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91Y1 - 휴대용 비상 경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비상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91Y1
KR200402791Y1 KR20-2005-0027877U KR20050027877U KR200402791Y1 KR 200402791 Y1 KR200402791 Y1 KR 200402791Y1 KR 20050027877 U KR20050027877 U KR 20050027877U KR 200402791 Y1 KR200402791 Y1 KR 200402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alarm sound
switch
safety pi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석
Original Assignee
이국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석 filed Critical 이국석
Priority to KR20-2005-0027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범죄자에 의해 경보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비상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수납된 경보음 발생부와, 경보음 발생부에 저장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경보음 발생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경보음 발생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경보음 스위치와, 케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안전핀을 포함하며, 안전핀이,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면 경보음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고, 케이스에 부착되면 경보 스위치가 OFF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위급 상황시 안전핀을 뽑아 경보음을 발생하게 한 후, 안전핀을 멀리 던져버릴 수가 있어, 범죄자에 의해 경보음이 중단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비상 경보기 { PORTABLE SECURITY ALARM }
본 고안은 휴대 가능한 비상 경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죄자(치한, 강도 등)에 의해 경보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비상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질만능주의의 팽배, 사회적 양극화 등 사회 병리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각종 강력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신체적으로 연약한 어린이, 여성, 및 노약자가 범죄의 주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범죄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가스총, 전기 충격기와 같은 각종 호신용 도구 등과 함께, 휴대용 비상 경보기가 개발되었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는 경보음이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2), 경보음 발생부(2)에서 발생한 경보음이 출력되는 스피커(3), 경보음 발생부(2)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 경보음 발생부(2), 스피커(3), 배터리(4)가 내장된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경보음 발생부(2)와 배터리(4)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위급 상황시 스위치(5)를 ON 상태로 하면 배터리(4)로부터 경보음 발생부(2)로 전원이 공급되고, 그에 따라 경보음이 스피커(3)로 출력됨으로써 범죄자를 퇴치하거나 또는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급 상황이 종료되어 스위치를 OFF 상태로 하면 경보음이 멈추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경보기는 단순한 스위치(5)의 ON, OFF 동작만으로 경보음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범죄자가 경보기를 빼앗아 경보 스위치를 OFF 상태로 하면 더 이상 경보음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휴대용 경보기가 창안되었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경보기와 비교하여, 도 7에 도시된 비상 경보기는 외부에서 조작하도록 구성된 암호 입력버튼(6), 및 스위치(5)의 조작으로 경보음이 출력되면 상기 암호 입력버튼(6)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값이 설정값과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전원공급이 차단되게 스위치(5)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경보기는 범죄자에 의해 경보기가 탈취되더라도 암호를 입력해야만 경보음을 멈출수가 있어 상술한 도 4의 경보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지만, 별도의 암호 입력버튼(6), 및 컨트롤 유닛(7)을 더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시에 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회로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휴대용 경보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고안으로서, 범죄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음이 중단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도 제조가 가능한 휴대용 경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경보기는, 케이스에 수납된 경보음 발생부로부터 저장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로서, 경보음 발생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경보음 발생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경보음 스위치, 및 케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안전핀을 포함하며, 안전핀이,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면 경보음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고, 케이스에 부착되면 경보 스위치가 OFF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경보음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된 경보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보음 발생부에 저장된 경보음은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와 연결되는 조명등 스위치와, 조명등 스위치를 통해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단속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할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사시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는 소정의 경보음이 저장된 경보음 발생부(20), 경보음 발생부(20)에서 발생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30), 경보음 발생부(20)와 스피커(30)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 경보음 발생부(20)와 배터리(4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경보음 스위치(50), 경보음 스위치(50)의 접점을 단속하여 경보음 스위치(50)를 ON, OFF 시키는 안전핀(60), 안전핀(60)이 탈,부착되는 안전핀 수납부(70), 경보음 발생시 점등되는 경보등(80), 조명등 스위치(51)를 통해 배터리(40)와 연결되는 조명등(81) 및 이들이 수납되는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경보음 발생부(20) 소정의 경보음이 저장되는 저장 소자로서, 경보음으로서는 예를 들어, "삐익~삐익~"과 같은 소정의 기계음은 물론,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와 같은 사람 음성이 사용될 수 있다. 위급한 상황에서 주위 사람들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기계음과 사람 음성이 소정 시간을 두고 교대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성 주파수를 달리하여 서로 다른 톤(TONE)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스피커(30)는 위급 상황시 충분히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고출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음 스위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곡되어 있고, 탄성을 가진 금속재로서, 배터리(40)와 경보음 발생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경보음 스위치(50)는 후술하는 안전핀(60)에 의해 ON, OFF된다.
안전핀(6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안전핀 수납부(70)에 탈,부착이 가능한 핀으로서, 안전핀(60)의 탈, 부착에 따라 경보음 스위치(50)가 ON, OFF된다.
이를 설명하면, 경보음 스위치(50)가 OFF된 경우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핀(60)이 안전핀 수납부(7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전핀(60)의 일측단이 경보음 스위치(50)의 절곡된 첨단부에 접하게 됨에 따라, 탄성을 가진 경보음 스위치(50)가 도 1의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위치의 접점이 이격되어 경보음 발생부(20)와 배터리(40)가 전기적으로 끊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안전핀(50)이 안전핀 수납부(70)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경보음 스위치(50)가 탄성에 의해 스위치 ON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따라서, 경보음 발생부(20)로 구동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30)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된다.
경보등(80)은 경보음 스위치(50)를 통해 배터리(40)와 연결되어 있어, 경보음 스위치(50)가 ON되면 그에 따라 점등된다. 경보등(80)으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와 같은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고, 경보등(80)에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점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급 상황시 경보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경보등(80)도 점등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범죄 현장을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가 있어, 외부로부터 쉽게 조력을 받을 수 있다.
조명등(81)은 조명등 스위치(51)를 통해 배터리(40)에 연결되어 있는 발광소자로서, 상술한 경보등(80)과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LED), 레이저 다이오드(LD)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보기에 경보등(80)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명등(81)을 설치함으로써, 야간에 플래시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위급 상황시 경보등(80)과 함께 외부로 위치로 알리도록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경보음 발생부(20), 스피커(30), 배터리(40), 경보등(80), 및 조명등(81)이 수납되어 있고,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안전핀(60)이 착탈 가능하도록 안전핀 수납부(7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도록 끈(11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를 호주머니, 가방에 넣어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목에 걸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동작을 이하 설명토록 한다.
위급 상황 발생시, 휴대하고 있던 휴대용 비상 경보기에서 안전핀(60)을 제거하면, OFF 상태이던 경보등 스위치(50)가 ON 상태가 된다. 그러면, 배터리(40)로부터 경보음 발생부(20)로 전원이 공급되고 스피커(40)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된다.
도 3은 도 1에서 안전핀이 제거되었을 때의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안전핀이 제거되었을 때의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위급 상황시 안전핀(60)을 제거하면 경보음 뿐만 아니라 경보등(80)도 함께 점등이 됨에 따라, 청각을 물론 시각적으로도 주위를 환기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도움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
위급 상황이 종료되어 제거된 안전핀(60)을 케이스(100)에 다시 결합시키면, ON 상태이던 경보등 스위치(50)가 OFF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경보음은 멈추게 되고 경보등(80)도 소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로부터 안전핀(60)의 탈착에 따라 경보등 스위치(50)를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경보기와 비교하면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시에 비용시 증대되지 않는다.
한편, 위급 상황시 경보기를 휴대한 자는 안전핀(60)을 제거한 후에, 제거된 안전핀(60)을 범죄자가 찾을 수 없도록 멀리 던질 수가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경보기와 비교하면, 비록 범죄자가 경보기를 탈취한다고 할지라도 경보음을 멈출 수가 없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도 5는 플래시로서 동작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명등 스위치(51)를 눌러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조명등(81)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는 위급 상황시 경보기로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야간에 플래시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는 범죄자의 퇴치 및 예방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시와 같은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달성되며,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경보기는 범죄자에 의해 경보음이 중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위급 상황시 경보음 뿐만 아니라 경보등도 점등시킬 수가 있어 위급상황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는 범죄현장의 인지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경보기는 목걸이와 같이 악세사리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래시로도 사용가능하여 야간 또는 조난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안전핀이 제거되었을 때의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안전핀이 제거되었을 때의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플래시로서 동작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용 비상 경보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20 : 경보음 발생부 30 : 스피커
40 : 배터리 50 : 경보음 스위치
51 : 조명등 스위치 60 : 안전핀
70 : 안전핀 수납부 80 : 경보등
81 : 조명등 100 : 케이스

Claims (4)

  1. 케이스에 수납된 경보음 발생부에 저장된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경보음 스위치;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안전핀;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핀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경보음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고,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면 상기 경보 스위치가 OFF 상태가 되어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경보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에 저장된 경보음은 사람의 음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는 조명등 스위치; 및
    상기 조명등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와의 전기적 연결이 단속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 경보기.
KR20-2005-0027877U 2005-09-28 2005-09-28 휴대용 비상 경보기 KR200402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77U KR200402791Y1 (ko) 2005-09-28 2005-09-28 휴대용 비상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77U KR200402791Y1 (ko) 2005-09-28 2005-09-28 휴대용 비상 경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91Y1 true KR200402791Y1 (ko) 2005-12-05

Family

ID=4370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77U KR200402791Y1 (ko) 2005-09-28 2005-09-28 휴대용 비상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713B1 (ko) * 2010-06-21 2011-12-09 주식회사준앤린 휴대용 고주파 호신용 경보기
WO2012070713A1 (ko) * 2010-11-25 2012-05-31 (주)에스웨어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713B1 (ko) * 2010-06-21 2011-12-09 주식회사준앤린 휴대용 고주파 호신용 경보기
WO2012070713A1 (ko) * 2010-11-25 2012-05-31 (주)에스웨어 가청 주파수 대역 조절을 통한 위기상황 구조 요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요청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994B2 (en) Multi purpose visual and audible signaling baton
US5578992A (en) Personal safety alarm and timekeeping device
US201202383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alarm detection and emergency signaling
GB2542606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US9328531B1 (en) Rechargeable automobile ignition key
KR200402791Y1 (ko) 휴대용 비상 경보기
JP5674860B2 (ja) 救助支援機能を有する地震警報装置
SE0500212L (sv) Stöldskyddsbox
JP3148939U (ja) サーチ機能付き補聴器システム
ES2704122T3 (es) Dispositivo de defensa y sistema de defensa doméstico
WO2013000405A1 (zh) 手电筒用报警器
US5392029A (en) Electrical shock apparatus
KR200472744Y1 (ko) 도난방지 휴대폰 케이스
KR20100043500A (ko) 경보 발생이 가능한 우산
KR20210133683A (ko) 호신용 목걸이
KR101092713B1 (ko) 휴대용 고주파 호신용 경보기
JP2008171787A (ja) 衝撃報知装置及びそれを内蔵する懐中電灯
KR200431961Y1 (ko) 호신용 휴대 경보기
KR200354512Y1 (ko) 치한 퇴치기능을 갖는 가방
JP2008226130A (ja) 警報器
JP3244956U (ja) 防犯用警報器
KR200314195Y1 (ko) 차량용 시거잭을 이용한 다기능 충전램프
JP685102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装置
JP2007264103A (ja) 防犯ブザー
JP3089725U (ja) 警報器付き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