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32Y1 - 케이블 보호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32Y1
KR200403532Y1 KR20-2005-0027430U KR20050027430U KR200403532Y1 KR 200403532 Y1 KR200403532 Y1 KR 200403532Y1 KR 20050027430 U KR20050027430 U KR 20050027430U KR 200403532 Y1 KR200403532 Y1 KR 200403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hole
coupl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범 filed Critical 김성범
Priority to KR20-2005-0027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지하철이나 철도 등의 주변에 통신 또는 동력전달용으로 배선되는 각종 전선 등이 수납되는 케이블 보호관의 덮개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하고,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키기 위한 케이블 보호관이 개시된다. 케이블 보호관의 본체와 덮개는 별도로 형성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본체의 바닥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면은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보호관은 본체와 덮개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별도로 형성함으로 인해서 종래의 덮개에 일체로 형성되어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수단의 파손이 방지되고, 본체 내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에 배수공과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바닥면에 의해 신속하게 배수된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관{DUCT FOR PROTECTING A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별도로 형성된 결합부재를 통해 상호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본체의 바닥면을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본체와 덮개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덮개의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하고, 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케이블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보호관은 지하철이나 철도 등의 주변에 통신 또는 동력전달용으로 배선되는 각종 전선 등이 부설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 수납되어 외부의 충격에 따른 손상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선을 가지런히 정리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도 행하고 있어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
종래의 케이블 보호관은 통상적으로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 수납되도록 양 측벽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틀을 이루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본체와 덮개는 별도의 결합수단, 예를 들면 클램프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관은 콘크리트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거나, 지면에 일부분이 매설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다수의 전선이 수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보호관은 시공시 본체와 덮개를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상호 결합시키고, 내부에 수납된 전선의 유지보수시에는 클램프를 해체 및 재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본체에서 덮개를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시공 및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는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덮개(120)에는 결합공(112)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2)가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된 케이블 보호관(100)이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에 덮개(120)를 본체(110)에 결합시 덮개(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22)가 본체(110)의 결합공(112) 내로 끼워져서 상호 결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 보호관은 본체와 덮개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돌기가 덮개에 일체로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를 운반하다 떨어뜨리거나, 작업자가 부주의로 밟는 등의 취급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어 덮개의 교체에 따른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우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전선의 합선 또는 누전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본체와 덮개를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여 종래의 덮개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 측벽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틀을 이루고 상기 양 측벽의 외면에 보강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부합되게 형성되고 양 측벽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결합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과 결합공 내로 결합부재가 끼워져서 본체와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보호관은 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덮개에는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되며 본체 및 덮개와 별도로 형성된 결합부재가 끼움공을 통해 결합공에 끼워져서 덮개가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와 덮개를 결합시키도록 별도로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통해 덮개의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수단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본체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이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결합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10)은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본체(20), 본체(2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30), 그리고 본체(20)와 덮개(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내부에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도록 양 측벽(20A)이 상방으로 직각되게 절곡되어 틀을 이룬다. 본체(20)의 절곡된 양 측벽(20A) 외면에는 열 또는 토압 등의 외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강부(22)가 형성된다. 보강부(22)는 반원형상의 곡면을 갖는 다수개의 돌기(22A)가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22)를 통해 본체(20)의 양 측벽(20A)이 견고하게 보강되므로 열 또는 토압 등의 외압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된다. 여기서 본체(20)의 양 측벽(20A) 상단은 보강부(2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하여 형성된다.
본체(20)의 양 측벽(20A)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 보강부(22)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22B)이 형성된다. 결합공(22B)은 본체(20)의 양 측벽(20A) 모서리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보강부(22)의 상면에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공(22B)은 반원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뿐만 아니라 공지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의 결합공(22B)은 돌기(22A)와 부합되도록 돌기의 상면 중앙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체(20)의 수납공간(21)에는 수납공간(21)을 구획하도록 양 측벽(20A)과 평행을 이루는 격판(24)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격판(24)은 수납공간(21)의 중앙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격판(24)을 통해 수납공간(21) 내에 통신 또는 동력전달용으로 배선되어 수납되는 각종 전선 등이 용도에 따라 분류되어 수납된다.
본체(20)의 바닥면(20B) 중앙에는 수납공간(21)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26)이 형성되고, 바닥면(20B)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수공(2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26)은 원형 또는 장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장공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공(2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20)의 바닥면(20B) 중앙뿐만 아니라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20B) 일측에 형성하고 바닥면(20B)을 일측에 형성된 배수공(2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본체(20)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20B) 타측에 형성하고 바닥면(20B)을 타측에 형성된 배수공(2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에는 내부로 단이진 연결홈(27)이 형성된다. 연결홈(27)의 내주면에는 걸림턱(27A)이 형성된다,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연결홈(27)과 대응되는 타측에는 연결홈(27)에 부합되는 연결부(28)가 형성된다. 연결부(28)의 외주면에는 걸림턱(27A)에 걸림되기 위한 걸림돌기(28A)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홈(27)에 연결부(28)가 연결되어 본체(20)가 상호 연결된다.
즉, 연결부(28)가 연결홈(27)에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28A)가 걸림턱(27A)에 걸림되어 본체(20)가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돌기(28A)가 걸림턱(27A)에 걸림되기 때문에 본체(20)가 상호 연결되었을 경우에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본체(20)의 저면에는 본체(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격돌기(29)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돌기(29)는 콘크리트 또는 지면의 습기가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본체(20)를 콘크리트, 지면 등의 바닥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격돌기(29)는 콘크리트 또는 지면의 바닥이 균일하지 않아 본체(20)가 불균형하게 설치될 경우에 이들의 바닥과 접촉되는 이격돌기(29)의 접촉면을 깍아내어 본체(20)의 균형을 맞출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30)는 본체(2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덮개(30)는 합성수지를 통해 본체(20)와 부합되게 형성되고, 양 측벽에는 보강부(32)가 형성된다. 덮개(30)의 보강부(32)는 본체(20)의 보강부(22)와 마찬가지로 반원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돌기(32A)가 덮개(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32)에 의해 덮개(30)가 본체(20)에 결합될 경우에 케이블 보호관(10)의 전체적인 균형감이 유지되고, 덮개(30)에 가해지는 외압에 의한 덮개(30)의 휨 현상이 방지된다.
덮개(30)의 보강부(32) 상면에는 본체(20)의 결합공(22B)과 연통되도록 결합공(22B)과 상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공(32B)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공(32B)은 반원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뿐만 아니라 공지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의 끼움공(32B)은 돌기(32A)와 부합되도록 돌기(32A)의 상면 중앙에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덮개(30)의 저면 양측에는 본체(20)의 양 측벽(20A) 상단이 끼워지도록 양 측벽(20A)의 상단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홈(34)이 형성된다.
덮개(30)의 길이방향으로 타단에는 본체(20)를 상호 연결시 외부 온도에 대한 본체(20)의 수축/팽창에 따른 이격을 보상해 주기 위한 돌출부(36)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즉, 본체(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재질의 특성상 외부 온도에 대하여 수축/팽창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상호 연결된 본체(20)의 상부에 덮개(30)가 결합될 경우에는 수축/팽창에 따른 길이를 보상해 주기 위해 덮개(30)와 덮개(30)의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시공된다. 이러한 덮개(30) 간의 이격된 틈을 통해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이물질이나 우수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36)에 의해 이를 보상해 주기 위함이다.
또한, 결합부재(40)는 본체(20)에 덮개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재(40)는 덮개(30)의 보강부(32) 상면에 걸림되는 머리부(42)와 끼움공(32B)을 통해 본체(20)의 결합공(22B) 내로 끼워지는 몸체부(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부재(40)의 머리부(42)는 덮개(30)의 보강부(32)에 형성된 끼움공(3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40)는 반원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뿐만 아니라 공지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끼움공(32B)을 통해 결합공(22B)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는 본체(20) 및 덮개(30)와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10)의 본체(20)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거나, 일부분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체(20)는 콘크리트 또는 지면의 바닥이 균일하지 않아 불균형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콘크리트, 지면 등의 바닥과 접촉되는 이격돌기(29)의 접촉면을 깍아내어 본체(20)의 균형을 맞출 수 있고, 이러한 이격돌기(29)를 통해 본체(20)가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므로 콘크리트, 지면 등에서 발생되는 습기가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 본체(20)의 균형을 맞추어 본체(20)를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때, 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홈(27)으로 다른 본체(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28)를 끼운다. 그러면, 연결홈(27)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7A)에 연결부(28)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8A)가 걸림되어 본체(20)가 상호 연결되고, 상호 연결된 본체(20)들은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본체(20)가 상호 연결되면, 통신 또는 동력전달용으로 배선되는 각종 전선 등을 본체(20)의 수납공간(21)을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판(24)에 의해 용도에 따라 분류하여 수납공간(21) 내에 수납시킨다. 이렇게 수납공간(21) 내에 분류되어 수납된 전선을 통해 전선의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에 전선이 분류되어 수납되면, 본체(20)의 상부에 덮개(30)를 결합하게 된다.
본체(20)의 상부에 덮개(30)가 결합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양 측벽(20A) 상단이 덮개(30)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34) 내로 끼워져서 본체(20)의 상부에 덮개(30)가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덮개(30)의 보강부(32) 상면에 각각 형성된 끼움공(32B)과 본체(20)의 보강부(22) 상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22B)은 상호 연통된다. 이때, 본체(20) 및 덮개(30)와 별도로 형성된 결합부재(40)를 끼움공(32B)을 통해 결합공(22B) 내로 끼운다. 그러면, 결합부재(40)의 머리부(42)는 끼움공(3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30)의 보강부(32) 상면에 걸림되고, 몸체부(44)는 끼움공(32B)을 통해 결합공(22B) 내로 끼워져서 본체(20)에 덮개(30)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에 수납된 전선의 유지보수시 본체(20)에 결합된 덮개(30)를 분리할 경우에도 결합부재(40)를 끼움방향의 역방향으로 제거하여 본체(20)에서 덮개(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덮개(30)는 본체(2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팽창되므로 본체(20)의 수축/팽창에 따른 길이의 변화를 보상해 주기 위해 본체(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덮개(30)들 간의 사이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시공된다. 그러면, 덮개(30)들 간의 이격된 틈을 통해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이물질이나 우수가 유입될 수 있는 데, 이러한 덮개(30)들 간의 틈은 덮개(30)의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36)에 의해 보상되어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이물질이나 우수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케이블 보호관(10)의 내부에 고압전선이 수납된 경우에 본체(20)의 내부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되어도 본체(20)와 덮개(30)에 형성된 보강부(22,32)에 의해 케이블 보호관(10)의 자체적인 강성이 보강되어 열에 의한 본체(20)와 덮개(30)의 변형이 방지되고, 본체(20)의 일부분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설치될 경우에도 보강부(22)에 형성된 돌기(22A)의 곡면에 의해 양 측벽(20A)에 가해지는 토압 등이 외압이 분산되어 본체(20)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체(20)와 마찬가지로 덮개(30)도 양 측벽에 형성된 보강부(32)에 의해 외압에 따른 덮개(30)의 휨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바닥면(20B)에는 배수공(26)이 형성되고, 바닥면(20B)은 배수공(26)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20)의 수납공간(21) 내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에 수납공간(21) 내로 유입된 우수는 경사진 바닥면(20B)을 따라 배수공(26)을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므로, 원활하지 못한 배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기의 합선 또는 누전 등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보호관은 종래의 본체와 덮개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덮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없애고, 대신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별도로 형성함으로 인해서 종래의 덮개 취급과정에서 발생되는 결합돌기의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덮개의 교체에 따른 작업비용의 상승 요인이 제거되고, 본체의 수납공간 내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에 배수공과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바닥면에 의해 신속하게 배수되어 전선의 합선 또는 누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본체 20A : 측벽
20B : 바닥면 21: 수납공간
22B : 결합공 24 : 격판
26 : 배수공 30 : 덮개
32B : 끼움공 40 : 결합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 측벽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틀을 이루고 상기 양 측벽의 외면에 보강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부합되게 형성되고 양 측벽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결합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끼움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과 결합공 내로 결합부재가 끼워져서 본체와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본체의 보강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은 덮개의 보강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덮개의 보강부 상면에 걸림되는 머리부와 상기 끼움공을 통해 결합공 내로 끼워지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과 끼움공은 반원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형상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결합공과 끼움공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배수공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바닥면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10. 내부에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양 측벽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틀을 이루고 상기 양 측벽의 외면에 보강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부합되게 형성되고 양 측벽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보강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길이방향의 중앙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수납공간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도록 바닥면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결합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공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의 보강부 상면에 걸림되는 머리부와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결합공 내로 끼워지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와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관.
KR20-2005-0027430U 2005-09-23 2005-09-23 케이블 보호관 KR200403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30U KR200403532Y1 (ko) 2005-09-23 2005-09-23 케이블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30U KR200403532Y1 (ko) 2005-09-23 2005-09-23 케이블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32Y1 true KR200403532Y1 (ko) 2005-12-09

Family

ID=4370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30U KR200403532Y1 (ko) 2005-09-23 2005-09-23 케이블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15B1 (ko) * 2011-11-16 2012-04-20 (주) 늘푸른동방 부스 덕트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15B1 (ko) * 2011-11-16 2012-04-20 (주) 늘푸른동방 부스 덕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590Y1 (ko) 단자함
KR101569672B1 (ko) 지중전선로
KR200403532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2236448B1 (ko) 전주용 접지몰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주
KR200390068Y1 (ko) 케이블 보호관
JP2006296113A (ja) 電柱および接地方法
KR20110040495A (ko) 케이블 트로프
CN104782008A (zh) 线束保护器和用于布线配线线束的方法
KR100604205B1 (ko) 단자함
KR102281377B1 (ko) 케이블 보호관용 마감캡 구조
KR200446007Y1 (ko) 조류 집짓기 방지용 애자덮개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KR200451739Y1 (ko) 고정부재가 구비된 배선용 박스
KR101344750B1 (ko) 케이블 보호용 관로
KR200439820Y1 (ko) 케이블 보호관
KR101677054B1 (ko) 지중 송전선로용 조립식 덕트
KR101078834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372021Y1 (ko) 단자함
KR100886243B1 (ko) 지중케이블용 조립식 맨홀함 구조물
KR100987930B1 (ko) 통신선 보호구가 마련된 지중매설용 하수관
KR100391254B1 (ko) 파형관 연결용 어댑터
KR200494246Y1 (ko) 배선작업이 용이한 콘트리트 매설용 전선 배관박스
JP7371479B2 (ja) ケーブルクリート及びケーブル敷設構造
KR200450999Y1 (ko) 보호용 캡을 갖는 전선관 접속장치
KR200451513Y1 (ko)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에서 사용되는 인서트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