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759B1 - Artistic flowerpot - Google Patents

Artistic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759B1
KR101322759B1 KR1020110094742A KR20110094742A KR101322759B1 KR 101322759 B1 KR101322759 B1 KR 101322759B1 KR 1020110094742 A KR1020110094742 A KR 1020110094742A KR 20110094742 A KR20110094742 A KR 20110094742A KR 101322759 B1 KR101322759 B1 KR 10132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tem
molding
pot
v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1058A (en
Inventor
이지숙
이지이
Original Assignee
이지이
이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이, 이지숙 filed Critical 이지이
Priority to KR102011009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759B1/en
Publication of KR2013003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0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는 일년생 화초가 식재되며, 화분의 내부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화분의 둘레면을 덩굴식물의 줄기가 관통하여 화분의 외측 둘레면을 덩굴식물의 줄기가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도 또는 다리의 난간 등지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녹화조형화분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ual plant is planted in the upper part, the vine plant is planted inside the pot, the stem of the vine plant penetrate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and the stem of the vine plant form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polyhedron,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idewalk or bridge railings to form a greenery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to the greening moldings.

Description

녹화조형화분{ARTISTIC FLOWERPOT}Green plastic pots {ARTISTIC FLOWERPOT}

본 발명은 상부에는 일년생 화초가 식재되며, 화분의 내부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화분의 둘레면을 덩굴식물의 줄기가 관통하여 화분의 외측 둘레면을 덩굴식물의 줄기가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도 또는 다리의 난간 등지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녹화조형화분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nual plant is planted in the upper part, the vine plant is planted inside the pot, the stem of the vine plant penetrate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and the stem of the vine plant form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polyhedron, and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idewalk or bridge railings to form a greenery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to the greening moldings.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꽃이나 잎을 갖는 식물을 관상용이나 조경용으로 화분에 식재한다. 특히 도시녹화사업을 통해 인도나 교각 또는 가로등 등지에 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설치되어 있다.Generally, plants having various types of flowers or leaves are planted in pots for ornamental or landscaping. In particular, planting plants are planted in India, bridges, and street lamps through urban greening projects.

도시녹화사업을 통해 설치되는 화분은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위치를 설정하게 되는데, 특히 덩굴식물인 경우 늘어지거나 물체를 지지하여 위로 자라는 특성으로 가로등이나 교각의 난간 등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을 설치하게 되어 덩굴식물의 성장에 의해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다.The pots installed through urban greening projects are set according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pots. Especially, in the case of vine plants, the pots are planted with vine plants such as street lamps and pier railings as they grow up by supporting objects. It will be installed to beautify the appearance by the growth of vine plants.

하지만, 덩굴식물이 식재된 화분은 통상적으로 가로등이나 교각의 난간 등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다수이며, 인도 등의 지면에 설치된 화분에는 덩굴식물을 식재하기가 어려우며, 덩굴 식물중 한해살이가 아닌 아이비와 같은 여러해살이인 경우에는 성장이 더뎌 덩굴식물만을 화분에 식재할 경우, 화분의 미려함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flower pots planted with vines are usually installed on street lamps or pier railings, and it is difficult to plant vine plants in pots installed on the ground of India, and many years such as ivy, which are not annuals among vine plants. In the case of flesh is slow growth when planting only vine plants in the p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auty of the pollen falls somewh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도 등의 지면에도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화분을 설치할 수 있으며, 여러해살이인 덩굴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이종(異種)의 한해살이 식물을 화분에 식재되어 화분의 미려하며, 도시의 녹화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installed in the pot of vine plants are planted in the ground, such as India, planting a plant perennial plant of different species (異種) during the growth of perennial vine plants Its purpose is to provide flower pots that can be used for greening business in the city.

본 발명은 녹화용 화분에 있어서, 줄기가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 포트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화분 본체의 저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공; 상기 삽입공에 덩굴식물 포트가 설치되면,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의 줄기가 화분 본체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화분 본체의 측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의 외부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줄기보호관; 상기 관통공에 형성되어 줄기보호관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것으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의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구와 삽입구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돌출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의 일측면으로 나오면 체결구가 돌출부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하여 화분 본체의 외측 및 내측에서 결합하는 조임구; 및 상기 화분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덩굴식물의 포트를 보호하며, 동절기에 덩굴식물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eening pot, at least one insertion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ted plant body so that the stem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vine plant ports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If the vine plant port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potted plant body so that the stem of the vine plant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potted plant body to go out; A stem protection tube penetrating the through-hole to receive and protect the stem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ot body; It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inside is penetrated so as to insert a part of the stem protection tube,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formed with a threa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Fasteners are made of fasteners with threaded threads formed therein so that they can b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protrusions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come out to one side of the potted plant body. phrase; And a drip tray that protects the pot of the vine plan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 body, and prevents the verb of the vine plant in the winter season.

또한, 상기 줄기보호관을 고정하는 조임구와 화분 본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조형캡과, 상기 조형캡의 고정돌기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줄기보호관을 통해 화분 본체의 외부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가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는 조형막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fasteners for fixing the stem protection tube and the planter body, one or more fixing projections formed with a fixed projection, one end of the stem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molding cap stem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lanter body through the stem protection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rod constituting the various forms are further formed.

또한, 상기 조형캡의 일측 고정돌기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장하는 연장막대가 더 형성되어 덩굴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연장막대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rod extending from one side e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ixing projections of the molding cap to extend to extend as the vine plant grows.

또한, 상기 조형막대를 올라타고 성장하는 덩굴식물이 더욱 미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무늬가 형성된 조형막대의 상단부, 화분 둘레면 또는 화분의 둘레에 형성된 조형막대와 조형막대의 사이에는 철망이나 빗살무늬가 형성된 판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판이 더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rod or comb pattern is formed between the molding rod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the circumference of the flower pot or the circumference of the flower pot so that the vine plants growing on the molding rod can grow more beautifu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can be further installed.

본 발명은 상부에는 한해살이 화초가 식재되며, 외측 둘레에는 덩굴식물의 줄기가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를 이루고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여러해살이인 덩굴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이종(異種)의 한해살이 식물을 화분에 식재되어 화분의 미려하며, 도시의 녹화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는 녹화조형화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perennial plant is planted at the top, the outer circumference is formed so that the stem of the vine plant to form a variety of sculptures, perennial plant of the heterogeneous (異種) planted in the pot during the growth of perennial vine plants It is beautiful in pots and can form green planting plants that can be used for urban greening busi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물받이부가 형성된 화분 본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줄기보호관과 조임구 및 조형캡이 형성된 화분 본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줄기보호관의 또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형캡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형캡에 형성된 연장막대가 형성된 화분 본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ed body formed with a drip tray of greening mo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er body formed with a stem protection tube and a fastener and a molding cap of greening mo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6 and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m protection tube of the green planting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astener of a green plant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ap of the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tted body having an extension rod formed on a molding cap of a green plant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reen plastic po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은 상부에는 한해살이 화초가 식재되며, 화분의 외측 둘레에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green plant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nted annually on the top,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t relates to a flowerpot in which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forms a variety of forms.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은 줄기(2)가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 포트(1)를 삽입하도록 화분 본체(10)의 저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공(11), 상기 삽입공(11)에 덩굴식물 포트(1)가 설치되면,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의 줄기(2)가 화분 본체(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화분 본체(10)의 측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12), 상기 관통공(12)에 삽입된 덩굴식물의 줄기(2)를 내부에 수용하여 관통공(12)을 관통하여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2)를 보호하는 줄기보호관(30), 상기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내측 및 외측면에 형성되어 줄기보호관(30)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조임구(40), 상기 화분 본체(10)의 저면부에 형성된 삽입공(11)에 삽입되는 덩굴식물의 포트(1)를 보호하며, 동절기에 덩굴식물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받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Greening molding f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insertion holes 1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ted plant body 10 to insert the vine plant port 1, the stem 2 is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vine plant port 1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11, the vine plant stem 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pass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fern main body 10 and go out to the outside. At least one through hole 12 formed at one side portion of the side portion,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by receiving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therein (2) Stem protection tube (30) to protect the, through the through hole 12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otted body (10) fasteners formed so as to insert a part of the stem protection tube (30) to be fixed ( 40) to protect the pot (1) of the vine plan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p tray 20 formed so as to prevent the verb of the vine plant in winter.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은 화분 본체(10)의 상부에는 한해살이 화초가 식재되며, 외측 둘레에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를 이루고 있도록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2)가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의 포트(1)가 화분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덩굴식물의 줄기(2)를 화분 본체(10)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한 후, 화분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덩굴식물의 상부에 흙을 형성하고, 한해살이 화초를 식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을 형성할 수 있다. Green planting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nted annually on the top of the potted body 10,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ne plant stem (2) is formed to form a variety of moldings as shown in Figure 2 , The pot 1 of the vine plant in which the stem 2 has been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talled inside the pot body 10, and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omes out of the pot body 10. Then, the soil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vine plant installed in the inner pot body 10, by planting plants per year can form a green plant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은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도 또는 다리의 난간 등지에 설치하여 녹화를 조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Greening mo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polyhedron, it is formed so as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by installing greenery on the side of the sidewalk or the railing of the bridg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물받이부(20)가 형성된 화분 본체(1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줄기보호관(30)과 조임구(40) 및 조형캡(50)이 형성된 화분 본체(1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가 도시된 것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ed body 10 is formed drip tray 20 of the green plant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em protection tube 30 of the green planting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body 10 in which the fastener 40 and the molding cap 50 are formed is illustrated,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4.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본체(10)의 내부 저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화분 본체(10)의 내부에 덩굴식물이 식재되어 화분 본체(10)의 외측면을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로 꾸밀 수 있도록 줄기(2)가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 포트(1)를 삽입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3 and 4, at least one insertion hole 1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ner bottom portion of the pot body 10, which is a vine plant planted inside the pot body 10. It is to insert and install the vine plant port (1) in which the stem (2) is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body (10) can be decorated in the form of various sculptures.

상기 삽입공(11)에 설치되는 덩굴식물의 포트(1)의 상단부가 삽입공(11)의 외주연부에 걸리고, 포트(1)의 하부가 삽입공(11)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하단 외부로 돌출되면서 화분 본체(10)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pot (1) of the vine plant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11) is caugh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11),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1) penetrates the insertion hole (11) to the pot body (10) Is to be installed on the pot body 10 while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상기 삽입공(11)은 화분 본체(10)의 규격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분 본체(10)의 일측면에 인접하여 형성함으로써 덩굴식물의 줄기(2)가 화분 본체(10)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외측면을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The insertion hole 11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potted plant body 10,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by forming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otted plant body 10 Is to penetrate the side portion of the pot body 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body 10 can be seen beautifully.

상기 삽입공(11)에 덩굴식물 포트(1)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의 줄기(2)가 화분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나갈 수 있도록 화분 본체(10)의 측면부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The vine plant port 1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11, and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penetrates the side portion of the plant pot body 10 so as to pass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plant pot. The ball 12 is formed.

상기 관통공(12)은 삽입공(11)과 인접한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관통공(12)을 통해 화분 본체(10)의 외측으로 나온 덩굴식물의 줄기(2)가 상부를 향하여 자라는 성장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통상적으로 화분 본체(10)의 하부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이를 가리기 위함이다. The through hole 12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ide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11, which is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otted plant body 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 is the top Is int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growth characteristics that grow toward, and also to conceal it because the exterio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body 10 is not generally beautiful.

상기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외측으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2)를 보호하기 위하여 줄기보호관(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줄기보호관(30)은 덩굴식물의 줄기(2)를 내부에 수용하여 줄기(2)가 꺾이지 않고 성장되어 화분 본체(10)의 외측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도록 한다.The stem protection tube 30 is formed to protect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otted plant body 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nd the stem protection tube 30 is the stem of the vine plant. (2) is accommodated inside so that the stem (2) is grown without bending so that the outside of the pot body (10) can be beautifully decorated.

또한, 상기 화분 본체(10)의 저면부는 배수를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수공(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 body 10 is formed with a drain hole 13 to facilitate the drainage.

상기 줄기보호관(30)은 유연성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 것으로, 줄기(2)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이 주름진 형태의 주름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stem protection tube 30 is made of a flexible rubber or plastic material, and formed as a cylindrical tube penetrated therein, a corrugated tube having a pleated side shape may be used to secure the flexibility of the stem 2.

또한, 상기 줄기보호관(30)에는 줄기보호관(30)의 내부로 빗물이나 급수용 물이 들어갈 경우 이를 배수하기 위하여 줄기보호관(30)의 하부에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em protection pipe 30 may form a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m protection pipe 30 in order to drain it when rain water or water for water enters the inside of the stem protection pipe 30.

상기 줄기보호관(30)의 하부에 배수를 위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급수용 물이 줄기보호관(3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져 줄기보호관(30)의 내부에 수용된 덩굴식물의 줄기(2)가 썩거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다.By forming a hole for drainag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m protection pipe 30, the rainwater or water for water is smoothly drain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stem protection pipe 30, the stem of the vine plant accommodated inside the stem protection pipe (30) 2) can prevent rotting or verb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줄기보호관(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덩굴식물의 줄기(2)를 수용할 수 있는 규격으로 연성이 있는 재질로서 얇은 판(71)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72)와 대응하는 판(71)의 반대측 모서리부에는 절개부(72)에 삽입되며, 절개부(72)의 외주연부에 단부가 걸려 원통형의 관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구(73)가 형성된 조립형 줄기보호관(70)을 형성할 수 있다. 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m protection tube 70 of the green planting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rd that can accommodate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as a flexible material as a thin plate One or more cutouts 72 are formed at one corner of the 71, and the cutouts 72 are inserted into the cutouts 72 at opposite edges of the plate 71 corresponding to the cutouts 72. 72 may be formed with an assembled stem protection tube 70 in which at least one catching hole 73 is formed so that an end portion is caught at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72.

상기 조립형 줄기보호관(70)은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내부에 물이 들어갈 경우, 별도의 배수를 위한 구멍이 없어도 절개부(71)에서 걸림구(72)를 분리하여 조립형 줄기보호관(70)의 내부에 들어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assembled stem protection tube 70 is easy to assemble, when water enters inside, the assembled stem protection tube 70 is removed by removing the catch 72 from the cutout 71 even without a hole for a separate drainage. Allow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sid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조립형 줄기보호관(70)을 관통공(12)에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내측 및 외측면에 조임구(40)가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fix the assembled stem protection tube 70 to the through hole 12, the fastener 40 is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ot body 10 by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임구(4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 것으로, 상기 조임구(40)는 관통공(12)을 관통하는 삽입구(41) 및 상기 관통공(12)을 관통하여 나오는 삽입구(41)와 결합하는 체결구(43)로 이루어져 있다.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er 40 of the green plastic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er 4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nd the through hole 12 It consists of a fastener 43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41 that passes through).

상기 삽입구(41)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42)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체결구(43)는 화분 본체(10)의 일측면에서 관통공(12)을 관통하여 나오는 돌출부(42)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The insertion hole 41 is penetrated through the inside, and one side of the protrusion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and a threaded protrusion protrusion 42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astener 43 Is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to be screw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s 42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hole 12 from one side of the pot body 10.

상기 삽입구(41)의 돌출부(42)가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10)의 내측 또는 외측면으로 돌출되며, 관통공(1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부(42)를 체결구(43)가 삽입하여 나사결합하여 조임구(40)를 관통공(12)에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sion 42 of the insertion hole 41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2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plant body 10, and fastens the protrusion 42 that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 A 43 may be inserted and screwed to form the fastener 40 in the through hole 12.

상기 조임구(40)의 관통된 내부를 통해 덩굴식물의 줄기(2)가 화분 본체(10)의 밖으로 나오면 줄기보호관(30)의 내부에 덩굴식물의 줄기(2)를 수용한 후, 줄기보호관(30)의 일측단부가 조임구(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When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omes out of the pollen body 10 through the penetrating interior of the fastener 40, after receiving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in the stem protection tube 30, the stem protection tube One side end of the 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er 40 and fixed.

상기 줄기보호관(30)을 고정하는 조임구(40)와 화분 본체(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51)가 형성된 조형캡(50)과, 상기 조형캡(50)의 고정돌기(51)에 하단부가 삽입되며 줄기보호관(30)을 통해 화분 본체(10)의 외부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도록 상단부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막대(52)가 형성될 수 있다.A molding cap 50 having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51 formed between the fastener 40 and the flower pot body 10 for fixing the stem protection tube 30, and the fixing protrusion 51 of the molding cap 50. A molding rod 52 having a top end in various forms may be formed so that the bottom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otted plant body 10 through the stem protection tube 30 to form various shapes.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형캡(5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 것으로, 상기 조형캡(50)은 조임구(40)의 돌출부(42)의 일부를 삽입하여 체결구(43)와 같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둘레면에는 조형막대(5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molding cap 50 of the greening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ing cap 50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projection 42 of the fastener 40 fastener (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as shown in 43), and the fixing protrusion 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sert and engage the lower end of the molding rod 52.

상기 조형캡(50)의 고정돌기(51)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형막대(52)는 상단부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덩굴식물의 줄기(2)가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lding rod 52 having the lower end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51 of the molding cap 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can form various shaped sculptures. .

상기 줄기보호관(30)에 수용되어 있는 덩굴식물이 성장하게 되면 덩굴식물의 줄기(2)가 조형막대(52)를 타고 성장하여 조형막대(52)의 상단부를 통해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를 이루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ine plant accommodated in the stem protection tube 30 grows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grows on the molding rod 52 and grows in the shape of various sculpture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52. Make sure

상기 줄기보호관(30)에 수용되어 있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조형막대(52)를 타고 올라가 성장될 수 있도록 줄기보호관(30)의 일측부와 조형막대(52)의 일측부를 끈(60)이나 철사 등으로 연결하여 줄기보호관(30)이 화분 본체(10)의 상단부를 향하도록 하며, 줄기보호관(30)에 수용되어 있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조형막대(52)를 타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of the stem protection tube 30 and one side of the molding rod 52 so that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accommodated in the stem protection tube 30 can be grown up by riding the molding rod 52 (60). The stem protection tube (30) to the upper end of the potted body (10) by connecting with a wire or the like, and the stem (2) of the vine plant accommodated in the stem protection tube (30) grows on the rod (52). To help.

상기 조형막대(52)와 줄기보호관(30)의 연결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줄기보호관(30)의 일측부에 고리(31)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31)에 끈(60)이나 철사를 꿰어 조형막대(52)와 같이 묶어 줄기보호관(30)과 조형막대(52)를 연결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asily connect the molding rod 52 and the stem protection tube 30, a ring 3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em protection tube 30, and a string 60 or a wire is formed on the ring 31. Threaded together like a molding rod 52 can be connected to the stem protection tube 30 and the molding rod (52).

상기와 같이 줄기보호관(30)이 화분 본체(10)의 상단부를 향하도록 조형막대(52)와 줄기보호관(30)을 연결함으로써 덩굴식물이 하부로 성장하는 것을 예방하고, 화분 본체(10)의 둘레와 상부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 본체(10)의 주위를 미려하게 꾸밀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the molding rod 52 and the stem protection tube 30 so that the stem protection tube 30 faces the upper end of the flower pot body 10, the vine plant is prevented from growing downward, and the By allowing to grow to the circumference and top to be beautifully decorated around the pot body (10).

상기 조형막대(52)를 올라타고 성장하는 덩굴식물이 더욱 미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조형막대(52)의 상단부의 내부에 조형판(53)을 설치하여 조형막대(52)의 상단부를 미려하게 꾸며 화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다.Climbing on the molding rod 52, the vine plant growing so that the more beautiful growth can be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forming rod 52 of the forming rod 52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52 You can decorate the exterior of the flowerpot beautifully.

상기 조형판(53)은 조형막대(52)의 상단부의 내부에 설치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연성이 있으며, 쉽게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장하는 덩굴식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철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ing plate 53 is flex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inside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52, made of a material that can easily deform the shape, with a wire mesh to support the growing vine plants It is preferable to use those made.

상기 조형판(53)을 조형막대(52)의 상단부에 형성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 둘레면 또는 화분의 둘레에 형성된 조형막대(52)와 조형막대(52)의 사이에도 형성할 수 있어 화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겠다. Since the molding plate 53 is form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52, it is also formed between the molding rod 52 and the molding rod 5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 pot or around the pot. You can decorate the appearance of the pot beautifully.

상기 조형막대(52)를 올라타고 성장하는 덩굴식물의 성장을 고려하여, 조형막대(52)를 연장할 수 있도록 둘레에 조형막대(52)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하나 이상이 형성된 연결구를 사용하여 덩굴식물의 성장에 따라 조형막대(52)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of the vine plant that grows on the molding rod 52, the connector having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lding rod 52 is inserted to extend the molding rod 52 is formed. It can be used to extend the molding rod 52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vine plant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형화분의 조형캡(50)에 형성된 연장막대(80)가 형성된 화분 본체(1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다.Figure 10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ted body 10 is formed with an extension rod 80 formed on the molding cap 50 of the greening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형캡(50)의 일측 고정돌기(51)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장하는 연장막대(80)로 연장하여 덩굴식물의 성장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one end of the molding cap 50 is extended to an extension rod 80 which is inserted into and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51 to be useful for growing a vine plant.

상기 화분 본체(10)의 하단부에는 물받이부(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물받이부(20)에는 화분 본체(10)의 배수구(13)를 통해 배수되는 물이 물받이부(20)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13)가 형성되어 물받이부(20)에 고인 물로 인하여 화초가 썩거나 동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bottom part of the pot body 10 is formed with a drip tray 20,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port 13 of the pot body 10 is not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20. A drain hole 13 is formed to be drained into the drip tray 20 so as to prevent the flower from being rotted or verbal due to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20.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본체(10)와 물받이부(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동절기에 화분 본체(10)에서 물받이부(20)를 분리하여 물받이부(20) 내부에 스펀지 등의 보온재를 투입한 후, 이를 다시 조립할 경우, 화분 본체(10)의 하단부로 돌출되는 덩굴식물의 포트 내에 수용되어 있는 덩굴식물의 뿌리가 동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겠다.The plant body 10 and the drip tra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so as to be assembled, the drip tray 20 by separating the drip tray 20 from the pot body 10 in winter, the inside of the drip tray 20 Injecting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when reassembl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ot of the vine plant accommodated in the pot of the vine plant projecting to the lower end of the pot body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에는 한해살이 화초가 식재되며, 외측 둘레에는 덩굴식물의 줄기(2)가 다양한 조형물의 형태를 이루고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여러해살이인 덩굴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이종(異種)의 한해살이 식물을 화분에 식재되어 화분의 미려하며, 도시의 녹화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는 녹화조형화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perennial plant is planted at the top,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ne plant stem (2) is formed so as to form a variety of sculptures, perennial plants of heterogeneous (異種) during the growth of perennial vine plants It can be planted in flower pots to create beautiful flower pots and green plants that can be used for urban greening business.

또한, 덩굴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다양한 형태를 이루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화분의 외관을 좀 더 미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ne plants are formed to grow in various forms during the growth can make the appearance of the flowerpot more beautiful.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change, and substitut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화분 본체
11:삽입공
12:관통공
13:배수공
20:물받이부
30:줄기보호관
31:고리
40:조임구
41:삽입구
42:돌출부
43:체결부
50:조형캡
51:조형막대
60:끈
70:조립형 줄기보호관
71:절개부
72:걸림구
10: flower pot body
11: insertion hole
12: Through-hole
13: Drainage
20: drip department
30: stem protection tube
31: ring
40: Fasteners
41: Insertion opening
42: protrusion
43: Fastening part
50: molding cap
51: molding rod
60: string
70: Assembly Stem Protection Tube
71: incision
72: catching mouth

Claims (4)

녹화용 화분에 있어서,
줄기가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 포트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화분 본체의 저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형성된 삽입공(11);
상기 삽입공에 덩굴식물 포트가 설치되면, 소정의 길이로 성장된 덩굴식물의 줄기가 화분 본체의 측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화분 본체의 측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12);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의 외부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줄기보호관(30);
상기 관통공에 형성되어 줄기보호관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것으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부의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구와 삽입구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로 이루어져 돌출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화분 본체의 일측면으로 나오면 체결구가 돌출부를 삽입하여 나사결합하여 화분 본체의 외측 및 내측에서 결합하는 조임구(40);
상기 화분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덩굴식물의 포트를 보호하며, 동절기에 덩굴식물의 동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받이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조형 화분.
In flower pots,
One or more insertion holes 11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ted plant body so as to insert and install the vine plant ports in which the stems are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vine plant port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at least one through hole 12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potted plant body so that the stem of the vine plant grown to a predetermined length can go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potted plant body to the outside;
A stem protection tube (30) for receiving and protecting the stem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potted plant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inside is penetrated so as to insert a part of the stem protection tube,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insertion hole formed with a threa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Fasteners are made of fasteners with threaded threads formed therein so that they can b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protrusions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come out to one side of the potted plant body. Sphere 40;
A drip tray 20 which protects the pot of the vine plan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ot body and prevents the verb of the vine plant in winter;
Greening mold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보호관을 고정하는 조임구와 화분 본체 사이에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조형캡(50)과, 상기 조형캡의 고정돌기에 하단부가 삽입되며 줄기보호관을 통해 화분 본체의 외부로 나오는 덩굴식물의 줄기가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도록 상단부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막대(5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조형 화분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fasteners for fixing the stem protection tube and the potted body main body cap 50 having one or more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molding cap and the planter body through the stem protection tube Green plastic molding p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rod 52 is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the upper end to form a variety of stems of the vine plant coming out of the
제2항에 있어서, 덩굴식물의 성장을 고려하여 상기 조형캡의 일측 고정돌기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연장막대가 더 형성되어 덩굴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연장막대(80)로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조형 화분.
According to claim 2,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of the vine plant is formed on the extension rod of one end is inserted into one side fixed projection of the molding cap can be extended to the extension rod 80 as the vine plant grows Greening molding flower p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막대를 올라타고 성장하는 덩굴식물이 더욱 미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조형막대의 상단부, 화분 둘레면 또는 화분의 둘레에 형성된 조형막대와 조형막대의 사이에는 조형판(53)이 더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조형 화분.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lding rod is formed between the molding rod and the molding rod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olding rod, the circumference of the flower pot, or the circumference of the pot so that the vine plants growing on the molding rod can grow more beautifully. Green planting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53 can be installed further.


KR1020110094742A 2011-09-20 2011-09-20 Artistic flowerpot KR101322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42A KR101322759B1 (en) 2011-09-20 2011-09-20 Artistic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742A KR101322759B1 (en) 2011-09-20 2011-09-20 Artistic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58A KR20130031058A (en) 2013-03-28
KR101322759B1 true KR101322759B1 (en) 2013-10-29

Family

ID=4818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742A KR101322759B1 (en) 2011-09-20 2011-09-20 Artistic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7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70Y1 (en) 1999-12-17 2000-05-15 진명철 all direction set possibility decoration a pollen
KR200246685Y1 (en) 2001-06-21 2001-10-17 박민수 Flowerpot for a decoration
KR20110000500U (en) * 2009-07-10 2011-01-18 영 성 왕 Streetlight flowerpot for set-up to growing a different kind
KR101071406B1 (en) 2011-03-18 2011-10-07 주식회사 이지건축 Security fence for building housing complexeswhich used tree of landscape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370Y1 (en) 1999-12-17 2000-05-15 진명철 all direction set possibility decoration a pollen
KR200246685Y1 (en) 2001-06-21 2001-10-17 박민수 Flowerpot for a decoration
KR20110000500U (en) * 2009-07-10 2011-01-18 영 성 왕 Streetlight flowerpot for set-up to growing a different kind
KR101071406B1 (en) 2011-03-18 2011-10-07 주식회사 이지건축 Security fence for building housing complexeswhich used tree of landscape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058A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77337U (en) Flower pot
KR20150087164A (en) The cultivate methed of orchid(Pungran) by used transparent flowerpot
KR20070069244A (en) The flowerpot with ring
KR101301014B1 (en) Flowerpot upper sides porous protective cover
KR200444397Y1 (en) Pot for the culture orchid of porous great
KR101331404B1 (en)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1322759B1 (en) Artistic flowerpot
CN107027505A (en) A kind of cuttage breeding method of ivy
KR100933250B1 (en) The flowerpot parapet of a bridge
KR200436996Y1 (en) Flowerpot hanging
KR101120112B1 (en) A flower pot for guardrail
JP5960881B2 (en) Support pillar for climbing plant and method for installing plant
CN104429789A (en) Stereoscopic cultivation method for epiphytic orchid and grape
KR200401009Y1 (en) Plant grow planter for a street lamp
KR100778327B1 (en) Plant grow planter for a street lamp
KR200412712Y1 (en) The flowerpot with ring
JP3125777U (en) Spiral planting hand
KR100638742B1 (en)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US20230077746A1 (en) Pod Insert for Pod Gardening Systems
JP2557844Y2 (en) Hydroponic planter
KR200201890Y1 (en) The growing devices of water suply for protection of the shade tree by the road side
KR102471354B1 (en) Voluble plant support pole or flowerpot for Voluble plant support
KR200464036Y1 (en) A table provide with a jardiniere
KR101204488B1 (en) Tree cultivating pot
CN212436522U (en) Garden flowe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