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069Y1 - 트램프 오일 분리기 - Google Patents

트램프 오일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069Y1
KR200402069Y1 KR20-2005-0025163U KR20050025163U KR200402069Y1 KR 200402069 Y1 KR200402069 Y1 KR 200402069Y1 KR 20050025163 U KR20050025163 U KR 20050025163U KR 200402069 Y1 KR200402069 Y1 KR 200402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ramp
tramp oil
separation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호
Original Assignee
김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호 filed Critical 김두호
Priority to KR20-2005-0025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B01D25/305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3Filler pip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트램프 오일 분리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제탱크(T)에서 유제(W) 상부에 부유하여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수거하는 오일 스킴머(110)와, 상기 오일 스킴머(110)에 배관 연결되어 트램프 오일(O)과 유제(W)에 혼입된 칩(C)을 여과하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에 배관 연결되어 오일 스킴머(110)로부터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흡입하여 본체(150)의 내부로 송출하는 에어펌프(130)와, 상기 에어펌프(130)에 배관 연결되어 공급받은 트램프 오일(O)과 유제(W)를 분리하는 본체(150)와, 상기 에어펌프(1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에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에어펌프(130)에 배관연결되는 에어 레귤레이터(140)로 구성하여, 트램프 오일(O)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고, 작업자 없이도 자동적으로 늘 깨끗한 유제(W)를 장치나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램프 오일 분리기 {Tramp oil separator}
본 고안은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프 오일(tramp oil)과 유제의 비중 차이와 중력을 이용하여 유제로부터 트램프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국부 단면도로서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 등을 이용한 절삭 가공에 있어서는 툴과 피삭재의 소착 방지와 원활한 절삭이 가능하도록 절삭유를 툴과 피삭재의 접촉 부분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데, 이 때, 절삭유는 순환시켜 재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절삭유는 기름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데, 공작 기계를 구성하는 베이스 등의 접동부를 거치면서 윤활유, 방청유, 유압유 등 각종 기름에 오염된다.
일반 기계 부품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는, 부품이 절삭, 금형, 압연 등의 가공 공정으로 말미암아 윤활유, 방청유, 유압유 등 각종 기름에 오염됨으로써 조립 등에 많은 문제가 있어 반드시 세척 공정을 거친 후, 출하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세척수는 세제가 혼합된 것으로서 순환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상기 절삭유와 세척수(이하, 유제(W)로 칭한다)의 경우, 모두 윤활유, 방청유, 유압유 등의 혼합물에 오염된 채 순환되어 재사용하게 되는 데, 상기 혼합물을 트램프 오일(O)이라고 한다.
상기 트램프 오일(O)은 유제(W) 상부에 부유하게 되는 데,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며, 작업자의 피부에 접촉할 경우 피부병을 유발시키고, 부패로 인한 pH의 저하로 방청 성능이 떨어지며, 절삭 시 칩을 서로 결속하거나 칩의 침강성을 방해하여 가공물의 표면 조도 저하, 노즐의 막힘 등으로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트램프 오일(O)은 표면 흡착성이 커서 공작 기계의 구조물 슬라이드면, 스크류 등에 끈적한 잔유물로 부착하게 되어 공차를 유지하거나 기계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비열과 열전도성에 영향을 주고 냉각 효과가 떨어져 공구의 파손, 수명 등에 치명적인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제(W)를 트램프 오일(O) 때문에, 자주 교체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고, 폐수 및 폐유 등의 폐기물을 발생시켜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트램프 오일 분리기(10)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유제(W)로부터 트램프 오일(O)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트램프 오일(O)에 의한 폐해는 여전한 실정이다.
종래의 트램프 오일 분리기(10)를 살펴보면, 유제(W)가 저장된 유제 탱크(T) 상부에 저속 모터(13)가 위치하도록 프레임(11)이 유제 탱크(T)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 상부에는 저속 모터(13)가 장착되며, 상기 저속 모터(13)에는 풀리(15)가 고정되고, 상기 풀리(15)에는 트램프 오일(O)을 흡착하도록 밴드 형상의 흡유재(17)가 걸리어 흡유재(17)의 하단부가 유제(W) 속에 잠기게 된다.
상기 흡유재(17)의 일측에는 흡유재(17)에 흡착된 트램프 오일(O)을 분리하기 위해 판상의 스크래치(19, scratch)가 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래치(19)로부터 트램프 오일(O)을 공급받아 수거하는 오일 탱크(OT)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트램프 오일 분리기(10)는 유제 탱크(T)에 유제(W)가 공급되어 충전되면, 저속 모터(13)를 가동하여 흡유재(17)가 회전하면서 유제(W) 상부에 부유하는 트램프 오일(O)을 흡착하도록 한다. 흡착된 트램프 오일(O)은 흡유재(17)를 따라 이송하여 스크래치(19)에 의해 흡유재(17)로부터 분리되어 오일탱크(OT)로 수거된다. 이런 식으로 트램프 오일(O)을 유제(W)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유제(W)를 다시 순환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트램프 오일 분리기(10)의 경우, 흡유재(17)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트램프 오일(O)을 효과적으로 집중시켜 흡착할 수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막대로 유제(W)를 저어서 트램프 오일(O)을 흡유재(17) 쪽으로 보내 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흡유재(17)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래치(19)에 의해 트램프 오일(O)이 분리된다 하더라도 흡유재(17)에 이미 흡수된 유제(W)와 트램프 오일(O)에 의해 더 이상 흡착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매 번 새로운 흡유재(17)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작업자가 상주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설령, 여러 작업자로 말미암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하더라도, 트램프 오일(O)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함으로써 전술한 트램프 오일(O)의 폐해는 여전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일 스킴머에 의해 멀리 떨어져 있는 트램프 오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며, 상기 트램프 오일이 혼합된 유제를 필터에 의해 여과한 후, 본체 내부에서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트램프 오일을 1차로 분리하고, 다음 중력을 이용하여 하강하는 입자성 트램프 오일을 다수개의 메디아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효율적인 트램프 오일의 분리가 가능하여, 악취 발생의 원인이 제거되고, 작업자들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품 불량의 원인이 제거되고, 기계 및 공구의 수명이 길어지고, 유제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자원이 절약되고,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원천 봉쇄할 수 있으며, 상주하는 작업자 없이도 자동적으로 늘 깨끗한 유제를 장치나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례 및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에 있어서, 부유수단의 높이 조정에 의해 파이프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를 통해 트램프 오일과 유제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본체 하방에 칩이 적재되어 유제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은 유제(W)로부터 효율적으로 트램프 오일(O)을 분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유제(W)와 트램프 오일(O)이 저장되는 유제 탱크(T)에서 유제(W) 상부에 부유하여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수거하는 오일 스킴머(110, oil skimmer)가 구성되고, 상기 오일 스킴머(110)에 배관 연결되어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에 혼입된 칩(C)을 여과하는 필터(120)가 구성되며, 상기 필트(120)에 배관 연결되어 오일 스킴머(110)로부터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흡입하여 본체(150)의 내부로 송출하는 에어펌프(130)가 구성되며, 상기 에어펌프(130)에 배관 연결되어 공급받은 트램프 오일(O)과 유제(W)를 분리하는 본체(150)가 구성되고, 상기 에어펌프(130)를 구동시키고, 본체(150)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레귤에이터(140, air regulator)가 에어 컴프레서(미도시)에 연결되어 에어펌프(130)와 본체(150)에 배관 연결된다.
상기 오일 스킴머(110)는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흡입되는 통로인 파이프(111)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111)의 상부 측면 둘레에는 유제(W)를 와류시켜 멀리 떨어진 트램프 오일(O)도 수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날개(112)가 파이프(111)의 외면에 부착하되, 도6에서처럼 단면방향의 접선(L)을 기준으로 90도 보다 작은 각(a)으로 부착되는 데,각 날개(112)는 동일한 각(a)으로 일단이 파이프(111)의 동일한 둘레면에 부착되며, 파이프(111)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트램프 오일(O)과 유제(W)의 가이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111)의 하방에는 부유수단(116)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지바(113)가 파이프(111)와 직각으로 부착되며, 상기 지지바(113)의 종단에는 부유수단(116)이 삽입되는 관 형상의 지지관(114)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관(114)에는 부유수단(116)이 삽입되어 다수개의 너트(1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부유수단(116)은 상부에 부력을 받는 구 형상의 부레(117)가 형성되고, 상기 부레 (117) 하단에는 나선가공된 샤프트(118)가 부착됨으로써, 샤프트(118)에 상기 너트(115)를 체결한 후, 지지관(114)에 끼우고 나서, 또 다른 너트(115)를 상기 샤프트 (118) 하방에 체결하여 부유수단(116)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111)의 상단이 유제면(S)을 기준으로 높이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처럼 부유수단(116)을 하방으로 내려 고정하게 되면, 파이프(111)가 상부로 올라오게 되고, 부유수단(116)을 상방으로 올려 고정하게 되면, 파이프(111)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유제면(S) 상부에 떠 있는 트램프 오일(O)을 수거하기 위해 파이프(111)의 상단은 유제면(S)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유제(W)의 첨가물에 따라서 부유수단(116)에 작용하는 부력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유수단(116)의 높이 조정에 의해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 파이프(111) 상단은 유제면(S) 상부에 접할 정도로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와류현상(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물이 맴돌이치면서 하수구로 빠지는 현상)을 기대할 수 없어 멀리 떨어져 있는 트램프 오일(W)을 당겨올 수 없다. 그러나, 상기처럼 다수개의 날개(112)를 단면방향의 접선(L)을 기준으로 90도보다 작은 각(a)으로 파이프(111)의 상부 측면 둘레에 동일한 각(a)으로 고정하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면,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상기 날개(112)의 경사진 각(a)으로 가이드 되어 자연히 맴돌이치면서 유입되고, 따라서, 멀리 떨어져 있는 트램프 오일(O)도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파이프(111) 하단에 배관이 연결됨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50)는 트램프 오일(O)과 유제(W)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분리탱크(151)가 구성되는 데, 상기 분리탱크(151)는 다수 개의 레그(15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분리탱크(151)는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153)를 설치하고, 내부는 양분하여 분리하도록 분리판(154)을 장착하며, 상기 분리판(154)에 의해 분리탱크(151)의 내부는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분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 분리실(157)과 트램프 오일(O)이 제거된 유제(W)가 따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배출실(156)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실(157)과 배출실(156)은 서로 연통되도록 분리판(154)의 하단은 분리탱크(151)로부터 이격되어 이격공간(155)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실(157)은 다수개의 스크린(158)이 분리판(154)과 측벽(165)에 고정되어 상하로 구획되고, 상기 각 스크린(158) 위에 메디아(159, media)가 위치하도록 하는 데, 상기 메디아(159)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다공성 사출물로서 각종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당해 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리탱크(151)의 하방은 호퍼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단에 배출 밸브(162)를 장착하여 트램프 오일(O)과 유제(W) 속에 혼입되어 있는 칩(C)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출실(156)의 상부 측벽(165)에는 트램프 오일(O)과 칩(C)이 분리된 깨끗한 유제(W)가 다시 유제 탱크(T)로 공급되는 배출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탱크(151)의 분리실(157) 상부 측벽(165)에는 에어 펌프(130)로부터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공급되는 공급구(161)가 배출구(16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공급구(161)와 에어 펌프(130)는 배관으로 연통되며, 분리탱크(151)의 하방에는 메디아(159)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구(16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구(163)는 에어 레귤레이터(140)와 배관 연결된다.
상기 분리실(157)의 상부에는 부유하는 트램프 오일(O)을 배출하기 위한 엘보우 형상의 오일 웨어(164, oil weir)를 장착하는 데, 일측 홀(H)이 상부를 향하고, 상대측 홀(H')이 분리탱크(151)의 측벽(165)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데, 상부를 향하는 일측 홀(H)의 위치는 유제면(S')에 접하도록 장착하여 부유하는 트램프 오일(O)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구(161)와 배출구(160)는 동일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항상 유제면(S')은 오일 웨어(164)의 일측 홀(H)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일 스킴머(110)를 유제 탱크(T)에 충전된 유제면(S)에 세팅시킨다. 그리고 에어 레귤레이터(140)를 작동하여 에어 펌프(130)에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오일 스킴머(110)를 통해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흡입되어 필터(120)에 의해 칩(C)이 여과된 후, 분리탱크(151) 내부로 공급된다.
분리탱크(151) 내부의 분리실(157)에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채워지면 유제(W) 상부에 큰 덩어리의 트램프 오일(O)이 유제(W)와의 비중 차로 인해서 부상하게 되며, 이것은 오일 웨어(164)를 통해 외부의 오일 탱크(OT)로 배출된다.
상술한 것처럼 비중의 차이를 이용해서 큰 덩어리의 트램프 오일(O)을 분리하였다 해도 작은 입자성의 트램프 오일(W)은 중력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오일 웨어(164)로 분리하기 어렵다.
이러한 작은 입자성 트램프 오일(O)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다수 개의 메디아(159)에 흡착하게 되고, 상기 메디아(159)에 흡착되지 못한 보다 작은 입자성 트램프 오일(O)은 하강하면서 다른 메디아(159)에 의해 흡착되어 결국, 상기 다수 개의 메디아(159)를 거친 유제(W)는 트램프 오일(O)이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트램프 오일(O)이 분리된 유제(W)는 분리판(154)의 하단의 이격공간(155)을 통해 배출실(156)에 공급되어 배출구(160)로 배출되어 다시 유제 탱크(T)로 유입되어 재사용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해 여과 과정을 거쳤어도 여전히 트램프 오일(O)과 유제 (W) 속에는 칩(C)이 혼입되어 있으므로 도 8에서 처럼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칩(C)은 적재되어 분리판(154)의 하단 부분과 분리탱크(151)의 이격공간(155)을 폐색하여 배출실(156)로의 유제(W)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에는 상부의 커버(153)를 개방하고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면서, 하부의 배출 밸브(162)를 개방하게 되면, 칩(C)이 용이하게 호퍼 형상의 내벽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1주일에 한 번 정도 에어 레귤레이터(140)를 조정하여 에어 공급구(163)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공기 방울이 상향하면서 각 메디아(159)에 부착된 트램프 오일(O) 및 오물을 분리시켜 부상시키게 되고, 상기 부상된 트램프 오일(O)은 오일 웨어(1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유제(W)로부터 트램프 오일(O)을 분리하게 됨으로써, 깨끗한 유제(W)의 사용이 가능하여 트램프 오일(O)로 인한 각종 폐해를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오일 스킴머에 의해 멀리 떨어져 있는 트램프 오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며, 상기 트램프 오일이 혼합된 유제를 필터에 의해 여과한 후, 본체 내부에서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트램프 오일을 1차로 분리하고, 다음 중력을 이용하여 하강하는 입자성 트램프 오일을 다수개의 메디아를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효율적인 트램프 오일의 분리가 가능하여, 악취 발생의 원인이 제거되고, 작업자들의 피부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품 불량의 원인이 제거되고, 기계 및 공구의 수명이 길어지고, 유제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자원이 절약되고,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원천 봉쇄할 수 있으며, 상주하는 작업자 없이도 자동적으로 늘 깨끗한 유제를 장치나 시스템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국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에 있어서, 부유수단의 높이 조정에 의해 파이프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에 구성되는 오일 스킴머를 통해 트램프 오일과 유제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트램프 오일 분리기의 본체 하방에 칩이 적재되어 유제의 흐름을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오일 스킴머 111: 파이프
112: 날개 113: 지지바
114: 지지관 116: 부유수단
117: 부레 118: 샤프트
120: 필터 130: 에어펌프
140: 에어 레귤레이터 150: 본체
151: 분리탱크 154: 분리판
156: 배출실 157: 분리실
158: 스크린 159: 메디아
160: 배출구 161: 공급구
163: 에어 공급구 164: 오일 웨어

Claims (5)

  1. 트램프 오일 분리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제탱크(T)에서 유제(W) 상부에 부유하여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수거하는 오일 스킴머(110)와,
    상기 오일 스킴머(110)에 배관 연결되어 트램프 오일(O)과 유제(W)에 혼입된 칩(C)을 여과하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에 배관 연결되어 오일 스킴머(110)로부터 트램프 오일(O) 및 유제(W)를 흡입하여 본체(150)의 내부로 송출하는 에어펌프(130)와,
    상기 에어펌프(130)에 배관 연결되어 공급받은 트램프 오일(O)과 유제(W)를 분리하는 본체(150)와,
    상기 에어펌프(130)를 구동시키기 위해 에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에어펌프(130)에 배관연결되는 에어 레귤레이터(14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50)는 트램프 오일(O)과 유제(W)를 수용하는 통형상의 분리탱크(151)와,
    상기 분리 탱크(151)를 지지하는 레그(152)와,
    상기 분리탱크(151) 상단을 개폐하는 커버(153)와,
    상기 분리탱크(151) 내부를 양분하여 배출실(156)과 분리실(157)로 구획하고, 배출실(156)과 분리실(157)이 연통되도록 하단이 분리탱크(151)로부터 이격되는 분리판(154)과,
    상기 분리실(157)은 다수개의 메디아(159)가 위치하도록 상하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스크린(158)과,
    상기 스크린(158)에 위치하여 입자성 트램프 오일(O)을 흡착하는 메디아(159)와,
    상기 분리실(157)의 상부 측벽(165)에 형성되어 에어펌프(130)와 연통되는 공급구(161)와,
    상기 공급구(161)와 같은 높이로 배출실(156)의 상부 측벽(165)에 형성되어 유제(W)가 배출되는 배출구(160)와,
    상기 분리실(157) 상부에 부유하는 트램프 오일(O)을 배출하기 위해 일측 홀(H)은 상부를 향하고, 상대측 홀(H')은 분리탱크(151) 측벽(165)에 고정되는 엘보우 형상의 오일 웨어(1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스킴머(110)는 트램프 오일(O)과 유제(W)가 흡입되는 통로인 파이프(111)와,
    상기 파이프(111)의 하방에 부유수단(116)을 지지하기 위해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는 지지바(113)와,
    상기 지지바(113)의 종단에 부유수단(116)이 삽입되는 관형상의 지지관(114)과,
    상기 지지관(11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유수단(116)으로 구성되고;
    상기 부유수단(116)은 부력을 받는 부레(117)와,
    상기 부레(117) 하단에 부착되며 나선 가공된 샤프트(118)와,
    상기 샤프트(118)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너트(1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11)의 상부 측면 둘레에 단면방향의 접선(L)을 기준으로 90도 이하의 각(a)으로 일단이 부착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날개(1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탱크(151) 하방에 메디아(159)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구(16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탱크(151)의 하방은 칩(C)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호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호퍼 형상의 분리 탱크(151)의 하단에 배출 밸브(16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프 오일 분리기
KR20-2005-0025163U 2005-08-31 2005-08-31 트램프 오일 분리기 KR200402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63U KR200402069Y1 (ko) 2005-08-31 2005-08-31 트램프 오일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63U KR200402069Y1 (ko) 2005-08-31 2005-08-31 트램프 오일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069Y1 true KR200402069Y1 (ko) 2005-11-24

Family

ID=4370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63U KR200402069Y1 (ko) 2005-08-31 2005-08-31 트램프 오일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959B1 (en) Coolant flui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CN105965314B (zh) 用于过滤切屑输送机的过滤器单元
US11213772B2 (en) Liquid solid separator
CA1174180A (en) Coolant recovery system
JP5410656B2 (ja) 濾過装置用の外付け濾過材洗浄装置
CN108453563B (zh) 一种带有切削液净化系统的铣床结构
JP5317887B2 (ja) 洗浄装置
JP2006326445A (ja) 回収クーラントなどの廃液含有成分の分離回収装置及び方法
JP5264001B1 (ja) 浮上油分離回収装置
CN111604309A (zh) 一种机电设备零部件传送清洗机
KR101757205B1 (ko)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KR200402069Y1 (ko) 트램프 오일 분리기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CN106039832A (zh) 一种新型全自动油水分离器
KR20170033688A (ko) 칩 및 오일 제거기능을 가지는 절삭유 공급장치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CN205031958U (zh) 一种转鼓式过滤器
CN209906384U (zh) 一种污水处理用气浮机
CN109761309B (zh) 分离装置及其工作方法
KR20220114245A (ko) 진공을 이용한 절삭 슬러지 여과 장치
JP2002035511A (ja) 濾過装置
JP6893547B2 (ja) 油分離回収装置
CN214936194U (zh) 一种高效浅层气浮机用浮渣收集装置
KR101875707B1 (ko) 오일 스키머
CN217126987U (zh) 一种船用舱底除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