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67Y1 -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67Y1
KR200402767Y1 KR20-2005-0027678U KR20050027678U KR200402767Y1 KR 200402767 Y1 KR200402767 Y1 KR 200402767Y1 KR 20050027678 U KR20050027678 U KR 20050027678U KR 200402767 Y1 KR200402767 Y1 KR 200402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se
support
frame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효
Original Assignee
이창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효 filed Critical 이창효
Priority to KR20-2005-0027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촬영용 스크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린의 양면을 번갈아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 용이하며, 스크린이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거나 롤링되는 과정에서 그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 사용이 편리한 스크린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구성을 보면, 지지대(10)와 케이스(20)를 별도로 구성한 후 결합 또는 분리가능토록 구성하며, 지지대(10)는 수평으로 길이가 긴 프레임(11)의 양측 저면에 회동가능한 지지간(12)을 구성하고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중앙부와 양측 가장자리부에 3개의 지관(13)(13')(13")을 구성하며, 상기 지지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2개 이상의 포스트(14)를 구성하면서 포스트(14)의 상면에는 걸고리(15)(15')를 구성하며, 케이스(20)에는 스크린(21)이 인출 및 수납되는 통로(22)의 입구 양측에 융모(23)가 돌출되는 가이드(24)를 구성하고, 케이스(20)와 지지대(10)의 분리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20)의 앞면과 뒷면의 하단에 걸림홈(25)을 각각 구성하고, 프레임(11)의 일측에는 걸림홈(25)에 삽입되는 걸림돌부(31)가 각각 구성되는 탄성편(30)을 설치하여 분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Photo shoot screen assembly body}
본 고안은 프로필, 출사 전용으로 사용되는 사진촬영용 스크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린의 양면을 번갈아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아래에서 위로 스크린을 뽑아 올리는 형태 또는 위에서 아래로 늘어뜨리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 용이하며, 스크린이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롤링되는 과정에서 그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 사용이 편리한 스크린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 인물사진 등을 촬영할 시에는 배경으로서 미려한 그림이나 깨끗한 색상으로 된 배경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인물이 돋보이게 하거나 분위를 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진 촬영용 스크린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프로필 사진이나 출사 전용으로 사용되는 스크린 조립체의 구성을 보면, 절첩이 가능한 삼각대의 상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포스트를 조립하고 롤타입으로 프레임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스크린을 인출하여 포스트에 걸어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기존 스크린의 경우는 스크린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삼각대를 필요로 하므로 휴대상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보관 시에도 많은 장소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65918호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스크린이 롤형태로 수납되는 케이스가 지지대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스크린의 뒷면을 배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지지대 전체를 회전시켜 방향을 반대로 하여야 하고, 아울러 지지대의 포스트를 분리한 후 다른 쪽으로 옮겨 삽입한 후 스크린을 인출하여 걸어야 하는 등 동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스와 지지대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지지대를 이용하여 롤스크린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여러개의 지지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스크린 조립체의 문제점으로는 스크린이 케이스의 내부에 롤링되거나 인출되는 과정에서 케이스의 통로 주변에 마찰이 되므로 스크린에 표현된 문양이나 그림 등이 손상되어 스크린의 수명이 매우 단축되는 결과로 이어졌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종래 사진촬영용 스크린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앞뒷면 전환의 불편점과 스크린의 손상 및 다른 종류의 스크린 사용에 대한 호환성 부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편하게 스크린의 앞뒷면 사용을 전환하고, 스크린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하며, 지지대를 이용하여 다른 종류의 스크린도 사용가능토록 하는 등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스크린 조립체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스크린 조립체를 구성시 스크린이 롤형대로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및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별도로 구성한 후 지지대로부터 케이스를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포스트의 위치 및 설치 숫자를 변경하여 다른 종류의 스크린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케이스의 입구에 스크린의 마찰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스크린 조립체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지지대(10)와 케이스(20)를 별도로 구성한 후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먼저 지지대(10)는 수평으로 길이가 긴 프레임(11)을 구성한 후 프레임(11)의 양측 저면에는 한개의 볼트(12')로 결합되는 지지간(12)을 구성하여 지지간(12)이 프레임(11)과 직각으로 위치하면 지지대(10)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프레임(11)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간(12)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이동이나 보관시에 유용하도록 된 것이다.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중앙부와 양측 가장자리부에 3개의 지관(13)(13')(13")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지지관(13)(13')(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중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구(14')가 구성된 2개 이상의 포스트(14)로 구성된다.
포스트(14)의 상면에는 포스트(14)의 중심에 근접하는 위치와 조금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걸고리(15)(15')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케이스(20)의 구성을 살펴본다.
케이스(20)는 공지와 같이 내부에 스크린(21)이 롤형태로 권회되는데, 지지대(10)와는 별도로 독립되도록 구성하면서 스크린(21)이 인출 및 수납되는 통로(22)의 입구 양측에는 융모(23)가 돌출되는 가이드(24)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20)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10)의 프레임(11) 일측에는 분리결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데, 케이스(20)의 앞면과 뒷면의 하단에 걸림홈(25)을 각각 구성하고, 프레임(11)의 일측에는 탄성편(30)을 설치하는데, 탄성편(30)은 걸림홈(25)에 삽입되는 걸림돌부(31)를 각각 양측에 구성하고 일측 걸림돌부(31)에 연장되는 누름부(32)를 구성하여 누름부(32)를 누르면 걸림돌부(31)가 걸림홈(25)으로부터 이탈되어 케이스(20)가 탄성편(3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결합시에는 탄성편(30)을 젖히면서 케이스(20)를 밀어 넣으면, 걸림홈(25)에 걸림돌부(31)가 삽입되면서 고정이 된다.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26은 롤스크린 조절로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살펴본다.
우선 본 고안의 케이스(20)가 지지대(10)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살펴보면 포스트(14)를 프레임(11)의 가운데에 위치한 지지관(13)에 삽입하여 두고 케이스(20)로부터 스크린(21)을 인출하여 끝을 걸고리(15)에 걸어둔 상태로 사진을 촬영한다. 촬영을 마친 후에는 걸고리(15)로부터 스크린(21)을 제거하면 스크린(21)은 자동으로 케이스(20)의 내부로 권취된다.
스크린(21)의 뒷면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20)를 지지대(10)로부터 분리하는데, 탄성편(30)의 누름부(32)를 눌러주면 탄성편(30)의 걸림돌부(31)가 걸림홈(25)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케이스(20)를 분리해 낼 수 있고, 케이스(20)를 반대로 회전시킨 다음 다시 케이스(20)를 탄성편(30)에 결합하여 주는데, 이때는 탄성편(30)을 밀면서 걸림홈(25)이 걸림돌부(31)에 들어가도록 밀어넣어 주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반대로 케이스(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스크린(21)을 뽑아 올렸을 때 지지대(10)의 포스트(14)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걸고리(15')에 스크린(21)을 걸어준다.
스크린 조립체를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지지간(12)을 회전시켜 프레임(11)과 같은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이동과 보관시 매우 편리하다.
상기 스크린(21)을 케이스(20)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롤링될 때 케이스(20)의 입구통로(22)의 주변에 마찰될 수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융모(23)가 형성된 가이드(24)를 구성하였으므로 스크린(21)의 마찰을 줄여 그림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지대(10)의 양측에 구성된 지지관(13)에 2개의 포스트(14)를 각각 구성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롤스크린(롤커튼과 같이 상단에서 풀어 내리는 형태의 스크린)을 걸어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두루마리 방식의 스크린도 걸어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대(10)와 별도로 케이스(20)가 구성되어 있으면서 탄성편(30)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지지대(10)의 탄성편(30)과 같은 구성의 탄성편(30)을 천정이나 벽면에 구성하게 되면 케이스(20)를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여건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사진촬영용 스크린 조립체는
스크린이 롤형대로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및 스크린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별도로 구성한 후 지지대로부터 케이스를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과 보관시에 편리함은 물론, 스크린의 뒷면을 배경으로 사용할 때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트의 위치 및 설치 숫자를 변경하여 다른 종류의 스크린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케이스를 벽이나 천장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하기도 용이하며, 아울러 케이스의 입구에 스크린의 마찰을 방지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스크린의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스크린 조립체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본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11: 프레임
12: 지지간 12': 볼트
13, 13', 13": 지지관 14: 포스트
14': 조절구 15, 15': 걸고리
20: 케이스 21: 스크린
22: 통로 23: 융모
24: 가이드 25: 걸림홈
30: 탄성편 31: 걸림돌부
32: 누름부

Claims (1)

  1. 지지대(10)와, 공지와 같이 내부에 스크린(21)이 롤형태로 권회되는 케이스(20)를 별도로 구성한 후 결합 또는 분리가능토록 구성하며,
    지지대(10)는 수평으로 길이가 긴 프레임(11)을 구성한 후 프레임(11)의 양측 저면에는 회동가능한 지지간(12)을 구성하고,
    프레임(11)의 상면에는 중앙부와 양측 가장자리부에 3개의 지관(13)(13')(13")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중간에 조절구(14')가 구성된 2개 이상의 포스트(14)를 구성하고,
    포스트(14)의 상면에는 포스트(14)의 중심에 근접하는 위치와 조금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걸고리(15)(15')를 구성하며,
    케이스(20)에는 스크린(21)이 인출 및 수납되는 통로(22)의 입구 양측에 융모(23)가 돌출되는 가이드(24)를 구성하고,
    케이스(20)와 지지대(10)의 분리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20)의 앞면과 뒷면의 하단에 걸림홈(25)을 각각 구성하고, 프레임(11)의 일측에는 걸림홈(25)에 삽입되는 걸림돌부(31)가 각각 구성되고 일측 걸림돌부(31)에 연장되는 누름부(32)를 구성되는 탄성편(30)을 설치하여 분리 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KR20-2005-0027678U 2005-09-27 2005-09-27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KR200402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78U KR200402767Y1 (ko) 2005-09-27 2005-09-27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78U KR200402767Y1 (ko) 2005-09-27 2005-09-27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67Y1 true KR200402767Y1 (ko) 2005-12-05

Family

ID=437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678U KR200402767Y1 (ko) 2005-09-27 2005-09-27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54B1 (ko) * 2012-09-27 2013-04-02 (주)현대포멕스 햇빛 및 조명을 여과하여 투과시키는 태양광 바운스 장치
KR101404186B1 (ko) 2012-10-17 2014-06-05 박화영 휴대용 양면 크로마키 스크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54B1 (ko) * 2012-09-27 2013-04-02 (주)현대포멕스 햇빛 및 조명을 여과하여 투과시키는 태양광 바운스 장치
KR101404186B1 (ko) 2012-10-17 2014-06-05 박화영 휴대용 양면 크로마키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8241B1 (en) Retractable banner stands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CN104049449A (zh) 一种无边框框架幕
US7316257B2 (en) Portable screen assembly
KR200402767Y1 (ko) 사진 촬영용 스크린 조립체
GB2505485A (en) Photographic lightbox
KR101696023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US20110211174A1 (en) Portable Shadow Screen Kit
USD523675S1 (en) Kit for hanging panel curtains
CN211779978U (zh) 自拍杆的可伸缩三脚架结构
JP3229739U (ja) 撮影用背景装置
US20110299841A1 (en) Internal Power Driven Automatic Backdrop Apparatus
CN203965790U (zh) 一种无边框框架幕
WO2016091117A1 (zh) 整体折叠式框架投影幕
CN212927671U (zh) 一种可滑动纱盒的微型卷轴式隐形纱窗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JP5283554B2 (ja) ベルトパーティション
CN109634028B (zh) 拆装方便的柔光箱
KR200406921Y1 (ko) 텐트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KR20130032717A (ko) 롤 스크린 장치
JP5835755B2 (ja) 投影スクリーン
JP2020070606A (ja) ロールスクリーン構造体、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ベランダ構造
JP3093437U (ja) テーブルにおける遮蔽用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KR100290585B1 (ko) 대형 그림을 갖는 붙박이장용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