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49Y1 -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49Y1
KR200403149Y1 KR20-2005-0025679U KR20050025679U KR200403149Y1 KR 200403149 Y1 KR200403149 Y1 KR 200403149Y1 KR 20050025679 U KR20050025679 U KR 20050025679U KR 200403149 Y1 KR200403149 Y1 KR 200403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usb
usb interface
access point
bluet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원
박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텔레웨어
Priority to KR20-2005-0025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블루투스 AP(Access Point) 본체에서 분리한 후,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블루투스 AP에 다수의 원폰 단말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AP 본체와, 원폰 단말기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블루투스 AP를 추가하지 않고도 USB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필요한 만큼의 원폰 단말기에 대하여 동시 접속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블루투스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다수의 원폰 단말기가 동시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영역 확장시 블루투스 모듈간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한 장비 설치와 배치 및 확장이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Bluetooth Access Point Apparatus Capable Of Bluetooth Module Connect And Disconnect}
본 고안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블루투스 AP 본체에서 분리한 후,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블루투스 AP에 다수의 원폰 단말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무선 통신과 관련하여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기술 표준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 표준 중에서 블루투스 기술 표준은 2.4GHz를 이용하여 저렴한 데이터와 음성용 근거리 무선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표준으로서, IEEE 802.11 표준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와 밀접하게 결합하면서 복수 대역/복수 모드 이동 단말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KT(KT Corp.)에서 개발한 블루투스 원폰 서비스는 무선전화 기능이 내장된 원폰 단말기로 유선통신망(PSTN :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과 이동통신망을 모두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로서, 이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예컨대, 가정 등)에 PSTN 망의 유선 전화선과 연결되는 블루투스 AP(Access Point)를 설치함으로써 원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는 블루투스 AP를 통해 PSTN 망에 접속하여 무선 전화기로, 외부에서는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전화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블루투스 AP는 블루투스의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PSTN 망으로 연결되는 기존 전화 서비스(POTS : Plain Old Telephone Service) 즉, 가정용 무선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종래의 블루투스 AP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RF(Radio Frequency) 송수신 기능 및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과, 신호 처리 기능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 등이 구현되며, 각각의 기능부가 하나의 박스형 케이스를 가진 블루투스 AP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의 기능부가 일체화된 형태로 하나씩 구성된 종래의 블루투스 AP는 접속할 수 있는 원폰 단말기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하려는 원폰 단말기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필요한 만큼의 블루투스 AP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경우 블루투스 AP의 네트웍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네트웍 라인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설치하려는 블루투스 AP의 개수만큼 필요하므로 블루투스 AP의 설치와 배치 및 확장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AP 본체와, 원폰 단말기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블루투스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이 연결 가능하게 함으로써, 블루투스 AP를 추가하지 않고도 USB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필요한 만큼의 원폰 단말기를 동시 접속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블루투스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다수의 원폰 단말기를 동시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영역 확장시 블루투스 모듈간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고, 또한 유연한 장비 설치와 배치 및 확장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과 전체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AP(Access Point) 본체부와; 단말기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RF 송수신 기능 및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AP 본체부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AP 본체부는, 각 블루투스 모듈을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각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 처리 및 상호 연동을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이더넷 연결을 통해 IP 기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블루투스 모듈은, AP 본체부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채널 부호화와 복호화, 저레벨 타이밍 제어, 단일 데이터 패킷 전달 영역 내의 링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블루투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무선 주파수에 대한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블루투스 모듈은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AP 본체부에 구성된 USB 인터페이스부의 USB 포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USB 케이블 또는 USB 허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AP 본체부는 동시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직접 또는 USB 케이블이나 USB 허브를 통해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USB 포트로 USB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블루투스 AP(Access Point)를 구현하는데 있어,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과 전체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AP 본체부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RF 송수신 기능 및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로 분리 구성하고, 이를 USB 방식으로 정합함으로써 다수의 원폰 단말기 접속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와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AP 본체부(20)와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30-1~30-n)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동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AP 본체부(20)는 각 블루투스 모듈(30-1~30-n)을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21)와, 각 블루투스 모듈(30-1~30-n)로부터 USB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전달되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 처리 및 상호 연동을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2)와, 이더넷 연결을 통해 IP 기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부(23)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블루투스 모듈(30-1~30-n)은 블루투스 안테나(ANT)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주파수에 대한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RF 송수신부(31)와, 채널 부호화와 복호화, 저레벨 타이밍 제어, 단일 데이터 패킷 전달 영역 내의 링크 관리 등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32)와, AP 본체부(20)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3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는 각 블루투스 모듈(30-1~30-n)과 AP 본체부(20)가 USB 인터페이스부(33, 21)를 상호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각 블루투스 모듈(30-1~30-n)은 USB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AP 본체부(20)에 구성된 USB 인터페이스부(21)의 USB 포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USB 케이블 또는 USB 허브를 통해 연결되며, AP 본체부(20)는 동시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30-1~30-n)을 직접 또는 USB 케이블이나 USB 허브를 통해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USB 포트로 USB 인터페이스부(21)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AP 본체와, 원폰 단말기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로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블루투스 AP를 추가하지 않고도 USB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필요한 만큼의 원폰 단말기에 대하여 동시 접속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나의 블루투스 AP 본체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다수의 원폰 단말기가 동시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영역 확장시 블루투스 모듈간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한 장비 설치와 배치 및 확장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원폰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AP 본체부 21, 33 : USB 인터페이스부
22 : 제어부 23 : 네트웍 인터페이스부
30-1~30-n : 블루투스 모듈 31 : RF 송수신부
32 : 베이스밴드 처리부

Claims (4)

  1. 신호 처리 및 네트웍 인터페이스 기능과 전체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AP(Access Point) 본체부와;
    단말기와 실제적인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RF 송수신 기능 및 베이스밴드 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AP 본체부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P 본체부는, 각 블루투스 모듈을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각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 처리 및 상호 연동을 위한 각종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이더넷 연결을 통해 IP 기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웍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루투스 모듈은, AP 본체부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채널 부호화와 복호화, 저레벨 타이밍 제어, 단일 데이터 패킷 전달 영역 내의 링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블루투스 안테나를 통해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무선 주파수에 대한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루투스 모듈은 USB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AP 본체부에 구성된 USB 인터페이스부의 USB 포트에 직접 연결되거나, USB 케이블 또는 USB 허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AP 본체부는 동시에 다수의 블루투스 모듈을 직접 또는 USB 케이블이나 USB 허브를 통해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USB 포트로 USB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2005-0025679U 2005-09-06 2005-09-06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0403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79U KR200403149Y1 (ko) 2005-09-06 2005-09-06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679U KR200403149Y1 (ko) 2005-09-06 2005-09-06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49Y1 true KR200403149Y1 (ko) 2005-12-09

Family

ID=4370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679U KR200403149Y1 (ko) 2005-09-06 2005-09-06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30B1 (ko) * 2011-10-24 2015-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KR200480760Y1 (ko) * 2015-03-19 2016-07-05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KR101772743B1 (ko) * 2015-01-14 2017-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N113543097A (zh) * 2021-06-02 2021-10-22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Android系统的多蓝牙交互方法及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30B1 (ko) * 2011-10-24 2015-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KR101772743B1 (ko) * 2015-01-14 2017-08-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KR200480760Y1 (ko) * 2015-03-19 2016-07-05 주식회사 서울스탠다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군용차량용 슬립링
CN111669739A (zh) * 2020-06-04 2020-09-15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N111669739B (zh) * 2020-06-04 2023-08-04 北京万维智能技术有限公司 蓝牙ap自动注册设备方法、系统以及蓝牙ap
CN113543097A (zh) * 2021-06-02 2021-10-22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Android系统的多蓝牙交互方法及系统
CN113543097B (zh) * 2021-06-02 2024-03-29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Android系统的多蓝牙交互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001A (en) Radiotelephone system in the form of a private branch exchange
CN1655555B (zh) 无线局域网中多协议无线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US2004018590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of which installation is facilitated
US20040132485A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expansion peripherals
US9020552B1 (en) Background scan process for wireless devices
US20060098598A1 (en) Seamless transitions of active calls between enterpris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licensed publi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MXPA04003174A (es) Metodo de distribucion en edificios usando tecnologia de acceso inalambrica.
WO200507416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403149Y1 (ko) 블루투스 모듈 착탈이 가능한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장치
WO2009066199A3 (en) System for implementing multi-modular standby terminal using duplexer
WO1999067901A1 (fr) Installation de repetition utilisant une ligne telephonique
NZ581379A (en) A repeater system for extending cell coverage by repeating a signal at an alternate frequency
US8526999B2 (en) Signal converter,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signal reception system
US11388091B2 (en) Small form factor pluggable unit with wireless capabilities an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utilizing same
CN103167509A (zh) 无线局域网信号延伸设备及方法
JP3866909B2 (ja) 無線中継装置
US20230006926A1 (en) Small form factor pluggable unit with wireless capabilities an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utilizing same
US20180131401A1 (en) Wireless sfp module
WO2001058181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o base station external equipment
CN101496361A (zh) 聚合设备中的媒介无关多rat功能
KR100886678B1 (ko)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JP2010258596A (ja) 無線通信装置、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30031688A (ko) 통신 시스템의 광중계 무선랜 액세스포인트 장치
JP3433131B2 (ja) 基地局装置
JP2008515308A (ja) 無線セルを接続する無線バックボ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