted plants not easily dry, but also to improve breathability so that the roots of the potted planted plants do not rot. .

또한, 분갈이시에도 분재의 잎과 뿌리를 다치지 않고 용이하게 분갈이가 가능한 분재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tted plant for bonsai that can be easily divided even without splitting the leaves and roots of the bonsai.

또한, 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분재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tted plant with a beautiful appearance while providing the above func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기성이 개선되고 분갈이가 용이한 분재용 화분을 제공하는데, 상기 분재용 화분은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ted planter for improved breathability and easy to divide, the potted planter for bonsai

도자기형태의 분재를 위한 화분으로서, As a pot for bonsai in the form of ceramics,

그 하단에는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며, At the bottom of the drain hole is formed so that water can drain

상기 도자기의 상단 옆면에는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의 단면은 표면에서 안쪽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porcelain, but a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may be inclined inward from the surface.

상기 화분의 상단 면에는 초벌구이전 도자기의 성형단계에서 상기 화분의 표면을 잘라내어 이루어진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The top surface of the po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de by cutting the surface of the pot in the forming step of the pre-baking ceramics.

상기 화분은 뚜껑을 더 포함하는데, The flower pot further includes a lid,

상기 화분의 상단을 상기 화분의 밑면에 평행하게 잘라내되, 상기 잘라진 단면은 경사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번더 잘라내어 턱(1)을 형성하고, The upper end of the pot is cut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ot, the cut section is cut once more so that the inclination is downward to form a jaw (1),

상기 뚜껑의 단면과 상기 턱의 단면의 경사의 방향이 일치하여 상기 턱 위에 상기 뚜껑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이 전체적으로 둥근모양을 이루도록 상기 뚜껑의 일부가 안쪽으로 함입된 것일 수 있다. As the cross-section of the lid and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jaw coincide with the lid on the jaw, a portion of the lid may be recessed inwardly so that the insertion hole has a round shape as a whole.

상기 뚜껑은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The lid may be a plurality of vents are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으로 분재용 화분으로 쓰이는 화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화분들은 전체적인 모양이 사각형이나 원형이냐에만 차이가 있을 뿐 상단부분은 트여 있고 아래쪽으로는 배수를 위한 구멍이 뚫려있는 등 기본적인 구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분재를 심었을 때 위쪽으로 많이 트여 있어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놓았을 때 위쪽의 흙이 쉽게 건조해지는 단점이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a pot generally used as a potted plant for bonsai. These pots differ only in whether the overall shape is square or round, but the top part is open and the bottom is open for drainag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oil on the top is easily dried when placed in a sunny place because it is open to a lot of bonsai planted upwards.

도2는 본 고안에 따르는 분재용 화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화분은 크게 도자기형 화분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자기형 화분 본체는 그 바닥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재를 넣고 빼기 위한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은 커다란 구멍을 형성하여 뚜껑(13)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otted plant for bon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shown in Figure 2 is largely composed of a porcelain-type pot body and a lid. Drainage hole 14 for drainag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orcelain planter body, and an insertion hole 12 for inserting and removing bonsai is formed, and at the top, a large hole is formed so that the lid 13 can be opened and closed. .

특히 삽입공(12) 및 뚜껑을 올려놓는 턱(11)부분은 단순히 구멍을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라 삽입공의 외주 부분의 단면이 화분의 안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외주를 안쪽으로 깍아 놓았다. 단면부분에 경사는 화분의 면에 수직이 되도록 겉면을 잘라낸 뒤 그 단면을 안쪽으로 좀 더 파내게 된다. 따라서, 화분의 안쪽에서 겉면으로 나올수록 삽입공의 조금씩 좁아지는 형태가 된다. 뚜껑을 올려놓는 턱(11)부분도 마찬가지로 턱을 이루는 경계면이 화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였으며 뚜껑의 외주부분도 이에 맞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In particular, the insertion hole 12 and the jaw (11) portion to put the lid is not simply made a ho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was cut inward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to the inside of the pot. The incline on the cross-section cuts out the surface so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face of the pot, and then digs out the cross-section more inward. Therefore,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becomes narrower as it comes out from the inside of the pot. Likewise, the jaw (11) portion on which the lid is placed is formed to have a slope of the potted planter's boundary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is formed to have a slope corresponding thereto.

보통의 화분이나 도자기는 뚜껑을 만들기 위해서 플랜지부를 만들고 그 위에 뚜껑을 얹어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도4참조) 플랜지부가 있음으로 해서 분재를 화분에 심을 때 뿐만이 아니라 심은 후 1년정도 후에 분갈이를 위해 분재를 화분에서 꺼낼때 1년동안 커버린 뿌리나 잎이 화분의 입구에 걸려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In general, pots and ceramics have a flange to make a lid and put a lid on it (see Fig. 4). Because of the flange, not only when planting bonsai but also about 1 year after planting When the bonsai is taken out of the pot, the covered roots or leaves are often damaged by the entrance of the pot.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처럼 뚜껑이 놓이는 턱에 해당하는 부분은 플랜지부를 없앰으로서 플랜지가 있을 때보다 실질적인 구멍의 크기가 더 커질 뿐만 아니라 삽입공은 안쪽으로 경사를 갖도록 깍음으로써 삽입공이 외부에서보다 안쪽에서의 외경이 더 크게 되므로 분갈이를 위해 화분에서 분재를 꺼낼 때에도 자연스럽게 분재의 뿌리가 안쪽으로 모아지면서 분재의 뿌리나 잎을 다치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aw on which the lid is placed is removed by the flange portion, so that the actual hole is larger in size than when the flange is present, and the insertion hole is inclined inwardly so that the insertion hole is inward from the outside.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bonsai is larger, the roots of the bonsai are naturally collected when the bonsai is removed from the pots for the purpose of separating the roots and leaves of the bonsai.

또한, 뚜껑을 이용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재를 넣고 빼기 쉽도록 할 뿐 아니라 물을 준 뒤에는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도록 뚜껑을 덮음으로써 증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뚜껑을 열어 놓음으로써 통기성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id can be opened and closed to make it easier to put bonsai in and out, and after the water is applied, the amount of evaporation can be controlled by covering the lid so that the water does not evaporate easily, and the breathability can be improved by opening the lid. .

또한, 뚜껑 부분에 투각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큰 구멍을 여러개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 아니라 통풍이 잘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뚜껑을 닫아 놓더라도 안쪽에서 분재가 자라는 모습뿐 아니라 내부의 연출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투각으로 도자기의 성형 후에 도자기의 겉면 일부를 잘라내고 초벌구이에 들어가게 된다. In addition, by forming a large number of holes in the lid portion using techniques such as hollowing out to not only beautify the appearance, but also to be well ventilated. There are advantages to it. After forming the porcelain with openwork,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orcelain is cut off and then roasted.

도3은 도2의 분재용 화분에서 뚜껑에 투각이 되어 있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hollowed out lid on the bonsai pot of FIG. 2.

도4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도자기의 뚜껑부분을 찍은 사진으로서 뚜껑을 놓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lid portion of a ceramic generally used can be seen that a flange for placing the lid is formed.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분재용 화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화분은 일반적인 도자기 형의 화분으로서 그 바닥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분재를 넣고 빼기 위한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분의 상단에는 공기의 투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투각으로 이루어진 통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tted plant for bon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shown in Figure 4 is a general ceramic potted pot is formed with a drain hole 14 for drainage at the bottom and the insertion hole 15 for inserting and removing bonsai at the top. In addition, the top of the po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de of hollow in order to facilitate the permeation of air.

특히 삽입공은 단순히 커다란 구멍만을 뚫은 것이 아니라 그 입구부분은 경사지게 잘라져 있어 분갈이를 할때 뿌리와 잎이 상하지 않는다. 또한, 상단에 투각에 의해 통기공을 형성하여 공기의 투과가 원활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이 통기공이 화분 전체의 미감을 뛰어나게 할 뿐 아니라 이것을 통해 안쪽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였다. In particular, the insertion hole is not just a large hole, but the entrance portion is cut inclined so that the roots and leaves are not damaged when splitting. In addition, by forming a vent hole at the top to facilitate the permeation of air, the vent hole not only makes the entire aesthetic sense of the pot, but also allows you to look inside.

도6은 실재로 제작된 분재용 화분이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삽입공을 통해 분재의 가지가 나오게 된다. 분재는 바로 위쪽 방향으로 자라는 것도 있지만 옆으로 자라도록 키우는 것이 더 많으며 본 고안은 이처럼 옆쪽으로 자라는 것에 사용된다. 6 is a potted plant for the bonsai made of real material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branch of the bonsai comes out through this insertion hole. Bonsai grows in the upward direction, but it is more grown to grow lateral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grow laterally.

본 고안은 뚜껑부분에 플랜지를 없앴으며 또한 뚜껑을 놓는 부분과 삽입공의 면을 경사지게 하여 분갈이 시에 분재의 뿌리를 다치지 않고 분재를 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투각에 의하여 통기공을 형성하여 안쪽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였다. 또한 통기공을 제외한 도자기의 면이 이루는 그늘에 의하여 분재에 공급하는 수분이 쉽게 마르지 않는 장점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d the flange on the lid part and also inclined the surface of the cap and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bonsai could be pulled out without damaging the root of the bonsai at the time of splitting. I could see it, but it was well-ventilat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bonsai is not easily dried by the shade of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except for the air vents.

도1은 종래에 사용되는 분재용 화분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potted pot for a conventionally used.

도2은 본 고안에 따르는 분재용화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tted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분재용 화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tted plant for bon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기존의 도자기의 뚜껑부분을 도시하는 사진.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id portion of the existing ceramics.

도5는 본 고안에 따르는 분재용 화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tted plant for bons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턱 12,15:삽입공11: jaw 12, 15: insertion hole

13: 뚜껑 14: 배수공13: lid 14: drain hole

16 : 삽입공단면 21: 플랜지16: insertion cross section 21: flange

Claims (4)

도자기형태의 분재를 위한 화분으로서, As a pot for bonsai in the form of ceramics, 그 하단에는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며, At the bottom of the drain hole is formed so that water can drain 상기 도자기의 상단 옆면에는 삽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공의 단면은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ceramic, but the cross section of the insertion hole 표면에서 안쪽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is formed inward from the surface, 분재용 화분Bonsai Flower Po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상단 면에는 초벌구이전 도자기의 성형단계에서 상기 화분의 표면을 잘라내어 이루어진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According to claim 1, The top surface of the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by cutting the surface of the potted plant in the forming step of the pre-baking ceramic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분은 뚜껑을 더 포함하는데, The flower pot further includes a lid, 상기 화분의 상단을 상기 화분의 밑면에 평행하게 잘라내되, 상기 잘라진 단면은 경사가 안쪽을 향하도록 한번 더 잘라내어 턱(11)을 형성하고, The upper end of the pot is cut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ot, the cut section is cut once more so that the slope is inward to form a jaw (11), 상기 뚜껑의 단면과 상기 턱의 단면의 경사의 방향이 일치하여 상기 턱위에 상기 뚜껑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The cross section of the lid and th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jaw coincide with the lid on the jaw 상기 삽입공이 전체적으로 둥근모양을 이루도록 상기 뚜껑의 일부가 안쪽으로 함입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A potted plant for bonsai,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lid is inserted inward so that the insertion hole has a round shape as a w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재용 화분.According to claim 3, The lid is a potted plant for bonsai,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KR20-2005-0026119U 2005-09-09 2005-09-09 flowerpot for dwarf tree KR2004036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19U KR200403635Y1 (en) 2005-09-09 2005-09-09 flowerpot for dwarf tr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19U KR200403635Y1 (en) 2005-09-09 2005-09-09 flowerpot for dwarf tr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635Y1 true KR200403635Y1 (en) 2005-12-12

Family

ID=4370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119U KR200403635Y1 (en) 2005-09-09 2005-09-09 flowerpot for dwarf tr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63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48455A (en) Method for cultivating dendrobe
KR20140068414A (en) Screw type seedling pot
CN103548579A (en) Method for cultivating tree-shaped gold-ball elms
CN104521482A (en) Jasmine single-stem shape pot cultivating method
CN107027505A (en) A kind of cuttage breeding method of ivy
KR200403635Y1 (en) flowerpot for dwarf tree
KR20180012513A (en) Cover for suppressing weed growth
Robinson et al. Weaning (acclimatization) of in vitro-produced banana plants
KR101204488B1 (en) Tree cultivating pot
KR101107786B1 (en) Seedling-raising method of young plant of strawberry
KR101170672B1 (en) A apparatus for growing a mushroom
JP2010017105A (en) Method for cultivating phalaenopsis orchid or neofinetia falcata, phalaenopsis orchid, and neofinetia falcata
JP2007330244A (en) Planting pot without having bottom (hole)
JP3772795B2 (en) Planting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implanted in the side
KR101528680B1 (en) Device for a multipurpose hydroponics
KR200227347Y1 (en) Flowerport for a potted plant
KR200359219Y1 (en) Port for seedling cultivation of broad-leaved tree
CN108901577B (en) Method for making Buddhist relic dried plum blossom bonsai
KR200334034Y1 (en) A apportioning flowerpot
KR20100107664A (en) Ceramic plant pot for dwarf tree having an inner pot for repotting
KR200404997Y1 (en) This is the nourishment installation of the plant which frequently can provide the nourishment near the root of the plant planted into the soil onto the building of the concrete
KR200278160Y1 (en) A water storage flowerpot
KR101322759B1 (en) Artistic flowerpot
KR200300180Y1 (en) The flowerpot for simple change of flower plants
KR20090009825U (en) Flower pot having hole in a 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