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27Y1 - Guard rail for railway - Google Patents

Guard rail for rail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27Y1
KR200402727Y1 KR20-2005-0026302U KR20050026302U KR200402727Y1 KR 200402727 Y1 KR200402727 Y1 KR 200402727Y1 KR 20050026302 U KR20050026302 U KR 20050026302U KR 200402727 Y1 KR200402727 Y1 KR 200402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l
struts
railroad
ra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3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엔비
Priority to KR20-2005-0026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27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1Track with balla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5Reducing impact of devices on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지면에 고정 직립되는 복수의 지주대(10)와, 각 지주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 지주대(1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횡대(20) 및 상기 각 지주대(10)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상의 자갈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갈막이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자갈도상궤도 내의 자갈이 열차 운행 중 양측 난간쪽으로 튀어 올라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 또는 시설물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난간의 미관도 수려해지도록 하며, 또한, 지주대의 간격에 맞게 횡대의 길이를 신축시켜 가면서 지주대에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난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road gravel barrier, which i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struts 10 which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xed upright on the ground, and are arranged between the struts 10 and the struts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avel plate 30 is disposed between the cross-section 20 and the respective struts 10 are coupled to both ends to prevent the gravel on the rails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avel in the gravel trajectory from jumping out of the railings on both sides of the train and to escape from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people, objects, or facilities near the rail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eauty of the railing is also beautifu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combine the length of the rail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truts, and to be assembled to the strut, so that the handrail installation work is simple and quick, and the maintenance of the balustrade is easy. The effect is improved.

Description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Guard rail for railway}Guard rail for railway

본 고안은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갈도상궤도 내의 자갈이 열차 운행 중 양측 난간쪽으로 튀어 올라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동시에 난간의 미관도 수려해지도록 하고, 또한, 지주대의 간격에 맞게 횡대의 길이를 신축시켜 지주대에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난간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lroad gravel railings,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the gravel in the gravel trajectory from jumping to the railings on both sides during the train operation, and to be detached to the outside. It is related to railroad gravel rails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fastene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rails to be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struts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struts.

일반적으로 철도레일 구간에는 열차 운행시 레일이나 침목을 통해 전달되는 동적하중을 노반으로 산포시켜 진동을 최소화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레일 신축 발생시 이에 따라 침목이 이동되는 것을 도상 저항력으로 방지하며, 또한, 열차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빗물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갈도상궤도가 사용된다.In general, the railway rail section spreads the dynamic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rails or sleepers to the roadbed to minimize vibration, and prevents sleepers from mov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rails. Gravel tracks are used to absorb the vibrations of the train to improve ride comfort and to facilitate rainwater drainag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weeds from growing.

그리고, 이러한 자갈도상궤도의 양측에는 열차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동시에 철도가 레일을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레일 외부에서 차량이나 사람 또는 짐승 등이 레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이 설치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gravel trajectory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in proceeds, and prevent the railway from leaving the rails and escaping to the outside, and also prevent the vehicle, person, or beast from entering the rail from the outside of the rail. Railroad gravel railings are installed.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있는 지주대와, 이 지주대를 연결하는 장방형 막대 형상의 횡대가 상하로 한, 두개 정도만 설치되어 난간 사이에 뚫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갈도상궤도 상으로 고속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차륜에 자갈이 튕겨서 난간쪽으로 튀어 오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며, 이때, 난간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 또는 시설물 등이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However, such railroad gravel railings of the prior ar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re are only two pillar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two or more horizontal rod-shaped cross bars connecting the pillars are installed therebetween. Because of this, gravel is often bounced off the wheels of trains that run at high speeds on gravel tracks and bounces toward the railings.At this time, people, objects or facilities near the railings may be damaged. Had.

또한, 종래 기술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지주대와 횡대만으로 덩그러니 연결되어 있어 마치 뼈대가 앙상한 형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수려함이 없었다. In addition, the railroad gravel rail of the prior art is connected only by struts and crossbars, and as if the skeleton had a shape resembling, there was no beauty in appearance.

또한, 종래 기술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불규칙한 지주대들의 간격에 따라 횡대의 길이를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절단작업이 번거롭고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며, 또한, 용접작업으로 지주대와 횡대를 접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 역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허비되며, 특히, 철도교량용 난간의 경우에는 그 공간적 환경 등 전반적으로 작업여건이 더욱 안 좋기 때문에 난간 설치작업이 무척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ailroad gravel railing of the prior art has to cut the length of the rail according to the irregular interval of the struts, the cutting work is cumbersome and requires a lot of work, and also to join the strut and the crossbar by welding work. Therefore, this work is also cumbersome and wastes a lot of time, especially in the case of railroad bridge railings because the overall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spatial environment is wor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railings is very difficult.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갈도상궤도 내의 자갈이 열차 운행 중 양측 난간쪽으로 튀어 올라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 또는 시설물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난간의 미관도 수려해지도록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avel in the gravel trajectory from bouncing off both sides of the railings while leaving the train and to escape from the outside, thereby damaging people, objects or facilities near the railing. The aim is to provide rail rail gravel rails that can be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beautiful view of the railings.

그리고, 본 고안은 지주대의 간격에 맞게 횡대의 길이를 신축시켜 지주대에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난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ail gravel railing to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at the same time by allowing the rails to be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strut by stretching the length of the rail to fit the gap of the strut.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지면에 고정 직립되는 복수의 지주대; 상기 각 지주대 사이에 배치되어 이 지주대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횡대; 및 상기 각 지주대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상의 자갈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갈막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ail pebble ra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struts that are arranged in a fixed interval spaced apart standing upright; A transverse rod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struts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truts; And a gravel plate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pillars to block the gravel on the rail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자갈막이판은 메쉬망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il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el plate is preferably a mesh network structu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자갈막이판은 그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지주대 높이의 1/3 ~ 1/2 범위내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railroad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el plate is preferably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is extended to a height in the range of 1/3 to 1/2 of the height of the strut.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지주대를 향해 돌출되고 자갈막이판의 양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 자갈막이판의 체결공과 일치되어 별도의 체결구로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갖는 결합편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railroad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stand protrudes toward the neighboring pilla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gravel plate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gravel plate as a separate fastener It is preferable that a joining piece having a through hole to be joined is form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에는 횡대를 지지하기 위한 횡대홀더가 마련되며, 이 횡대홀더는 이웃하는 지주대를 향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 관체 형상으로 그 외주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횡대홀더로 삽입되는 횡대의 양단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어 별도의 체결구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railroad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tand is provided with a cross holder for supporting the cross, the cross holder is a tubular shape having an opening opening toward the neighboring support stand.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rrespondingly,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transverse insert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so that separate fasteners are fasten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횡대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railroad gravel film ra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both ends of the transverse side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portion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소직경부로 된 횡대의 외주면을 덮어씌워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신축되는 대직경관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ail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has a large diameter tube structure that stretche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made of a small diameter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주대(10)와, 각 지주대(10)를 연결하는 횡대(20) 및 상기 지주대(10) 사이에 레일상의 자갈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갈막이판(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railing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truts 10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 crossbar 20 for connecting each strut 10 and the The pedestal plate 30 is configured to block the pebbles on the rail from splashing to the outside between the props 10.

상기 지주대(10)는 해당 지면에 대해 직립 고정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그 하측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결합편(12)이 마련되고 이 한 쌍의 결합편(12)의 일정간격 이격된 상방에 동일 형상을 갖는 또 다른 한 쌍의 결합편(12)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난간(10)의 하단부에는 지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16)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4)의 마련되어 있다. The holding table 10 is a cylindrical shape that is installed upright fixed to the ground,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upling pieces 12 fac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 constant of the pair of coupling pieces 12 Another pair of coupling pieces 12 having the same sha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base plate 14 fixed to the anchor bolt 16 protruding from the grou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rail 10. It is prepared.

여기서, 상기 결합편(12)은 이웃하는 지주대(10)를 향해 돌출된 사각판재 형상으로, 그 표면에는 자갈막이판(30)의 체결공(30a)과 일치시켜 체결구(40)로 체결시키기 위한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coupling piece 12 is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protruding toward the adjacent strut 10, the surface is fastened to the fastener 40 in accordance with the fastening hole (30a) of the gravel plate 30 The through hole 30a for making it is formed.

여기서, 상기 관통공(30a)은 자갈막이판(30)의 체결공(30a)과 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공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hrough hole (30a)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 hole to be able to easily match the fastening hole (30a) of the gravel plate (30).

그리고, 상기 지주대(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횡대홀더(18)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횡대홀더(18)의 일정간격 이격된 하방에 동일 형상을 갖는 또 다른 한 쌍의 횡대홀더(18)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cross holders 18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tand 10 and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another pair having the same shape is spaced below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pair of cross holders 18. A pair of cross holders 18 are provided,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횡대홀더(18)는 이웃하는 지주대(10)를 향해 개방된 개방구(18a)를 갖는 관체 형상으로, 그 외주면에는 관통공(18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횡대홀더(18)로 삽입되는 횡대(20)의 양단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공(18b)과 일치되어 별도의 체결구(볼트/너트 세트)(25)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2a)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cross holder 18 is a tubular shape having an opening (18a) opened toward the neighboring strut 10, a through hole (18b)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ross holder 18 Fastening holes 22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trip 20 inserted into the same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s 18b so that a separate fastener (bolt / nut set) 25 is fastened.

상기 횡대(20)는 그 양단부가 지주대(10)에 각각 연결되는 장방형 원관 형상으로, 이 횡대(2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부(22)가 구비되어 있다. The crossbar 20 ha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osts 10, and either end of the crossbar 20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part 22 tha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신축부(22)는 소직경부(21)로 된 횡대(20)의 일단부 외주면을 덮어씌워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횡대홀더(18)의 개방구(18a)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신축되는 대직경관 구조로 되어 있다. Here, the stretchable portion 22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portion of the crosspiece 20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8a of the cross holder 18. It has a large diameter tube structure that stretches in length.

이러한 상기 소직경부(21)는 횡대(20) 내로 그 일단부가 일정길이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등으로 접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small diameter portion 21 is preferably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in the state in which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crosspiece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자갈막이판(30)은 지주대(1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양단부가 지주대(10)에 각각 고정되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그 양단부 상, 하단에는 지주대(10)의 결합편(12)에 형성된 관통공(12a)과 일치시켜 체결구(볼트/너트 세트)(40)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3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e pebble plate 30 is disposed between the struts (10) is a square plate shape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struts (10), respectively, on both ends,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iece (12) of the struts (10) The fastening hole 30a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er (bolt / nut set) 40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hrough-hole 12a formed in ().

그리고, 상기 자갈막이판(30)의 중앙부는 열차의 차륜에 튕겨나는 자갈 등이 부딪혔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메쉬망(32)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ravel plate 30 is formed of a mesh network 32 structure that can absorb shocks when bumps, etc., which bounce off the wheels of a train hit.

그리고, 상기 자갈막이판(30)은 그 하단부가 지면과 거의 밀착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지주대(10) 높이의 1/3 ~ 1/2 범위내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avel plate 30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f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extends to a height within a range of 1/3 to 1/2 of the height of the support base (10).

또한, 상기 자갈막이판(30)은 지주대(10)와 횡대(20)로 이루어진 뼈대 구조에 장식적인 조형물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미관상으로도 수렴함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gravel plate 30 is able to act as a decorative sculpture in the skeleton structure consisting of the holding pole 10 and the crosspiece 20 is to be able to give a convergence in aesthetic appearanc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지주대(10)의 각 결합편(12)에 형성된 관통공(12a)으로 자갈막이판(30)의 체결공(30a)들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체결구(40)를 이용하여 자갈막이판(30)을 지주대(10) 상에 고정 결합시켜 자갈막이판(30)의 설치를 완성시킨다. The railroad gravel ra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s matched with the fastening holes 30a of the gravel plate 30 by the through holes 12a formed in each coupling piece 12 of the strut 10, and then separately. By using the fastener 40 of the gravel plate 30 is fixedly coupled to the holding table 1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gravel plate (30).

이렇게 지주대(10) 사이의 하단부에 설치된 자갈막이판(30)에 의해 자갈도상궤도 상의 자갈이 고속 운행되는 열차의 차륜에 의해 난간쪽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동시에 자갈막이판(30)의 메쉬망(32) 구조에 의해 자갈이 자갈막이판(30)으로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us, the gravel on the gravel on the orbit by the gravel plate 30 installed in the lower end between the holding block 10 is completely blocked from jumping to the railing by the wheel of the train running at high speed of the gravel plate 30 Due to the mesh network 32 structure, the impact amount generated when the gravel collides with the gravel plate 30 can be absorbed.

한편, 상기 자갈막이판(30)의 상방인 지주대(10)들의 사이에 각각의 횡대(20)를 배치시킨 후 이 지주대(10)의 간격에 맞게 횡대(20)의 신축부(22)를 신축시켜 횡대홀더(18)의 개방구(18a)를 통해 횡대홀더(18) 내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이 횡대홀더(18)의 관통공(18b)과 횡대(20) 신축부(22)의 체결공(22a)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체결구(볼트/너트 세트)(25)를 이용하여 횡대(20)의 설치를 완성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placing each of the rungs 20 between the struts 10 that are above the gravel plate 30, the stretchable portion 22 of the crossbars 20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f the struts 10 Is inserted into the cross holder 18 through the opening 18a of the cross holder 18, and at the same time, the fastening hole of the through hole 18b and the cross section 20 of the cross holder 20 extends. After matching 22a,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piece 20 is completed using the separate fastener (bolt / nut set) 25. FIG.

따라서, 불규칙한 간격을 갖는 지주대(10)들에 대응하여 횡대(20)의 신축부(22)를 신축시켜 가면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난간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ailings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tretchable and contracted portions 22 of the crosspiece 20 in response to the struts 10 having irregular interval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은 자갈도상궤도 내의 자갈이 열차 운행 중 양측 난간쪽으로 튀어 올라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 또는 시설물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난간의 미관도 수려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railway gravel ra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gravel in the gravel trajectory to jump to the railings on both sid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outside to damage people, objects or facilities near the railing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nd to enhance the beauty of the balustrade.

또한, 난간은 지면에 지주대를 먼저 설치하고, 이 지주대의 간격에 맞게 횡대의 길이를 신축시켜 가면서 지주대에 조립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난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In addition, the railings are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rails can be assembled and assembled to the strut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ails, so that the railings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railings. In general,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ing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ailing gravel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지주대 12 : 결합편10: shore stand 12: coupling piece

12a : 관통공 14 : 베이스판12a: through hole 14: base plate

16 : 앵커볼트 18 : 횡대홀더16: anchor bolt 18: cross holder

18a : 개방구 18b : 관통공18a: opening 18b: through hole

20 : 횡대 21 : 소직경부20: side 21: small diameter portion

22 : 신축부 22a : 체결공22: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22a: fastening hole

25 : 체결구 30 : 자갈막이판25 fastener 30 gravel plate

30a : 체결공 32 : 메쉬망30a: fastener 32: mesh network

40 : 체결구40: fastener

Claims (7)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지면에 고정 직립되는 복수의 지주대(10); A plurality of struts 10 which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xed upright on the ground; 상기 각 지주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 지주대(1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횡대(20); 및 A crossbar 20 disposed between the struts 10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struts 10; And 상기 각 지주대(10) 사이에 배치되어 레일상의 자갈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자갈막이판(30);A gravel plate 30 disposed between the holding posts 10 to prevent the gravel on the rail from splashing outside;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 Railroad gravel rail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막이판(30)은 메쉬망(32)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 The gravel rail for railro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vel board (30) has a mesh network (32)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막이판(30)은 그 하단부가 지면과 밀착 배치되고 그 상단부가 지주대(10) 높이의 1/3 ~ 1/2 범위내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ravel plate 30 is that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ts upper end extends to a height within the range of 1/3 to 1/2 of the height of the holding table (10) A railroad gravel rai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의 외주면에는 이웃하는 지주대(10)를 향해 돌출되고 자갈막이판(30)의 양단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 자갈막이판(30)의 체결공(30a)과 일치되어 별도의 체결구(40)로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12a)을 갖는 결합편(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 The fastening hole of the gravel plate 30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10 protrudes toward the neighboring support column 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gravel plate 30. Railroad gravel 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iece 12 having a through hole (12a)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30a to be coupled to a separate fastener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10)의 외주면에는 횡대(20)를 지지하기 위한 횡대홀더(18)가 마련되며, 이 횡대홀더(18)는 이웃하는 지주대(10)를 향해 개방된 개방구(18a)를 갖는 관체 형상으로 그 외주면에 관통공(18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횡대홀더(18)로 삽입되는 횡대(20)의 양단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8b)과 일치되어 별도의 체결구(25)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cross holder 18 for supporting the cross 20, the cross holder 18 is opened toward the adjacent support (10). Through-holes 18b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 tubular shape having an opening 18a, and correspond to the through-holes 18b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cross rods 20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cross-holders 18. Railroad gravel ra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22a) is formed so that the separate fastener 25 is fasten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횡대(2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부(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The railway gravel railing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a stretchable part (22) which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crosspiece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22)는 소직경부(21)로 된 횡대(20)의 외주면을 덮어씌워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신축되는 대직경관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자갈막이 난간.7. The railway gravel railing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ortion 22 has a large diameter tube structure that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sspiece 20 mad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1 and stretche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KR20-2005-0026302U 2005-09-13 2005-09-13 Guard rail for railway KR2004027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02U KR200402727Y1 (en) 2005-09-13 2005-09-13 Guard rail for rail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302U KR200402727Y1 (en) 2005-09-13 2005-09-13 Guard rail for rail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27Y1 true KR200402727Y1 (en) 2005-12-06

Family

ID=4370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302U KR200402727Y1 (en) 2005-09-13 2005-09-13 Guard rail for rail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2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93B1 (en) Potable worktable enbling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and width
KR101399186B1 (en) Sectional railing device and mathode
KR101176188B1 (en) Deck road structures
KR101349948B1 (en) A footbridge construction
KR101876827B1 (en) A buffer walking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1787663B1 (en) Handrail for deck rod
KR200402727Y1 (en) Guard rail for railway
KR200361531Y1 (en) A checking stand for bridge maintenance care with three steps separation type
KR101232865B1 (en) Supporter for sporting goods
KR101946494B1 (en) Handrail for deck rod
KR101520638B1 (en) Handrail post connecting apparatus for deck rod
JP2015071856A (en) Prevention fence
KR101426640B1 (en) Eco-friendly decoration and assembly coherence advanced guard rail
KR101631566B1 (en) Crossbar coupling device of handrail and the installation method
KR101339642B1 (en) The establishment method of a trampolin
KR102151075B1 (en) Rocking bridge having module type rail and footplate
KR200405687Y1 (en) Structure of Movable Inspection Plate for Maintaining Expansion Device for Bridge
KR101782970B1 (en) Handrail for deck rod
CN216740982U (en) Guardrail for building
KR20140013197A (en)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of railroad bridge track,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installing method of safety device
KR101690504B1 (en) Support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Handrail and Post of Fence Panel
CN218715721U (en) Town road afforestation rail
KR20160046629A (en) Structure of footbridge and steel structure for constructing footbridge
KR200371027Y1 (en) Playing instrument
CN110528846B (en) Scaffold for railway tunnel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