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389Y1 -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 Google Patents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389Y1
KR200402389Y1 KR20-2005-0024799U KR20050024799U KR200402389Y1 KR 200402389 Y1 KR200402389 Y1 KR 200402389Y1 KR 20050024799 U KR20050024799 U KR 20050024799U KR 200402389 Y1 KR200402389 Y1 KR 200402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door
opening
upper sid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20-2005-002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문 시공시 시공공차가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문을 열거나 닫은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는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중앙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중앙하부의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양측에서 전방으로 톨출 형성되어 돌출단을 가지고있는 베이스부; 상기 개구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착,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1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과 결합되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하부에 유리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제1커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유리문의 시공시 시공 공차가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방법으로 유리문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바닥 콘크리트 속에 힌지를 매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편리하며, 아울러 시공상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upper side fixed hinge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문 시공시 시공공차가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으며, 문을 열거나 닫은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는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문 상부경첩은 유리문의 상단부 문틀에고정 설치되며 또한 유리문의 고정설치된 힌지공에 스핀들을 삽입시켜 회동되게 한다.
이러한 힌지는 문을 열거나 닫은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하부 바닥에 유압힌지를 매립해야 하거나 유리문 상부에 뎀퍼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리문 상부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을때 복귀 시키기 위해서는 바닥에 콘크리트 속에 유압힌지를 매립해야 하는 시공상의 어려움과 뎀퍼를 설치하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리문 상부경첩은 문틀에 고정착설되는 고정브라켓트와 문짝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트와 회동브라켓트는 스핀들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스핀들은 고정브라켓트나 회동브라켓트 중 일측 브라켓트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스핀들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이 홀에 스핀들이 섭동되므로 회동브라켓트와 이 회동브라켓트에 고정되는 문짝이 용이하게 회동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리문 상부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수 없어 사용후 일일이 수동으로 문을 복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유리문 상부경첩은 문을 기구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부에 댐퍼를 설치하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의 상부를 개공할 필요 없이 스핀들을 삽입하여 문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압 힌지를 매립 하거나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상의 편리함과 미관이 수려한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 있어서 상단부 중앙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중앙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양측에서 전방으로 톨출 형성되어 돌출단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부; 개구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부; 베이스부의 후방에 부착,설치되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1커버부; 제1커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1커버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제공한다.
여기서, 이동부는 내측벽에 나사가 승하강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T형태의 장공이 형성되고 외측벽에 나사의 헤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함체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1돌출편과, 제1돌출편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수직으로 나사홀이 형성된 구조체와, 함체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2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의 양측벽에는 이동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의 측면에 베이스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부재와, 평판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부의 측면과 결합되는 앵글과, 평판부재의 상부에 유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 있어서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와, 수직트렌치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와, 수평트렌치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되는 복수개의 바디부; 수직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안착홈이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과, 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리문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스핀들; 수평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볼의 후단에 볼을 보유하도록 설치된 케이지와, 케이지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후단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강압조절을 할 수 있는 스톱바로 이루어지는 일시고정부; 바디부가 삽입되는 안착요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부착설치되는 복수개의 커버를 포함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나타내는 시공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상단경첩(A)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하단경첩(B)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하단경첩(B)의 스핀들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1의 상부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단경첩(A)과 하단경첩(B)을 나타내고, 하부는 하부경첩(C)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상부의 상단경첩(A)과 하단경첩(B)은 하나의 셋트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상단경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설치되는 이동부(20)와, 베이스부(10)가 밀착되는 커버부(30)(40)와, 커버부(30)(40)에 부착 설치되는 탄성부재(50)와 베이스부의 측면에 결합설치되는 프레임부(5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는 중앙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2)와, 개구(12)의 상부에 전방으로 형성된 걸림단(14)과, 개구(12)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6)이 형성된 돌출단(700)으로 이루어진다.
개구(12)는 중앙의 하부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이동부(20)의 함체(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개구(12)의 벽에는 가이드(19)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함체(22)가 개구(12)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돌출단(700)은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6)이 형성되며, 이 장공(16)을 통하여 나사(25)가 이동부(20)를 상,하 이동시키며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나사(25)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개구부(18)가 형성된 돌출단(700)으로 이루어진다.
개구(12)의 타측 및 일측에 각각 나사(s)가 치합될 수 있는 나사홀(h)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12)의 타측 및 일측 또는 상부에 각각 나사(27)(29)(31)가 치합될 수 있는 나사홀(N)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20)는 내측벽에 나사(27)가 승하강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T형태의 장공(22a)이 형성되고 외측벽에 나사(27)의 헤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22)와, 함체(22)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4a)이 형성된 제1돌출편(24)과, 제1돌출편(24)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수직으로 나사홀(26a)이 형성된 구조체(26)와, 함체(22)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8a)이 형성된 제2돌출편(28)으로 이루어진다.
함체(22)는 상부 및 하부의 이단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의 내측벽에는 나사(27)가 승하강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T형태의 장공(22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벽에는 나사(27)의 헤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편(24)은 함체(2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4a)에는 나사(29)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함체(22)는 내주면(800)이 사각형을 이루지만 스핀들(200)의 형성된 끼움부(280)의 모양에 따라 내주면(800)이 다양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조체(26)는 제1돌출편(24)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에 수직으로 나사홀(26a)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돌출편(28)은 함체(22)의 우측에 설치되고 제1돌출편(24)은 함체(22)의 좌측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28a)과 장공(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28a)과 장공(24a)에는 나사(31)(29)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커버부(30)는 베이스부(10)의 후방에 부착,설치되며 이동부(20)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50)가 부착되고, 제2커버부(40)는 상기 제1커버부(30)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커버부(3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이동부(20)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50)가 부착된다.
프레임부(70)는 베이스부(10)의 측면에 베이스부(10)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부재(52)의 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부(10)의 측면과 결합되는 앵글(54)과, 평판부재(52)의 상부에 유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부(56)로 이루어진다.
평판부재(52)는 베이스부(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앵글(54)은 평판부재(52)의 측면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부재(52)와 나사결합된다.
탄성부재(50)는 커버부(30)(40)에 부착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상단경첩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디부(10)와 프레임부(70)를 앵글(54)을 이용해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한다. 다음으로 프레임부(70)를 벽체에 고정 설치한후, 베이스부(10)와 이동부(2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베이스부(10)의 개구(12)에 이동부(20)의 함체(22)를 삽입하여 나사(27)(29)(31)를 다수개의 나사홀(N)에 파지한체로 조립한다. 다음으로 경첩 하단부(B)의 스핀들(200)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부(280)와 이동부(20)의 내주면(800)과 결합시키기 위해서 볼트(25)와 수직나사홀(26a)을 이용해 조립한다 다음으로, 돌출단(700)에 형성된 장공(16)과 제1돌출편(24)에 형성된 장공(24a) 및 제2돌출편(28)에 형성된 장공(28a)을 따라 나사(25)(29)(31)를 좌 우 이동 시키면서 정확하게 위치를 잡은후에 나사(27)(29)(31)를 강압하여 고정시킨후 탄성부재(50)가 부착된 제2커버부(40)를 다수개의 나사(S)를 이용해 다수개의 나사홀(N)에 강압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성된다.
따라서, 유리문(W)의 시공시에 공차가 있더라도 나사(25)(29)(31)를 이동시키면서 유리문(W)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 설치 시킬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하단경첩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디부(100)와, 바디부(100) 사이에 삽입되는 스핀들(200)과, 스핀들(200)본체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600)과, 스핀들(200)을 일시고정되는 일시고정부(300)와, 일시고정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스톱파부(380)와, 바디부(100)가 삽입되는 커버(400)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00)는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120)와, 수직트렌치(120)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140)와, 수직트렌치(12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홈(160)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트렌치(12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핀들(200)이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을 갖는다.
수평트렌치(140)는 수직트렌치(120)의 양측에 수평트렌치(120)와 연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후술하는 일시고정부(30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트렌치(140)가 수직트렌치(120)를 중심으로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트렌치(140)가 1단이나 3단 이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한편, 복수개의 바디부(100)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홀(18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홈(160)은 수직트렌치(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관통홈(160)에 스러스트베어링(600)이 안착되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스핀들(200)은 수직트렌치(120)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안착홈(220a)(220b)과 가이드홈(220c)이 형성된 스핀들(200)와 스핀들(200)의 상단에 스핀들(200)와 일체로 형성된 유리문 상부경첩 상단부(A)와 끼워지는 끼움부(280)를 갖는다.
스핀들(200)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볼(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반구형의 안착홈(220a)(220b)(220c)이 일정한 높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스러스트베어링(600)은 스핀들(200)의 하단에서 스핀들(200)을 받쳐주며 관통홈(160) 사이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끼움부(280)는 스핀들(200)의 상단에 스핀들(2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면체 형상으로 유리문상부경첩 상단부(A)와 조립 설치된다,
일시고정부(300)는 수평트렌치(140) 사이에 삽입되는 볼(320)과, 볼(320)의 후단에 볼(320)을 보유하도록 설치된 케이지(340)와, 케이지(340)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360)으로 이루어진다.
볼(320)은 수평트렌치(140) 사이에 삽입되고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핀들(200)의 안착홈(220b)에 일시적으로 삽입 고정된다.
케이지(340)는 수평트렌치(140) 사이에 볼(320)을 수용하도록 삽입되며 볼(320)을 보유한다.
스프링(360)은 수평트렌치(140) 사이의 볼(320) 후단에 삽입되며 볼(320)이 스핀들(200) 안착홈(220b)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스핀들(200)에는 유리문(W)을 열었을때 90°정지되게 하는 안착홈(220a)과, 볼(320)과 동일한 크기의 안착홈(220b)이 형성 되어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20b)이 2단으로 형성 되어있어서 유리문(W)이 복귀될때 가이드홈(220c)을 따라 이동후 안착홈(220b)에 안착되며, 스핀들(20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안착홈(220a)(220b)과 가이드홈(220c)이 형성되어 있다.
스톱파부(380)는 수평트렌치(140)의 이중홈(250)에 삽입되고 스프링(360)의 후단에 설치되어 스프링(36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디부(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수평트렌치(140)의 이중홈(250)에 삽입된 스톱바(380)는 강압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셋트스크류(260)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400)는 복수개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되며, 바디부(100)가 삽입되는 안착요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L'자 형상의 탄성부재(440)가 부착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부재(44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경첩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문(W)을 회전시키면 유리문(W)을 잡고 있는 바디부(100)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360)에 의해 가압되어 스핀들(200)의 안착홈(220b)에 삽입되어 있던 볼(320)이 스핀들(200)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360)의 탄성력을 이기고 수평트렌치(140)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스핀들(200)의 외주면에서 공전(idling)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리문(W)이 더 회전하게 되면 스핀들(200)의 외주면에서 공전하고 있던 볼(320)은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다른 안착홈(220a)으로 삽입되어 안착홈(220a)에 밀착된다.
따라서, 볼(320)이 안착홈(220a) 또는 안착홈(220b)으로부터 이탈되고 삽입되므로 유리문(W)이 회동과 고정을 반복하게 되고, 유리문(W)을 열거나 닫은 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된 위치에서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부연하여 좀더 설명하면, 끼움부(280)는 스핀들(200)을 고정할 수 있는 사면체로서 상부경첩의 이동부(20)의 함체(22)의 내주면(800)과 결합 설치되고, 안착홈(220a)은 유리문(w)이 열리면서 90° 정지할 수 있으며, 안착홈(220c)은 유리문(w)을 복귀시킬때 안착홈(220b)으로 안착될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홈이다. 또한, 와셔(900)는 나사(25)가 흘러내리지 않게 받혀주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유리문의 시공시 시공 공차가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를 잡을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방법으로 유리문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문을 열거나 닫은 후 기구적으로 문이 복귀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은 바닥 콘크리트 속에 힌지를 매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편리하며, 아울러 시공상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을 나타내는 시공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상단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하단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에서의 하단경첩의 스핀들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부 20 : 이동부
30 : 제 1 커버부 40 : 제 2 커버부
50 : 탄성부재 70 : 프레임부
100 : 바디부 200 :스핀들
300 : 일시고정부 380 : 스톱파부
400 : 커버

Claims (4)

  1. 중앙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중앙하부의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형성되고 중앙에서 양측에서 전방으로 톨출 형성되어 돌출단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부;
    상기 개구를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부착,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1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과 결합되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하부에 유리문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요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상기 제1커버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커버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삽입시 인접하는 에지부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내측벽에 나사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외측벽에 상기 나사의 헤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1돌출편과, 제1돌출편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에 수직으로 나사홀이 형성된 구조체와, 상기 함체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제2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내측벽 일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가 상기 개구의 일측벽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4.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트렌치와, 상기 수직트렌치와 연통되도록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트렌치와, 상기 수평트렌치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홈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되는 복수개의 바디부;
    상기 수직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며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요부가 형성된 원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과, 상기 본체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리문 상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스핀들;
    상기 수평트렌치 사이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의 후단에 볼을 보유하도록 설치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후단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후단에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고 강압조절을 할 수 있는 스톱바로 이루어지는 일시고정부;
    상기 일시고정부의 스프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설치된 스톱파부;
    상기 바디부가 삽입되는 안착요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탄성부재가 부착,설치되는 복수개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20-2005-0024799U 2005-08-29 2005-08-29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200402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99U KR200402389Y1 (ko) 2005-08-29 2005-08-29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99U KR200402389Y1 (ko) 2005-08-29 2005-08-29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335A Division KR100723918B1 (ko) 2005-08-29 2005-08-29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389Y1 true KR200402389Y1 (ko) 2005-12-02

Family

ID=4370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799U KR200402389Y1 (ko) 2005-08-29 2005-08-29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3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0538B (zh) 通用阻尼机构
EP3075940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1402822B1 (ko)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고,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도어시스템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JP5572613B2 (ja) 回動式扉非常解錠システム
KR950008160Y1 (ko) 접는 문 장치
JP2008528150A (ja) 2つの側壁とパネルとを有する引き出し
JP2018121915A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KR100723918B1 (ko)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100624169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200402389Y1 (ko) 유리문 상부 측면고정경첩
KR100723916B1 (ko) 유리문 상부경첩
KR200402388Y1 (ko) 유리문 상부경첩
US6079164A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panels together and for adjusting their spatial arrangement
KR20090023954A (ko) 도어용 경첩
KR20200097073A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JP2018123655A (ja) 丁番
KR200373361Y1 (ko) 천장 점검구의 개폐장치
KR100434953B1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JP2007321432A (ja) 引戸装置
KR101757594B1 (ko)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KR200402711Y1 (ko) 화장실 칸막이용 힌지장치
KR200396924Y1 (ko) 문짝용 경첩
JP5065848B2 (ja) 開戸構造
JP4219370B2 (ja) 扉の取付装置、並びに、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