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07Y1 -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 Google Patents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07Y1
KR200402707Y1 KR20-2005-0025215U KR20050025215U KR200402707Y1 KR 200402707 Y1 KR200402707 Y1 KR 200402707Y1 KR 20050025215 U KR20050025215 U KR 20050025215U KR 200402707 Y1 KR200402707 Y1 KR 200402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around
ear
face
w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형
Original Assignee
김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형 filed Critical 김소형
Priority to KR20-2005-002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절기의 추운 날씨에 입 주위와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함께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방한용 마스크와 방한용 귀마개를 사용하여 입 주위와 귀 주위를 보온하였던 종래에는 방한용구의 구입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방한용 마스크를 착용한 후 다시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하는 과정이나 벗는 과정이 힘들게 되고, 입 주위와 귀 주위 사이에 위치하는 뺨 부위가 그대로 대기중에 노출되어 얼굴 하부의 전체적인 보온력이 떨어지게 되며, 입김이나 콧김에 의해 입보온부의 내면이 축축해지게 되어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착용감이 나빠지게 될 뿐 아니라 착용자가 내뱉는 소리가 입보온부에 막히게 되어 주변 사람과 대화하기도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입보온부(11)의 양측에 뺨보온부(12)와 귀보온부(13), 그리고 연결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입보온부(11)의 중앙에 통기구멍(11a)을 형성하여 입 주위 및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한꺼번에 보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입 주위와 귀 주위를 보온하기 위해 다수개의 방한용구를 착용하였던 종래에 비해 착용과 분리가 간편하게 되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더욱 뛰어난 보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입김이나 콧김이 통기구멍(11a)으로 배출되어 입보온부(11)의 내면이 항상 뽀송뽀송하게 유지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이 나빠지지 않게 됨은 물론 주변 사람과 원활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 an ear and mouth protection head band }
본 고안은 동절기의 추운 날씨에 입 주위와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함께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입보온부의 양측에 뺨보온부와 귀보온부, 그리고 연결부를 일체로 마련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현저하게 낮고 찬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철에 실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계근무를 수행하는 군인이라든지 실외근무 경비원, 실외근무 경찰 등과 같이 실외에서 주로 활동하는 사람의 경우 신체의 외부노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의복 및 모자, 그 밖의 방한용구를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입 주위를 보온하기 위해서 입보온부 양측에 걸이끈이 마련된 방한용 마스크를 착용하였고, 귀 주위를 보온하기 위해서 한 쌍의 귀보온부재의 전방과 후방을 탄성끈으로 연결하거나 한 쌍의 귀보온부재를 탄성연결부재로 연결한 방한용 귀마개를 방한용 마스크와 별도로 착용하였던 바, 이렇듯 별도의 방한용 마스크와 방한용 귀마개를 사용하여 입 주위와 귀 주위를 보온하는 경우 구입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방한용 마스크를 착용한 후 다시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하는 과정이나 벗는 과정이 힘들게 되고, 사용한 다음에 두 개의 방한용구를 보관하기도 매우 번거롭게 되며, 입 주위와 귀 주위 사이에 위치하는 뺨 부위가 그대로 대기중에 노출되어 얼굴 하부의 전체적인 보온력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한용 마스크는 입보온부를 통해 입과 코를 완전히 밀폐하기 때문에 입김이나 콧김에 의해 입보온부의 내면이 축축해지게 되어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착용감이 나빠지게 될 뿐 아니라 착용자가 내뱉는 소리가 입보온부에 막히게 되어 주변 사람과 대화하기도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입 주위 및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동시에 보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입보온부의 내면에 입김이나 콧김이 서리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착용감을 좋게 하고 주변 사람과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보온부의 양측에 뺨보온부와 귀보온부 그리고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입보온부의 중앙에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착용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입 주위와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와 귀 주위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입보온부(11)의 양측에 뺨보온부(12)와 귀보온부(13), 그리고 연결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입보온부(11)의 중앙에 통기구멍(11a)을 형성하며, 일 연결부(14)의 전면 외측 및 타 연결부(14)의 전면 외측에 서로 접합/분리되는 벨크로테이프(15)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15)를 통해 양 연결부(14)를 접합/분리할 수 있도록 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양 연결부(14)의 접합/분리는 합단추, 연결끈 등을 비롯한 그 밖의 예측 가능한 다른 부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10)는 통기구멍(11a)이 형성된 입보온부(11)를 입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 연결부(14)를 얼굴 뒤쪽으로 하여 접합시키게 되면 입보온부(11) 및 한 쌍의 뺨보온부(12), 그리고 한 쌍의 귀보온부(13)를 통해 입 주위와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동시에 간편하게 보온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입김이나 콧김이 통기구멍(1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입보온부(11)의 내면이 축축하게 젖게 되는 일이 없게 되어 장시간 착용하게 되더라도 착용감이 나빠지지 않게 되고, 통기구멍(11a)을 통해 주변 사람에게 음성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되므로 착용한 상태에서도 주변 사람과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10)는 입보온부(11)의 양측에 뺨보온부(12)와 귀보온부(13), 그리고 연결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입보온부(11)의 중앙에 통기구멍(11a)을 형성하여 입 주위 및 뺨 주위를 포함한 얼굴 하부 전체와 귀 주위를 한꺼번에 보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입 주위와 귀 주위를 보온하기 위해 다수개의 방한용구를 착용하였던 종래에 비해 착용과 분리가 간편하게 되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더욱 뛰어난 보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입김이나 콧김이 통기구멍(11a)으로 배출되어 입보온부(11)의내면이 항상 뽀송뽀송하게 유지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이 나빠지지 않게 됨은 물론 주변 사람과 원활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착용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11 : 입보온부 12 : 뺨보온부
13 : 귀보온부 14 : 연결부
15 : 벨크로테이프

Claims (1)

  1.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입보온부(11)의 양측에 뺨보온부(12)와 귀보온부(13), 그리고 연결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입보온부(11)의 중앙에 통기구멍(11a)을 형성하며, 일 연결부(14)의 전면 외측 및 타 연결부(14)의 전면 외측에 서로 접합/분리되는 벨크로테이프(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KR20-2005-0025215U 2005-09-01 2005-09-01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KR200402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15U KR200402707Y1 (ko) 2005-09-01 2005-09-01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15U KR200402707Y1 (ko) 2005-09-01 2005-09-01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07Y1 true KR200402707Y1 (ko) 2005-12-06

Family

ID=4370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15U KR200402707Y1 (ko) 2005-09-01 2005-09-01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163B2 (en) Flexible face mask apparatus
CN205912932U (zh) 紧贴调节式多功能头饰
US5107543A (en) Goggle engaging face mask device and method
JPH01204681A (ja) 顔面マスク
WO1993014655A1 (en) Protective mask with scarf
US20140196200A1 (en) Flexible full coverage face mask
US20070266483A1 (en) Rigid Mask for Skiing and Snowboarding
JP3091385U (ja) 防寒用マスク
KR200402707Y1 (ko) 헤드 밴드형 마스크 겸용 귀마개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KR200314976Y1 (ko) 귀마개
KR20100010453U (ko) 방한용 귀마개
JP3227775U (ja) 立体型マスク
KR200436028Y1 (ko) 마스크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20100008077U (ko) 개폐 가능한 필터 구조체를 가진 방한용 마스크
KR101078594B1 (ko) 통기구가 형성된 마스크 및 머플러
KR102620164B1 (ko) 기능성 스포츠 마스크
KR200316293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180054016A (ko) 얼굴 가리개
KR102633121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0308861Y1 (ko) 마스크를 갖는 안전모용 방한막이 건
JP2013100624A (ja) 防寒具
KR200460177Y1 (ko) 방한 마스크
KR100886510B1 (ko) 방한용 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