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687A -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687A
KR20040111687A KR10-2004-7018866A KR20047018866A KR20040111687A KR 20040111687 A KR20040111687 A KR 20040111687A KR 20047018866 A KR20047018866 A KR 20047018866A KR 20040111687 A KR20040111687 A KR 2004011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character
pattern
reading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338B1 (ko
Inventor
이와구찌이사오
야마자끼고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51Circuits for pulse shaping, amplifying, eliminating noise signals,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바코드(10)로부터 캐릭터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복수 패턴의 캐릭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턴 파형 정보 등을 학습 정보로서 저장하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와,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캐릭터 선택부(40)와, 선택된 정독 캐릭터 패턴에 대응하는 정독 3치화 패턴과,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학습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3치화 패턴을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BPF(27)에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부(3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BAR CODE READING APPARATUS AND BAR CODE READING PROGRAM}
종래부터, 상품의 유통 분야에서는, 상품에 첨부된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해당 상품의 값이나 상품명 등, 상품에 관한 정보를 레지스터 등에 등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바코드에 있어서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캐릭터로서 코드화되어 있고, 흑 바와 백 바가 교대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는, 바코드 상에 레이저 다이오드 등으로부터 발광된 빔 광을 주사시켜, 이 빔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흑 바 및 백 바의 폭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판독하고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종이를 주로 해서, 유기계 소재, 캔 등의 여러 가지 매체에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에는 바코드의 인쇄 시점에 매체에 의존하여 바의 폭 오차가 발생하거나, 유통 도중에 오염, 긁힘 등에 의해 바의 폭 오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폭 오차를 갖는 바코드의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의 오독이 발생한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제조 공장에서는, 규격 내의 폭 오차에 대하여,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라미터의 설정 조건을 완화한다고 하는, 어느 정도의 허용 범위를 갖게 한 상태에서 출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서는 바코드 판독 장치의 출하 후에 규격 외의 폭 오차를 갖는 조악한 바코드가 출현하는 일이 자주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무리 해도 해당 바코드를 판독할 수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바코드 정보를 입력하게 되어, 쓸데없이 오퍼레이션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악 바코드에 의해 판독을 할 수 없게 되는 빈도가 높아지면, 바코드 판독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메이커에 불평이 통지되고, 해당 메이커에서는, 담당자를 현장에 파견한 조사·대응이나, 바코드 판독 장치를 메이커측으로 되찾아 와서 장기간에 미치는 정밀 조사·대응이 필요하여, 사용자 및 메이커의 쌍방에 있어서의 디메리트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중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바코드로부터 캐릭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복수의 캐릭터의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수단과, 선택된 상기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상기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상기 판독 수단에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바코드로부터 캐릭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복수의 캐릭터의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수단, 선택된 상기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상기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상기 판독 수단에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의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고, 이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설정하는것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중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빛의 반사율의 차를 이용하여, 캐릭터가 바 폭에 의해 표시된 바코드(2치 정보)로부터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바코드(캐릭터)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라미터의 학습 기능에 의해 바코드의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대역 제한 미분부(26)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BPF(27)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위상 정보 추출부(28)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지연 필터(29)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한 LMS부(30)(정독 시)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LMS부(30)(오독 시)의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3치 처리부(31)의 출력 및 정독 3치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3치 처리부(31)의 출력 및 오독 3치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 형태 1에서의 3치화 패턴 및 캐릭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동 실시 형태 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동 실시 형태 1에서의 상관값을 구하는 계산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 내지 4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 내지 4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코드 판독 장치(80)는, 바코드(10)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장치이고, 출하 후에 학습 기능에 의해 최적의 파라미터를 자동 설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파라미터로서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모듈 주파수 오차 Δf, 대역 폭 fw 및 롤 오프율 ROF를 들 수 있다.
바코드 판독 장치(80)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20)는 주사용의 빔 광을 발한다. 폴리곤 미러(21)는 레이저 다이오드(20)로부터의 빔 광을 반사시키는 경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되어, 빔 광의 반사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복수 종류의 주사 패턴을 부여하는 것이다.
폴리곤 미러(21)에 의해 반사된 빔 광은, 바코드(10)의 흑 바 및 백 바에, 예를 들면 좌단으로부터 우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된다. 수광부(22)는 바코드(10)에 조사된 빔 광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강약에 따른 진폭치의 전기 신호로광전 변환한다. 증폭부(23)는 수광부(22)로부터의 광전 변환 신호를 증폭한다.
A/D(Analog/Digital) 변환부(24)는 증폭부(23)에 의해 증폭된 아날로그의 광전 변환 신호를 디지털 샘플링하여, 디지털의 광전 변환 신호로서 출력한다. 절출부(25)는 후단의 신호 처리를 경감하기 위해서, A/D 변환부(24)로부터의 광전 변환 신호로부터 바코드(10)에 의해 반사된 신호만을 절출한다.
대역 제한 미분부(26)는 절출부(25)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미분 처리 및 자승 처리 등을 실시하고, 미분 자승 신호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 처리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주파수 스펙트럼(71)을 얻고, 이 주파수 스펙트럼(71)의 게인 피크의 주파수를 바코드의 기본 모듈에 상당하는 모듈 주파수(2f0)로서 구한다.
또한, 대역 제한 미분부(26)는 상기 모듈 주파수를 이용하여, 절출부(25)의 출력 신호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한 미분 처리를 실시하고, 도 5에 도시한 파형 패턴의 신호를 출력한다.
BPF(대역 통과 필터)(27)는 도 3에 도시한 필터 특성(70)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한 파형 패턴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도 6에 도시한 파형 패턴을 출력한다. 이 BPF(27)에는 필터 특성(70)을 결정짓는 패턴으로서, 모듈 주파수 오차 Δf, 대역 폭 fw 및 롤 오프율 ROF가 후술하는 파라미터 설정부(37)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된다. 파라미터는 바코드의 판독 정밀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값이다. 따라서, 파라미터가 적합치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바코드의 판독 시에 오독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모듈 주파수 오차 Δf는 상술한 모듈 주파수(2f0)의 오차분을 보정하기 위한 값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특성(70)(대역 폭 fw)의 중심 주파수는 모듈 주파수(2f0)+모듈 주파수 오차 Δf로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바코드의 판독 시에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파라미터의 조(도 2 참조) 중, 오독이 가장 발생하기 어려운 파라미터의 조가 선택되고, 이 조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BPF(27)에 설정된다.
도 6에 있어서, 샘플점에 ○가 첨부된 파형은 힐버트 변환이 실시된 실부에 대응하고 있고, 샘플점에 ×가 첨부된 파형은 허부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6에서는 각 샘플점이 벡터화(실부 및 허부)되어 있다.
위상 정보 추출부(28)는 도 6에서의 각 샘플점의 위상을 추출하고, 위상이 0 래디언으로 되는 점을 모듈 타이밍으로 하여, 도 7에 도시한 모듈 타이밍의 정보를 출력한다.
지연 필터(29)는 도 6에서 0 래디언으로 되는 점과 샘플점의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대역 제한 미분부(26)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지연 처리를 실시하고, 샘플점을 0 래디언 타이밍점에 일치시키기 위한 필터이고,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파형 패턴을 출력한다.
LMS(Least Mean Square)부(30)는 최소 제곱법에 의해, 지연 필터(29)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등화 처리를 실시하고, 예를 들면, 도 9(정독 시)나 도 10(오독 시)에 도시한 파형 패턴의 신호를 출력한다.
3치 처리부(31)는 LMS부(30)의 출력(도 9, 도 10 참조)을, 진폭과 임계값의비교에 기초하여, 「+1」, 「0」 또는 「-1」 중 어느 하나에 3치화하여, 도 11 또는 도 12의 ○ 부분의 3치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도시한 ○ 부분의 3치화 정보는, 캐릭터 복조부(41)에 의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코드의 캐릭터 패턴(캐릭터 열)으로 복조된다. 이 캐릭터 패턴은 I/F(인터페이스)부(42)에 의해, 판독 결과로서 호스트 컴퓨터(90)에 송신된다. 도 11에는 정독 시의 3치화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오독 시의 3치화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에서는, 횡축=40 및 그 하나 전의 샘플점(흑색 동그라미)의 3치화 정보가 「-1」 및 「0」이고, 정독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도 12에서는 동일한 바코드가 판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 샘플점(흑색 동그라미)이 「0」 및 「-1」이라는 상태로 오독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코드 판독 장치(80)에서는, 바코드의 긁힘 등에 의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바코드의 판독 결과로서 2개의 결과(정독 및 오독)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에게 2개의 결과를 제시하여, 올바른 쪽의 결과를 선택시킨다.
오독 패턴 상관부(32)는, 3치 처리부(31)의 출력과, 후술하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학습 정보에서의 오독 3치화 패턴과의 상관값을 구한다. 정독 패턴 상관부(33)는 상술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정독 캐릭터 패턴으로부터 기준 3치화 패턴을 생성하고, 이 기준 3치화 패턴과 LMS부(30)의 출력의 상관값을 구한다.
승산부(34)는 정독 패턴 상관부(33)로부터의 상관값와 오독 패턴 상관부(32)로부터의 상관값을 승산한다. 가산부(35)는 파라미터마다 승산부(34)의 승산값을 가산하고, 이것을 상관 가산치로 한다. 최대값 추출부(36)는 구해진 복수의 상관 가산치 중 최대값을 추출한다.
파라미터 설정부(37)는 최대값 추출부(36)에 의해 추출된 최대값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BPF(27)에 설정한다. 제어부(38)는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캐릭터 표시부(39)는 제어부(38)의 제어하에서, 3치 처리부(31)의 출력에 기초하는 바코드의 판독 결과(캐릭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독 결과 및 오독 결과가 있는 경우, 캐릭터 표시부(39)에는 쌍방의 판독 결과가 표시된다. 캐릭터 선택부(40)는 캐릭터 표시부(39)에 쌍방의 판독 결과가 표시된 경우, 정독의 결과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는, 캐릭터 표시부(39)에 표시되어 있는 2개의 캐릭터 중, 바코드의 근방에 표시되어 있는 캐릭터와 일치하는 것을 정독 결과로서 선택한다.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는, 바코드의 판독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상술한 파라미터(모듈 주파수 오차 Δf, 대역 폭 fw 및 롤 오프율 ROF)에 관한 파라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주파수 오차 테이블(51), 대역 폭 테이블(52), 롤 오프율 테이블(53) 및 파라미터 조 테이블(54)로 구성되어 있다.
모듈 주파수 오차 테이블(51)은 하한으로부터 상한까지의 소정 범위(예를 들면, -500kHz 내지 +500kHz)에 있어서의 소정 단위의 모듈 주파수 오차 Δf의 집합이다. 대역 폭 테이블(52)은 하한으로부터 상한까지의 소정 범위(예를 들면, 1kHz 내지 1000kHz)에 있어서의 소정 단위의 대역 폭 fw의 집합이다. 롤 오프율 테이블(53)은 하한으로부터 상한까지의 소정 범위(예를 들면, 0% 내지 100%)에서의 소정 단위의 롤 오프율 ROF의 집합이다.
파라미터 조 테이블(54)은 모듈 주파수 오차 테이블(51), 대역 폭 테이블(52) 및 롤 오프율 테이블(53)의 각각으로부터 1개씩 추출된 파라미터의 조(모듈 주파수 오차 Δf, 대역 폭 fw, 롤 오프율 ROF)이다. 파라미터 조 테이블(54)에는 모든 조합(m=0∼M)이 저장되어 있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600∼60N')의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학습 정보는 번호, 파형 패턴, 모듈 주파수, 정독 3치화 패턴 및 오독 3치화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오독이 발생한 경우에 재설정되는 파라미터를 선택할 때에 이용되는 정보이고, 미리 복수 준비되어 있다. 파형 패턴은 대역 제한 미분부(26)에 입력되는 파형 패턴의 정보이다.
모듈 주파수는 해당 파형 패턴에 대응하는 모듈 주파수이다. 정독 3치화 패턴은 해당 파형 패턴을 대역 제한 미분부(26)에 입력한 경우의 3치 처리부(31)의 출력(단, 정독)이다.
한편, 오독 3치화 패턴은 상기 파형 패턴을 대역 제한 미분부(26)에 입력한 경우의 3치 처리부(31)의 출력(단, 오독)이다. 여기서, 바코드의 판독 결과가 오독인 경우,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는 새로운 해당 판독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가 저장된다.
호스트 컴퓨터(90)는 바코드 판독 장치(80)에 접속되어 있고, 바코드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상품 관리 등을 행하는 컴퓨터이다. ·
이어서,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도에 도시한 단계 SA1에서는, 제어부(38)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 신규 학습 정보가 추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No」로 하여, 동 판단을 반복한다.
여기서, 학습 정보가 추가되는 조건은, 바코드 판독 장치(80)에 의해 바코드가 판독 불가, 즉 판독 결과가 2 종류(정독 3치화 패턴, 오독 3치화 패턴) 존재하는 경우(또는 I/F부(42)로부터 송신된 캐릭터 패턴이 호스트 컴퓨터(9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고, 캐릭터 선택부(40)에 의해 정독 쪽이 선택된 경우이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바코드(10)가 빔 광에 쪼이면, 수광부(22)에서는 바코드(10)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그 강약에 따른 진폭치의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한다. 광전 변환 신호는 증폭부(23)에서 증폭된 후, A/D 변환부(24)에서 디지털화되고, 또한 절출부(25)에서 절출된다.
이어서, 대역 제한 미분부(26)는 절출부(25)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미분 처리 및 자승 처리 등을 실시하고, 미분 자승 신호에 대하여 FFT 처리에 의해 주파수 스펙트럼을 얻어, 이 주파수 스펙트럼의 게인 피크의 주파수를 바코드의 기본 모듈에 상당하는 모듈 주파수(2f0)로서 구한다.
또한, 대역 제한 미분부(26)는 상기 모듈 주파수를 이용하여, 절출부(25)의 출력 신호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한 미분 처리를 실시하고, 파형 패턴의 신호를 BPF(27) 및 지연 필터(29)에 출력한다.
이어서, BPF(27)는 대역 제한 미분부(26)에서 구해진 모듈 주파수(2f0),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모듈 주파수 오차 Δf, 대역 폭 fw 및 롤 오프율 ROF)에 의한 필터 특성에 기초하여, 파형 패턴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위상 정보 추출부(28)는 BPF(27)의 출력에 있어서의 각 샘플점의 위상을 추출하고, 위상이 O 래디언으로 되는 점을 모듈 타이밍으로 하여, 모듈 타이밍의 정보를 출력한다.
이어서, 지연 필터(29)는 0 래디언으로 되는 점과 샘플점의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대역 제한 미분부(26)로부터의 신호에 대하여 지연 처리를 실시하고, 샘플점을 0 래디언 타이밍점에 일치시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파형 패턴을 LMS부(30)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LMS부(30)는 최소 제곱법에 의해, 지연 필터(29)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등화 처리를 실시한다. 이 경우, 바코드(10)가 조악 바코드이다고 하면, LMS부(30)로부터는 예를 들면, 도 9(정독 시) 및 도 10(오독 시)에 도시한 각 파형 패턴의 신호가 출력된다.
3치 처리부(31)는 LMS부(30)의 출력(도 9, 도 10 참조)을, 진폭과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1」, 「0」 또는 「-1」 중 어느 하나로 3치화하여, 정독 및 오독의 상황 2 종류의 3치화 정보를 출력한다. 즉, 바코드(10)가 조악 바코드인경우에는, 두 종류의 판독 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현재 BPF(27)에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에서는 바코드 판독 장치(80)로서 판독 불가의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38)는 3치 처리부(31)로부터의 두 종류의 판독 결과를 캐릭터 표시부(39)에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는 판독 불가라고 판단하고, 캐릭터 표시부(39)에 표시되어 있는 두 종류의 판독 결과 중, 바코드(10)의 근방에 표시되어 있는 캐릭터와 일치하는 쪽을 정독 캐릭터로서 캐릭터 선택부(40)에서 선택한다.
이어서, 제어부(38)는 바코드(10)에 대응하는 파형 패턴(대역 제한 미분부(26)의 출력), 모듈 주파수(대역 제한 미분부(26)의 출력), 정독 3치화 패턴(3치 처리부(31)의 출력이고, 캐릭터 선택부(40)에서 선택된 것), 오독 3치화 패턴(3치 처리부(31)의 출력이고, 캐릭터 선택부(40)에서 선택되지 않은 것)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규 학습 정보로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레코드(60N')에 추가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38)는 도 14에 도시한 단계 SA1의 판단 결과를 「Yes」로 한다. 단계 SA2에서는, 제어부(38)는 도 2에 도시한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의 파라미터 조 테이블(54)에 있어서의 모든 파라미터 조(m=0∼M)에 대하여 확인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No」로 한다.
단계 SA3에서는, 제어부(38)는 파라미터 조 테이블(54)로부터 일조의 파라미터 조(이 경우, Δf[0], fw[0], ROF[0])를 작성한다. 다음에, 제어부(38)는 파라미터 설정부(37)에, 이 파라미터 조를 BPF(27)에 설정시킨다.
단계 SA4에서는, 제어부(38)는 단계 SA3에서 작성된 파라미터 조에 관하여, 도 4에 도시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 있어서의 모든 학습 정보(n=0∼N')를 확인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No」로 한다.
단계 SA5에서는, 제어부(38)는 도 4에 도시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레코드(600)의 학습 정보에 있어서의 파형 패턴을 BPF(27) 및 지연 필터(29)에 출력함과 함께, 모듈 주파수를 BPF(27)에 설정한다.
단계 SA6에 있어서는, BPF(27)에서, 단계 SA5에서 설정된 모듈 주파수, 단계 SA3에서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한 필터 특성에 기초하여, 파형 패턴의 신호가 필터링된다. 그리고, 상술한 동작을 거쳐, 정독 패턴 상관부(33)는 제어부(38)의 제어에 의해, LMS부(30)의 출력을 취득한다.
단계 SA7에서는, 오독 패턴 상관부(32)는 제어부(38)의 제어에 의해 3치 처리부(31)의 출력을 취득한다. 단계 SA8에서는, 제어부(38)는 캐릭터 선택부(40)에서 선택된 정독 캐릭터 패턴으로부터 기준 3치화 패턴을 생성하고, 이 기준 3치화 패턴으로서, 정독 패턴 상관부(33)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정독 패턴 상관부(33)는 기준 3치화 패턴과 LMS부(30)의 출력의 상관값 Cr[n](도 15 참조)을 계산한다. 이 상관값 Cr[n]에 있어서, xn(t)은 LMS부(30)의 출력에 대응하고 있고, yn(T-t)은 기준 3치화 패턴에 대응하고 있다.
단계 SA9에서는, 제어부(38)는 해당 학습 정보(도 4 참조)에 오독 3치화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이 오독 3치화 패턴을 오독 패턴 상관부(32)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오독 패턴 상관부(32)는 단계 SA8과 마찬가지의 계산식에 의해, 단계 SA7에서 취득한 3치 처리부(31)의 출력과, 상기 오독 3치화 패턴과의 상관값을 계산한다.
이어서, 이 상관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38)는, 정독 패턴 상관부(33)로부터의 상관값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을 1(유효, 정독)로서, 승산부(34)에 출력한다. 단계 SA10에서는,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이 0(무효, 오독)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경우,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이 1(유효, 정독)이기 때문에, 단계 SA10의 판단 결과가 「No」로 된다.
승산부(34)에서는 정독 패턴 상관부(33)로부터의 상관값 Cr[n]과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1)이 승산된다. 단계 SA11에서는, 가산부(35)는 단계 SA3에서 작성된 파라미터 조에 관한 상관 가산치 Scr[m]에 상기 상관값 Cr[n]을 가산하고, 상관 가산치 Scr[m]을 갱신한다. 한편, 단계 SA9에서 상관값이 임계값을 넘은 경우, 제어부(38)는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을 0(무효, 오독)으로서 승산부(34)에 출력한다. 단계 SA10에서는,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이 0(무효, 오독)이기 때문에, 판단 결과가 「Yes」로 되고, 단계 SA11이 스킵된다.
또한 실제로는, 승산부(34)에서, 정독 패턴 상관부(33)로부터의 상관값 Cr[n]과 상관값 유효 플래그 Cm[n](=0)이 승산되어, 상관값 Cr[n]이 0으로 된다. 따라서, 가산부(35)에서는 상관 가산치 Scr[m]에 0이 가산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어떤 파라미터 조에서, 오독 3치화 패턴과의 상관값이 높은 3치화 패턴이 3치 처리부(31)로부터 출력된 경우, 단계 SA8에서의상관값 Cr[n]을 0으로 하여, 상관 가산치 Scr[m]에 가산하지 않고서, 후술하는 최대값 추출(단계 SA12)에서 해당 필터 조가 선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단계 SA4에서는, 제어부(38)는 단계 SA3에서 작성된 파라미터 조에 관하여, 도 4에 도시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에 있어서의 모든 학습 정보(n=0∼N)를 확인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No」로 한다.
단계 SA5에서는, 제어부(38)는, 도 4에 도시한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다음 레코드(601)의 학습 정보에 있어서의 파형 패턴을 BPF(27) 및 지연 필터(29)에 출력함과 함께, 모듈 주파수를 BPF(27)에 설정한다. 이후, 단계 SA6 이후에서는 해당 파라미터 조에 관한 학습 정보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의 최후의 레코드(60N')의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38)는 단계 SA4의 판단 결과를 「Yes」로 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파라미터 조(이 경우, Δf[0], fw[0], ROF[0])에 관한 상관 가산치 Scr[m]이 구해져 있다.
단계 SA2에서는, 제어부(38)는 도 2에 도시한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의 파라미터 조 테이블(54)에 있어서의 모든 파라미터 조(m=0∼M)에 대하여 확인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경우, 판단 결과를 「No」로 한다.
단계 SA3에서는, 제어부(38)는 파라미터 조 테이블(54)로부터 다음 파라미터 조(이 경우, Δf[0], fw[0], ROF[1])를 작성한다. 이어서, 제어부(38)는 파라미터 설정부(37)에, 이 파라미터 조를 BPF(27)에 설정시킨다. 이후, 해당 파라미터 조(Δf[0], fw[0], ROF[1])에 관하여 상관 가산치 Scr[m]을 계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최후의 파라미터 조에 관하여 상관 가산치 Scr[m]을 계산하는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38)는 단계 SA2의 판단 결과를 「Yes」로 한다. 이 시점에서는, 모든 파라미터 조의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관 가산치 Scr[m]이 계산되어 있다.
단계 SA12에서는, 최대값 추출부(36)는 상기 복수의 상관 가산치 Scr[m]로부터 최대값을 추출한다. 이 최대값의 상관 가산치 Scr[m]은 정독되는 기준 3치화 패턴과의 상관값이 가장 높은, 즉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 조를 나타낸다.
단계 SA13에서는, 파라미터 설정부(37)는 단계 SA12에서 추출된 최대값의 상관 가산치 Scr[m]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조를 BPF(27)에 설정한다. 이에 의해, 오독이 발생한 파라미터 조 대신에,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상기 파라미터 조에 기초하여, 바코드의 판독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르면, 바코드의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캐릭터 선택부(40)에서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고, 이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정독 3치화 패턴과,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3치화 패턴의 비교 결과(상관값)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BPF(27)에 설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중(출하 후)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2)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캐릭터 선택부(40)에서 정독 캐릭터 패턴을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키보드에 의해 정독 캐릭터 패턴을 입력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 구성예를 실시 형태 2로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동도에서는, 키보드(100)가 호스트 컴퓨터(9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키보드(100)는 바코드(10)의 판독 시에 2 종류의 판독 결과(정독 캐릭터 패턴, 오독 캐릭터 패턴)가 존재한 경우, 오퍼레이터에게 바코드(10)로부터의 캐릭터 패턴을 직접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바코드(10)의 판독 결과가 2 종류 존재한 경우, 바코드 판독 장치(80)는 오독으로서 호스트 컴퓨터(90)를 경유하여(또는 직접)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바코드(10)의 근방에 표시되어 있는 캐릭터 패턴을 키보드(100)로부터 입력한다.
호스트 컴퓨터(90)는 입력된 캐릭터 패턴을 정독 캐릭터 패턴으로 하여, 바코드 판독 장치(80)에 통지한다. 이후, 바코드 판독 장치(80)는 학습 정보를 추가하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파라미터 조의 재설정 등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르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효과가 얻어진다.
(실시 형태 3)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도 16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동도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코드 판독 장치(80) 대신에, 병렬 접속된 바코드 판독 장치(801내지 80n)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바코드 판독 장치(801내지 80n)의 각각은 바코드 판독 장치(80)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바코드 판독 장치(801)에서 오독이 발생하여, 파라미터 조가 재설정된 경우, 이 파라미터 조가 다른 바코드 판독 장치(802내지 80n)에도 병렬적으로 설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3에 따르면, 바코드 판독 장치(801)에 대하여 병설된 다른 바코드 판독 장치(802내지 80n)에 대하여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복수 대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 대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어,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그런데, 실시 형태 1에서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기능, 오독 시에 오퍼레이터에게 정독 캐릭터 패턴을 선택시키는 기능, 파라미터 조를 재설정하는 기능 등을 바코드 판독 장치(80)(도 1 참조)에 갖게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일부 기능을 호스트 컴퓨터에 갖게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바코드 판독 장치(120)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기능, 파라미터 조를 재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호스트 컴퓨터(130)는 바코드 판독 장치(120)로부터의 바코드의 판독 결과의 통지를 받아, 상기 기능 중 오독 시에 오퍼레이터에게 정독 캐릭터 패턴을 선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서버(140)는 도 1에 도시한 파라미터 정보 데이터베이스(50),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60)를 구비하고 있고, 호스트 컴퓨터(130)를 경유하여 바코드 판독 장치(120)로부터의 데이터베이스 참조 요구를 접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따르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 1 내지 4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여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예는 이들 실시 형태 1 내지 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상술한 바코드 판독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도 19에 도시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300)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300)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200)에 판독시키고 실행함으로써 각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컴퓨터(2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Unit)(210)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220)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230)과,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240)과, 기록 매체(300)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판독 장치(250)와,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260)와, 장치 각 부를 접속하는 버스(270)로 구성되어 있다.
CPU(210)는 판독 장치(250)를 경유하여 기록 매체(300)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기록 매체(300)로서는 광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의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고, 이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중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된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과의 상관을 취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상관의 값에 기초하여, 사용중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값의 상관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사용중이더라도 자동적으로 판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설된 다른 바코드 판독 장치에 대하여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복수의 바코드 판독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 오독이 발생한 경우에,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어,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판독 장치는 상품의 유통 분야 등에서의 바코드 판독에 대하여 유용하다.

Claims (5)

  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바코드로부터 캐릭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복수의 캐릭터의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수단과,
    선택된 상기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상기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상기 판독 수단에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선택된 상기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상기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과의 상관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수단은, 최대값의 상관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오독의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로서 상기 판독 수단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설정 수단은, 병설된 다른 바코드 판독 장치에 대하여도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5. 컴퓨터를,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바코드로부터 캐릭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복수의 캐릭터의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캐릭터의 오독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캐릭터의 후보 중에서 정독 캐릭터를 오퍼레이터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수단,
    선택된 상기 정독 캐릭터에 대응하는 패턴과, 상기 파라미터를 순차 변화시키면서 복수의 신호 파형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패턴을 비교하는 비교 수단,
    상기 비교 수단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오독의 발생이 가장 낮은 파라미터를 상기 판독 수단에 설정하는 파라미터 설정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
KR1020047018866A 2002-06-28 2002-06-28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0655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6650 WO2004003828A1 (ja) 2002-06-28 2002-06-28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687A true KR20040111687A (ko) 2004-12-31
KR100655338B1 KR100655338B1 (ko) 2006-12-08

Family

ID=29808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866A KR100655338B1 (ko) 2002-06-28 2002-06-28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19295A4 (ko)
JP (1) JP3833682B2 (ko)
KR (1) KR100655338B1 (ko)
CN (1) CN1630874A (ko)
AU (1) AU2002311324A1 (ko)
WO (1) WO2004003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0719B1 (en) * 2006-09-21 2008-06-03 Ncr Corporation Barcode scanner with configurable video mod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27Y2 (ko) * 1981-03-12 1987-05-22
JPS61290577A (ja) * 1985-06-19 1986-12-20 Fujitsu Ltd バ−コ−ド読取装置
US5159667A (en) * 1989-05-31 1992-10-27 Borrey Roland G Document identification by characteristics matching
US5194720A (en) * 1991-04-25 1993-03-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n-line integrated decoding and evaluation of bar code data
JP3629581B2 (ja) * 1995-04-13 2005-03-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3548025B2 (ja) * 1998-12-17 2004-07-28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11324A1 (en) 2004-01-19
EP1519295A4 (en) 2010-01-20
CN1630874A (zh) 2005-06-22
JP3833682B2 (ja) 2006-10-18
JPWO2004003828A1 (ja) 2005-10-27
AU2002311324A8 (en) 2004-01-19
EP1519295A1 (en) 2005-03-30
WO2004003828A1 (ja) 2004-01-08
KR100655338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2569B (zh) 具有边缘检测增强的条码读取器
AU2005226045B2 (en) Data collection signal processing for increased performance in electro-optical readers
JP5707416B2 (ja) 最適化
KR940001000A (ko) 적응 바 코드 스캐너
KR20030082572A (ko) 정보 판독 방법 및 장치, 정보 판독 장치의 신호 취득방법, 대역 제한 처리 방법, 타이밍점 진폭 추출 방법 및신호 처리 방법, 판독 신호 처리 유닛 및 판독 신호의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100655338B1 (ko)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P12175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focusing an electrical signal representative of an optical code
US7044382B2 (en) Bar-code reader and computer product
JP4257131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EP1122690B1 (en) Pattern matching method and apparatus
EP1883893B1 (en) Method, system and scanner for decoding a barcode
KR100680664B1 (ko) 바코드 판독 장치, 바코드 판독 방법, 바코드 판독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및 모듈점 추출 장치
JP4319985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バーコード読取方法、バーコード読取プログラムおよびモジュール点抽出装置
JP4197308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5283151B2 (ja) バーコード・スキャナ
JP547073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6976630B2 (en) Bar-code reader, method of reading a bar code, and computer product
EP120587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ea weighted mean processing of barcode signals
JP5453594B2 (ja) シンボル情報読取装置及びシンボル情報読取方法
EP0957444B1 (en) Bar code reader having a transition detector circuit
JP2008082765A (ja) 情報検出装置
JPH0362279A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